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어와 한국어 수동문의 비교
(2) 영어와 한국어의 능격동사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영어와 한국어 수동문의 비교
(2) 영어와 한국어의 능격동사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결론
한국어는 수동화되는 동사가 다른 언어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 이는 영어와는 달리 국어의 접미사 수동표현에서 볼 수 있는 타동사와 음운제약의 동작성 요건 등으로 인해 수동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 모두 자동사와 타동사로 동사를 교체해도 형태와 의미가 변화 없이 사용되는 특별한 동사들이 있다. 영어는 이러한 동사들의 특징에 따라 중간동사와 능격동사로 구분하고 있다. 다만 한국어에서는 어떤 동사가 능격동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분분하며, 이에 따라 용어 사용에도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영어와 한국어의 능격동사를 비교하여 한국어 능격동사의 특징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용어 사용에 대한 고민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김상혁, 위의 논문 239쪽 참고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상혁, 「한국어와 영어 능동격동사 비교」,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제60권 제4호, 201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8570
이은숙, 「영어와 한국어 수동문 비교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제35권 제3호, 200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70731
한국어는 수동화되는 동사가 다른 언어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 이는 영어와는 달리 국어의 접미사 수동표현에서 볼 수 있는 타동사와 음운제약의 동작성 요건 등으로 인해 수동태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 모두 자동사와 타동사로 동사를 교체해도 형태와 의미가 변화 없이 사용되는 특별한 동사들이 있다. 영어는 이러한 동사들의 특징에 따라 중간동사와 능격동사로 구분하고 있다. 다만 한국어에서는 어떤 동사가 능격동사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이 여전히 분분하며, 이에 따라 용어 사용에도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영어와 한국어의 능격동사를 비교하여 한국어 능격동사의 특징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용어 사용에 대한 고민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김상혁, 위의 논문 239쪽 참고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상혁, 「한국어와 영어 능동격동사 비교」,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제60권 제4호, 201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418570
이은숙, 「영어와 한국어 수동문 비교연구」, 『대한영어영문학회』, 제35권 제3호, 200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7073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