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의 권력승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권력승계 (Political succession)의 의미

2. 권력승계의 준비단계(1964. 6~ 1974. 2); 권력부상

3. 구축단계(1974. 2 ~ 1980. 10)

4. 공고화단계(1980. 10 ~ 1994. 7); 후계체제의 확립과 수령승계

본문내용

어서면서 군권 이양
--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으로 추대 -- 처음으로 국가기관 직책을 가짐(1990. 5; 최고인민회의 제9기 1차회의) 인민군 최고사령관 추대(1991. 12; 당중앙위원회 제6기 19차 전원회의) 공화국 원수 칭호 (1992. 4; 인민군 창건 60주년을 앞두고 오진우와 함께) 국방위원장 취임(1993. 4; 최고인민회의 제9기 5차회의)
(2) 상징조작을 통한 카리스마 보완
백두산출생 신화 조작
-- 소련 하바로프스트의 근료 브야츠크 영내 또는 근처 병원 출생
-- 김일성이 만주에서 싸운 것이 아니라 백두산을 근거지로 국내에서 싸웠으며, 중국공산당의 영도 밑에 중국혁명을 위해 싸운 것이 아니라 조선혁명을 위하여 싸웠다는 것을 선전하기 위하여 꾸며냄.
김정일 저작 발간
-- 각종 논문과 연설문 담화, 결론 등을 묶은 저작집 발간
우상화 사적지 조성
-- 1980년대 초반부터 각지에 조성해 놓은 김정일의 사적지 공개 시작(현재 14개 정도)
-- 김정일의 유년시절과 학창시절 발길이 닿았던 곳이라는 공통점
-- 일반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성장기를 미화함으로써 그가 천부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인물임을 각인시키려는 의도
구호문헌(나무)
-- 원래 일제 당시 항일운동을 하던 투사, 지사, 열사들이 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거기에 돌립의 염원을 새긴 것을 말한다. 북한은 이 나무들을 교묘히 조작,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의 우상화 선전에 이용
-- 1987년 김정일의 45회 생일(2 · 15)이후 공개 시작
-- 12,000 점의 구호문헌중 김정일 관련 200여점
-- 백두산 광명성, 백두산태양성, 독립백두성, 조선의 광명성 등 백두산 출생성 뒷받침
김정일 찬양 문학작품과 전기류 발간, 보급, 전설과 일화, 노래 등 조작 유포
-- 김정일 우상화 일화의 조작, 유포는 사회과학원 산하 "력사연구소"가 담당
(3) 사상 · 이론활동 강화
주체사상의 체계화
-- 후계자론에 따르면, 노동계급의 혁명이론과 혁명사상의 창시는 수령의 역할에 해당하지만, 그 체계화와 이론적 심화발전은 후계자의 몫
-- 「주체사상에 대하여」(1982. 3), 「맑스 · 레닌주의와 주체사상의 기치를 높이 들고 나아가자」(1983. 5), 「주쳇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의 대하여」(1986. 7), 「주체의 혁명적 게계관을 튼튼히 세울데 대하여」(1987. 10),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1989. 12)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2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