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권력승계 (Political succession)의 의미
2. 권력승계의 준비단계(1964. 6~ 1974. 2); 권력부상
3. 구축단계(1974. 2 ~ 1980. 10)
4. 공고화단계(1980. 10 ~ 1994. 7); 후계체제의 확립과 수령승계
2. 권력승계의 준비단계(1964. 6~ 1974. 2); 권력부상
3. 구축단계(1974. 2 ~ 1980. 10)
4. 공고화단계(1980. 10 ~ 1994. 7); 후계체제의 확립과 수령승계
본문내용
어서면서 군권 이양
--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으로 추대 -- 처음으로 국가기관 직책을 가짐(1990. 5; 최고인민회의 제9기 1차회의) 인민군 최고사령관 추대(1991. 12; 당중앙위원회 제6기 19차 전원회의) 공화국 원수 칭호 (1992. 4; 인민군 창건 60주년을 앞두고 오진우와 함께) 국방위원장 취임(1993. 4; 최고인민회의 제9기 5차회의)
(2) 상징조작을 통한 카리스마 보완
백두산출생 신화 조작
-- 소련 하바로프스트의 근료 브야츠크 영내 또는 근처 병원 출생
-- 김일성이 만주에서 싸운 것이 아니라 백두산을 근거지로 국내에서 싸웠으며, 중국공산당의 영도 밑에 중국혁명을 위해 싸운 것이 아니라 조선혁명을 위하여 싸웠다는 것을 선전하기 위하여 꾸며냄.
김정일 저작 발간
-- 각종 논문과 연설문 담화, 결론 등을 묶은 저작집 발간
우상화 사적지 조성
-- 1980년대 초반부터 각지에 조성해 놓은 김정일의 사적지 공개 시작(현재 14개 정도)
-- 김정일의 유년시절과 학창시절 발길이 닿았던 곳이라는 공통점
-- 일반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성장기를 미화함으로써 그가 천부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인물임을 각인시키려는 의도
구호문헌(나무)
-- 원래 일제 당시 항일운동을 하던 투사, 지사, 열사들이 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거기에 돌립의 염원을 새긴 것을 말한다. 북한은 이 나무들을 교묘히 조작,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의 우상화 선전에 이용
-- 1987년 김정일의 45회 생일(2 · 15)이후 공개 시작
-- 12,000 점의 구호문헌중 김정일 관련 200여점
-- 백두산 광명성, 백두산태양성, 독립백두성, 조선의 광명성 등 백두산 출생성 뒷받침
김정일 찬양 문학작품과 전기류 발간, 보급, 전설과 일화, 노래 등 조작 유포
-- 김정일 우상화 일화의 조작, 유포는 사회과학원 산하 "력사연구소"가 담당
(3) 사상 · 이론활동 강화
주체사상의 체계화
-- 후계자론에 따르면, 노동계급의 혁명이론과 혁명사상의 창시는 수령의 역할에 해당하지만, 그 체계화와 이론적 심화발전은 후계자의 몫
-- 「주체사상에 대하여」(1982. 3), 「맑스 · 레닌주의와 주체사상의 기치를 높이 들고 나아가자」(1983. 5), 「주쳇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의 대하여」(1986. 7), 「주체의 혁명적 게계관을 튼튼히 세울데 대하여」(1987. 10),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1989. 12)
--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으로 추대 -- 처음으로 국가기관 직책을 가짐(1990. 5; 최고인민회의 제9기 1차회의) 인민군 최고사령관 추대(1991. 12; 당중앙위원회 제6기 19차 전원회의) 공화국 원수 칭호 (1992. 4; 인민군 창건 60주년을 앞두고 오진우와 함께) 국방위원장 취임(1993. 4; 최고인민회의 제9기 5차회의)
(2) 상징조작을 통한 카리스마 보완
백두산출생 신화 조작
-- 소련 하바로프스트의 근료 브야츠크 영내 또는 근처 병원 출생
-- 김일성이 만주에서 싸운 것이 아니라 백두산을 근거지로 국내에서 싸웠으며, 중국공산당의 영도 밑에 중국혁명을 위해 싸운 것이 아니라 조선혁명을 위하여 싸웠다는 것을 선전하기 위하여 꾸며냄.
김정일 저작 발간
-- 각종 논문과 연설문 담화, 결론 등을 묶은 저작집 발간
우상화 사적지 조성
-- 1980년대 초반부터 각지에 조성해 놓은 김정일의 사적지 공개 시작(현재 14개 정도)
-- 김정일의 유년시절과 학창시절 발길이 닿았던 곳이라는 공통점
-- 일반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성장기를 미화함으로써 그가 천부적 자질과 능력을 갖춘 인물임을 각인시키려는 의도
구호문헌(나무)
-- 원래 일제 당시 항일운동을 하던 투사, 지사, 열사들이 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거기에 돌립의 염원을 새긴 것을 말한다. 북한은 이 나무들을 교묘히 조작, 김일성, 김정일, 김정숙의 우상화 선전에 이용
-- 1987년 김정일의 45회 생일(2 · 15)이후 공개 시작
-- 12,000 점의 구호문헌중 김정일 관련 200여점
-- 백두산 광명성, 백두산태양성, 독립백두성, 조선의 광명성 등 백두산 출생성 뒷받침
김정일 찬양 문학작품과 전기류 발간, 보급, 전설과 일화, 노래 등 조작 유포
-- 김정일 우상화 일화의 조작, 유포는 사회과학원 산하 "력사연구소"가 담당
(3) 사상 · 이론활동 강화
주체사상의 체계화
-- 후계자론에 따르면, 노동계급의 혁명이론과 혁명사상의 창시는 수령의 역할에 해당하지만, 그 체계화와 이론적 심화발전은 후계자의 몫
-- 「주체사상에 대하여」(1982. 3), 「맑스 · 레닌주의와 주체사상의 기치를 높이 들고 나아가자」(1983. 5), 「주쳇상 교양에서 제기되는 몇가지 문제의 대하여」(1986. 7), 「주체의 혁명적 게계관을 튼튼히 세울데 대하여」(1987. 10),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을 높이 발양시키자」(1989. 12)
추천자료
2002년 상반기 북한 정치동향 평가 및 전망
(북한학) 북한의 지난 10년동안의 변화 추세와 특징 : 1900 - 2000년
조선로동당의 북한 통치체계에 대한 연구
북한의 “기쁨조”의 실체
북한의 이해
북한의 정치.외교.안보.군사체제의구조와기능
[북한]북한의 대남 적화 통일 전략
민족과통일 (북한학) 자료 입니다
북한의 정치사
북한학(주체사상과 체제 구조적 특징)
중국정치의_요람_호남성
[북한의 사회와 경제/ 4학년 공통] 김정은 등장 이후 북한의 변화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정치체제의 형성과 변화 -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주체사상의 체계 -북한 내 정치사회화의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