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무선인터넷서비스 수급구조 및 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무선데이터서비스 기본 내용
1. 무선데이터서비스 유형
2. 무선데이터서비스 시스템
3. 무선데이터서비스산업의 특징
4. 무선데이터서비스 요소기술
5. 무선데이터서비스 공급구조

II. 무선데이터서비스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전망
2. 국내 시장 현황과 전망

III. 일본과 미국의 무선데이터 시장 동향
1. 일본
2. 미국

IV. 일본의 무선데이터 성공사례 : i모드 성공요인
1. i모드 서비스 현황
2. i모드서비스 기본 구성
3. i모드서비스 성공요인
4. i모드서비스 제공에 따른 업체별 영업이익
5. NTT도코모의 차세대 무선인터넷서비스 전망

V. 국내 무선데이터시장 활성화정책 방향
1. 향후 무선데이터 발전 추이
2. 국내 무선데이터시장 활성화 방안

본문내용

당 2,000,000 bits로 개선할 전망
- 인공위성을 통한 개선 : 10년대 초당 50,000,000 bits 개선을 목표
가정과 사무실의 변화 : 근거리지역네트워크(LAN)의 무선화 진전
- LAN : 가정내 컴퓨터 네트워크를 무선화함으로써 케이블없이 가정용 기기들에 접속
- 속도 : 대규모 사무실이나 건물안에서 최대 초당 11,000,000 bits의 속도
- Apple사 : 랩탑컴퓨터와 가정의 주변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제공
PAN (Personal-area network)의 탄생
- 정의 :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또 다른 이동통신 표준방식을 제공
- Bluetooth : 사용자로부터 10m 안에 있는 기기들간의 고속 전송이 가능함으로써, 개인공간의 무선네트워크화가 이뤄짐.
- 파급효과 : 컴퓨터, 이동전화, 무선호출기, 팸 파일럿 (Palm Pilot) 등과 같은 포켓용 기기들간의 통신이 가능. 이들 중 한 가지 기기를 사용해서 다른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음. 디스플레이의 분리가 가능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가 진화할 수 있게 됨. 이동통신기기와 제 3의 부가정보기기와의 연결이 가능해짐 : 디지털폰과 상점의 POS 터미널 교신, 공항의 무선터미널에과의 교신, 전자항공권 발급 등.
2. 국내 무선데이터시장 정책 방향
가. 무선인터넷 종합계획수립
○ 무선인터넷 성장을 지체시키는 기술적 요인 및 인프라를 확충하여 촉진기반을 구축
- 무선인터넷 시스템 구성상 필요한 접속방식별 국가표준에 대한 가이드 제시
- 무선인터넷 인프라 요인에 대한 정의와 확충 방안 강구
○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제반 환경의 무선상거래 확장 적용시 갈등 요인에 대한 사전 정지작업 추진
- 전자상거래와 무선상거래 망 구성간 비교를 통한 표준방식의 비교 검토
- 보안, 소비자보호, 인증 등 제반 환경의 공통 적용가능성 검토 및 보완 작업
- 전자상거래 활성화 시책의 무선상거래 촉진효과 분석
- 국제적인 전자상거래 협력 사안중 무선상거래 해당 사항에 대한 실무 보완
○ 무선인터넷 활성화 시책과 이동통신산업에의 파급효과 검토
- 무선인터넷 정책과 국내 이동통신산업의 경쟁력 강화 연계 부문 고찰
- 이동통신사업의 해외시장 진출
- 이동통신 국가표준의 채택과 무선인터넷 접속방식 표준간 연관관계 파악
나. 무선데이터 기술표준
○ 이동 무선접속기술이 CDMA로 통일되어 있는 국내는 단말기 개발, 사업자간 연동 등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에 있지만 사업자간 경쟁 상황과 서비스 검증 사례가 충분치 않아 단일 규격의 선정이나 개발은 요원해지고 있음.
- 표준화 유도 및 세계적인 서비스 연계성 확보를 위해 사업자들은 GSM과
CDMA를 연결시키는 서비스의 개발과 서비스 인프라기술 및 상업적 콘텐츠 개발 등에 공동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 특히 CDMA통신망을 가장 크게 확보한 CDMA 종주국으로서 무선 인터넷서비스 트라이얼(Wireless Internet Service Trial)과 공동 프로토콜을 선정, 전세계 CDMA사업자에게 큰 영향을 끼칠 수 있어야 함.
○ 삼성의 진출 배경에는 삼성의 스마트폰으로 지금 사업자들이 시행중인 인터넷서비스를 사용하려면 각각의 사업자들별로 나뉘어진 인터넷 웹브라우저를 단말기에 장착하고, 그 단말기들을 각각의 사업자들에게 파는 수 밖에 없는데 그 공정이 번거롭고 또한 각 수요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애로가 있음.
- 이에 삼성의 입장으로는 자사의 고유 웹브라우저를 단말기에 장착, 자체 서버를 구축하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추진중이며,
-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려면 이동전화 사업자들과 계약을 맺고 그들의 회선을 이용해야 하는데, 회선 사용에 대한 과금 문제도 있거니와 기존 사업자들이 구축해놓은 인터넷서비스와 경쟁 체계로 가기 때문에 사업자들로선 자신의 회선을 경쟁자에게 빌려주는 형태가 되어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
이렇게 사업자들마다 서로 다른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든 하지 않든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이동전화 사업자와 단말기 제조업체간 협의를 거쳐 표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
 
다. 무선데이터 인프라 구축 사업
(1) 모바일 컨텐츠 인프라
○ 무선인터넷서비스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능력이 중요하나 단기적으로 인터넷서비스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콘텐츠의 종류에 달려 있음.
○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만 있다면 WAP 방식이 아닌 독자적인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 일본의 경우 [i모드]가 [WAP]보다 빠른 확산을 보이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i모드]를 지원하는 콘텐츠 인프라에 있었음.
○ 같은 프로토콜 체계를 사용하는 사업자들 사이에서는 콘텐츠의 공유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콘텐츠 구축 비용이 대폭 절감되고 그러면서도 콘텐츠 서비스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사용자는 더욱 만족할 수 있게 되는 연쇄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2) 휴대단말기 기술 고도화
○ 사업자가 적절한 컨텐츠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해도 단말기가 적정 수준까지 성능이 향상되지 않으면 인터넷서비스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음.
- 인터넷은 그동안 꾸준히 발전해와서 이제 거의 256Kbps 급으로 향상되었고, 또한 무한한 양의 정보를 띄우고 있는데, 14.4Kbps로 그 무한한 정보 사이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기란 요원하기 때문임.
○ 모바일 브라우저의 복수표준이 시행될 경우 서비스 사업자 선택에 따라 사용자들은 어느 쪽이든 대응 가능할 것으로 보임.
- 이 경우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방식이 다양할수록 모두를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기술적 복잡도가 증가하고 비용면에서도 압박 요인으로 작용함. 마이크로브라우저를 채택해야하는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이러한 번잡함은 시장의 지배적 방식이 판정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함.
라. 무선데이터서비스 이용환경 개선
○ 무선상거래 이용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안성이 우수한 기술을 채택하도록 유도하여야 함.
○ 무선인터넷 컨텐츠 창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

키워드

정보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전망
  • 가격3,3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02.12.21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