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도자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고려청자의 세계 >
1. 도자기의 정의
2. 도자기의 분류
3. 고려시대의 상감청자와 그 기법

< 상감 기법 >
1. 상감기법이란?
2. 상감기법의 방법

< 상감 청자>

본문내용

고 보여진다.
이러한 고려청자는 서민을 위한 것이 아니고 왕실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그들의 기호에 맞게 제작해야 했다. 고려시대의 귀족들은 화려한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모든 공예품도 밝고 화려하고 품위있는 것이 귀족들에게 환심을 사게 된다. 고려청자의 형태를 보면 화려한 곡선과 문양, 장식용청자, 향합이나 술병 등 즐기기 위한 용기가 많은 것을 보아도 그들의 기호를 짐작할 수 있다. 이러한 그들 귀족의 생활에 비추어 볼 때 , 상감청자는 귀족들의 환심을 사기에 충분했다. 도공의 입장에서 상감청자는 흑
<상감청자합 12세기중엽> 백의 대조적인 색상의 문양을 빈틈없이 넣어 청자색이 약간 떨어져도 화려하고 아름답게 보이면서 완벽한 소성으로 보여 순청자보다 제작이 훨씬 용이해 실패율이 적어 수요도 충족시킬 수 있고 새로운 작업으로 만족스럽고 의욕적으로 제작했을 것이다.
이렇게 상감청자의 개발은 진심으로 높게 평가하며 우리 선조의 크나큰 자랑이다.
< 참고 문헌 >
* 도예 이론과 실기 (서길용 저, 예술문화사)
*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 윤용이 지음, 학고재)
* 현대 도자예술 ( 정동훈 지음, 디자인 하우스)
* 도예의 기초 ( 임무근 엮음, 미진사)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12.23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6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