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제제기
2.북한의 문화관
3.북한의 남한문화인식
4.맺음말
참고문헌
2.북한의 문화관
3.북한의 남한문화인식
4.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페라까지 포함되는데 북한에서 꾸준하게 관찰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적절하지 못한 문화이해도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일국교정상화이후 일본문화의 유입을 비판하면서 일본영화의 범람을 주장하는데 실질적으로 일본영화의 남한 공연이 이루어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또한 남한문화의 바탕을 실존주의에 놓고 있는데(김철희, 1962; 20~.22), 이는 올바른 상황판단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남한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작가나 작품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를 북한에 바로 소개까지 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남한문화 인식은 기본적으로 북한이 문화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의 중심역할을 정치적 선전선동에 두고 있는 북한의 입장에서는 남한의 문화의 정치적 역할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또한 남한의 문화인식 자체가 북한 문화의 일부라고 본다면 남한문화인식도 북한의 이념적 지평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남한문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 혹은 오해도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북한체제가 경직되어있는 것처럼 남한체제 그리고 남한문화에 대한 인식도 경직되어 있는 것은 분명하나 최근 북한의 문예정책에서 외부문화에 대한 태도가 상대적으로 유연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정일은 "우리는 언제나 다른 나라의 문학을 주체적인 립장에서 공정하게 대하여야 하며 좋은 것은 허심하게 배울줄도 알아야 한다"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김정일, 1992; 271), 로빈슨크로소나 헴릿의 장점을 수용하여야 한다는 지적을 하고 있기도 하다(리기도, 1996; 72, 157). 그리고 과거 비판의 대상이었던 이광수 등의 근현대 문인, 실학자, 카프문학을 복원시키기도 하였다. 1990년대 북한을 대표하는 다부작 영화 『민족과 운명』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남한이나 자본주의 사회의 화려한 측면을 묘사하기도 한다. 물론 『민족과 운명』에서 강조하는 것은 화려함 뒤의 존재하는 수많은 문제점들이기는 하지만 과거 문학예술작품에서는 일방적으로 어둡고, 비참한 면을 그렸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최근 북한의 문건이나 작품에서 나오는 남한문화인식이 근본적인 변화는 아니겠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북한이 남한을 비롯한 자본주의문화를 수용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북한이 남한문화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남한이 북한 그리고 북한문화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그리고 어느정도나 알고 있는가를 반성해보는 것도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일 1992.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리기도. 1996. 『주체의 문예관과 외국문학』.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박승덕. 1985. 『사회주의문화건설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신기철.신용철 편. 1992. 『새우리말 큰 사전』. 서울: 삼성출판사.
이우영. 1994. 『남북한 문화정책 비교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현복. 1993. 『남북한 언어의 비교』. 통일원.
강은식. 1973. "경제문화적침투는 일본반동들의 해외침략의 올가미." 『근로자』 (1973 12)
김일성. 1961. "조선로동당 제4차대회에서한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 1961. 9. 11. 『김일성 선접 3』.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김일성. 1968. "국가활동의 모든 분야서 자주, 자립, 자위의 혁명정신을 구현하자." 1967. 12. 16. 『김일성 저작선집 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일성. 1980. "문화선전사업을 강화하여 대외무역을 발전시킬데 대하여," 1949. 7. 18. 『김일성 저작집 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재용 1992. "북한문학계의 '반종파투쟁'과 카프 및 항일혁명문학". 『역사비평』 16 (1992, 봄).
김찬호. 1964. "남조선에 대한 미제의 식민지 통치수법." 『근로자』 (1964 23)
김철희. 1962. "실존주의 반동성과 그것이 남조선 사상계에 미치는 해독적 작용." 『근로자』 (1962 14).
리상현. 1962. "최근 남조선문학에술의 경향성." 『근로자』 (1962 12)
리영환. 1984. "부패하고 퇴폐적인 미국식 생활양식." 『근로자』 (1984 8).
서치렬. 1987. "남조선에 류로되고 있는 미국식 생활양식의 해독적 후과." 『근로자』 (1987 12).
오양열. 1997. "남.북한 문예정책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은종섭. 1987. "남조선 반공문학의 민족반역적 정체." 『근로사』 (1987 8)
최필원. 1971. "남조선에 대한 미제 신식민주의 정책의 반동적 본질." 『근로자』. (1971 11).
한중모. 1992. 『주체적 문에리론의 기본 1: 사회주의 공산주의문학예술의 건설』. 평양: 문예출판사.
홍성락. 1974. "남조선에 대한 미제의 반동적인 사상문화적 침투와 양풍양화의 썩어빠진 풍조" 『근로자』 (1974 7).
Bottomre, Tom. 1983. A Dictionary of Marxist Thought. Worcester: Blackwell Reference.
Lenin, Vladumir Il'ich. 1980. "L.N. Tolstoy," Works of Lenin ⅩⅥ. Moscow: Progress Publisherss.
Lenin, Vladumir Il'ich. 1988. On Literature and Art. 이길주 옮김. 『레닌의 문학예술론』. 서울: 논장.
Marx & Engels. 1973. On literature and Art: A selection of writings. Lee Baxandall & Stefan Marawski, trans.& ed. St.Louis: Telos Press.
『백과전서』. 1983.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조선말대사전』. 199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조선중앙년감』. 1950~90.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넷째,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적절하지 못한 문화이해도 적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일국교정상화이후 일본문화의 유입을 비판하면서 일본영화의 범람을 주장하는데 실질적으로 일본영화의 남한 공연이 이루어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또한 남한문화의 바탕을 실존주의에 놓고 있는데(김철희, 1962; 20~.22), 이는 올바른 상황판단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다섯째, 남한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작가나 작품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를 북한에 바로 소개까지 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의 남한문화 인식은 기본적으로 북한이 문화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의 중심역할을 정치적 선전선동에 두고 있는 북한의 입장에서는 남한의 문화의 정치적 역할을 주목할 수밖에 없다. 또한 남한의 문화인식 자체가 북한 문화의 일부라고 본다면 남한문화인식도 북한의 이념적 지평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남한문화에 대한 왜곡된 인식 혹은 오해도 이러한 이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북한체제가 경직되어있는 것처럼 남한체제 그리고 남한문화에 대한 인식도 경직되어 있는 것은 분명하나 최근 북한의 문예정책에서 외부문화에 대한 태도가 상대적으로 유연해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김정일은 "우리는 언제나 다른 나라의 문학을 주체적인 립장에서 공정하게 대하여야 하며 좋은 것은 허심하게 배울줄도 알아야 한다"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김정일, 1992; 271), 로빈슨크로소나 헴릿의 장점을 수용하여야 한다는 지적을 하고 있기도 하다(리기도, 1996; 72, 157). 그리고 과거 비판의 대상이었던 이광수 등의 근현대 문인, 실학자, 카프문학을 복원시키기도 하였다. 1990년대 북한을 대표하는 다부작 영화 『민족과 운명』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남한이나 자본주의 사회의 화려한 측면을 묘사하기도 한다. 물론 『민족과 운명』에서 강조하는 것은 화려함 뒤의 존재하는 수많은 문제점들이기는 하지만 과거 문학예술작품에서는 일방적으로 어둡고, 비참한 면을 그렸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최근 북한의 문건이나 작품에서 나오는 남한문화인식이 근본적인 변화는 아니겠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북한이 남한을 비롯한 자본주의문화를 수용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북한이 남한문화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 않게 남한이 북한 그리고 북한문화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그리고 어느정도나 알고 있는가를 반성해보는 것도 중요한 작업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정일 1992. 『주체문학론』.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리기도. 1996. 『주체의 문예관과 외국문학』.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박승덕. 1985. 『사회주의문화건설리론』.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신기철.신용철 편. 1992. 『새우리말 큰 사전』. 서울: 삼성출판사.
이우영. 1994. 『남북한 문화정책 비교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이현복. 1993. 『남북한 언어의 비교』. 통일원.
강은식. 1973. "경제문화적침투는 일본반동들의 해외침략의 올가미." 『근로자』 (1973 12)
김일성. 1961. "조선로동당 제4차대회에서한 중앙위원회 사업총화보고." 1961. 9. 11. 『김일성 선접 3』.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김일성. 1968. "국가활동의 모든 분야서 자주, 자립, 자위의 혁명정신을 구현하자." 1967. 12. 16. 『김일성 저작선집 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일성. 1980. "문화선전사업을 강화하여 대외무역을 발전시킬데 대하여," 1949. 7. 18. 『김일성 저작집 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김재용 1992. "북한문학계의 '반종파투쟁'과 카프 및 항일혁명문학". 『역사비평』 16 (1992, 봄).
김찬호. 1964. "남조선에 대한 미제의 식민지 통치수법." 『근로자』 (1964 23)
김철희. 1962. "실존주의 반동성과 그것이 남조선 사상계에 미치는 해독적 작용." 『근로자』 (1962 14).
리상현. 1962. "최근 남조선문학에술의 경향성." 『근로자』 (1962 12)
리영환. 1984. "부패하고 퇴폐적인 미국식 생활양식." 『근로자』 (1984 8).
서치렬. 1987. "남조선에 류로되고 있는 미국식 생활양식의 해독적 후과." 『근로자』 (1987 12).
오양열. 1997. "남.북한 문예정책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은종섭. 1987. "남조선 반공문학의 민족반역적 정체." 『근로사』 (1987 8)
최필원. 1971. "남조선에 대한 미제 신식민주의 정책의 반동적 본질." 『근로자』. (1971 11).
한중모. 1992. 『주체적 문에리론의 기본 1: 사회주의 공산주의문학예술의 건설』. 평양: 문예출판사.
홍성락. 1974. "남조선에 대한 미제의 반동적인 사상문화적 침투와 양풍양화의 썩어빠진 풍조" 『근로자』 (1974 7).
Bottomre, Tom. 1983. A Dictionary of Marxist Thought. Worcester: Blackwell Reference.
Lenin, Vladumir Il'ich. 1980. "L.N. Tolstoy," Works of Lenin ⅩⅥ. Moscow: Progress Publisherss.
Lenin, Vladumir Il'ich. 1988. On Literature and Art. 이길주 옮김. 『레닌의 문학예술론』. 서울: 논장.
Marx & Engels. 1973. On literature and Art: A selection of writings. Lee Baxandall & Stefan Marawski, trans.& ed. St.Louis: Telos Press.
『백과전서』. 1983.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조선말대사전』. 199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조선중앙년감』. 1950~90.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추천자료
[북한 핵문제]북한 핵문제의 성격, 북한 핵무기의 개발 현황, 북한 핵위기와 남북관계, 북한 ...
[북한][북한문화][북한주거환경][북한가전제품][북한대중교통][북한문학][북한영화][북한우표...
[북한지원][대북지원사업][북한식량난][북한이탈주민][탈북자][북한어린이][북한의료]북한지...
[북한교육][북한의 교육]북한교육의 성격, 북한교육의 목표, 북한교육의 체계, 북한교육의 내...
[북한교육][교육중점][교과목][교과서]북한교육의 특성, 북한교육의 이념, 북한교육의 교육중...
[북한의 교육][북한교육][국어교육][사회교육][도덕교육][세계사교육][영재교육][사상교육]북...
[북한교육][북한교육제도][북한교육정책]북한교육의 특징, 북한교육의 목적, 북한교육의 이념...
[북한농업][북한농업 침체원인][농업협력][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농업 개방사례]북한농업 실...
[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
[북한 금융기관, 북한 금융체계, 북한 금융문제점, 북한 금융개혁방향, 북한 금융전망, 북한,...
[북한이탈주민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 지원체계]북한이탈주민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의 ...
[북한 정보기술, IT, 북한 정보기술(IT) 환경, 북한 정보기술(IT) 인력, 북한 정보기술(IT) ...
[북한문화재, 북한문화재와 평양, 북한문화재와 대동문, 개성, 숭인전, 수산리고분벽화]북한...
[북한사회의 이해] 북한의 식량난 조사 {북한사회의 식량난, 식량난의 결과, 북한의 식량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