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기영의 생애
작가론
작품론
맺음말
참고서적
작가론
작품론
맺음말
참고서적
본문내용
유학생 출신 김희준이 등장하였다. 김희준은 몰락한 중간층의 자식에서 소작농으로 떨어진 동경유학을 거친 인테리이다. "고토의 동포를 진리의 경종으로 깨우치자"는 생각으로 안락한 소시민적 삶의 길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와 농사짓고 살게 된 사람이다. 그는 보수성과 숙명론적 인생관, 소소유자적 이기주의에 부딪혀 좌절하기도 하며, 자신의 불행한 조혼과 연애 문제로 격심한 내면 갈등을 겪기도 하고, 자신 속에 은밀히 도사린 인테리 근성과 소시민적 패배주의를 극복하고자 끊임없는 자기 비판을 자신을 향해 돌리며 고뇌하는, 살아 반전하는 인물이다. 작품 전개와 함께 김희준은 매개적 인물로 부상, 폐쇄된 농민들의 의식을 깨우쳐 농민의 집단 의식을 결집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향에서 아쉬운 점은 마름 안승학의 모습 희화화로 인하여 리얼리티를 격감시키고, 작품속 농민계층분해의 양상이 회상으로 처리되며, 민중 계몽자로서의 김희준의 세계관의 부재와, '어떻게하면 살 도리가 있을까?' '어디로 가면 살 도리가 있을까?하는 민중의 물음에 대해서 명료한 해답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 맺음말
20년대를 문제삼든 30년대를 문제삼든 특정한 시대의 문학을 대상으로 삼을 때, 그 시대의 문학이 보여준 특수한 색조는 당대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상황과 어떤 식으로든 뗄레야 뗄 수 없는 관련이 있기 마련이다. 특히 식민지 시대처럼 우리 민족과 무관한 채 강요되는 억압체제가 필연적으로 야기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후진성 혹은 낙후성에 대해서는 좀더 냉정하게 직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는 곧잘 식민지시대에 대해서 식민지시대 자체의 낙후성보다는 우리 자신도 모르게 민족주의적 열정과 분노라는 감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기 쉽다. 그러한 점들로 인하여 프로문학은 우리 문단사에 전체적 재평가 속에서 재구성방식이 아닌 마치 빠진 부분을 부록식으로 첨가하는 형태와 흡사했다. 이는 우리 문학사를 축소시키고 기형적이게 만들었다. 프로문학도 이제 우리 근대문학사 전반 속에서 여타 문학적 흐름과 상관관계 속에서 객관적으로 그 위치를 규명하여 실제 문학사 서술로 구체화되어야하겠다.
※ 참고서적
고향 이기영 문학사상사 1994
가난한 사람들 이기영 푸른사상사 2001
새미작가총서1 정호웅外 새미 1995
현실변혁의 소설담론 백성우 국학자료원 1997
한국근대소설사연구 양문규 국학자료원 1994
한국근대소설의 이념과 체제 임규찬 태학사 1998
그러나 고향에서 아쉬운 점은 마름 안승학의 모습 희화화로 인하여 리얼리티를 격감시키고, 작품속 농민계층분해의 양상이 회상으로 처리되며, 민중 계몽자로서의 김희준의 세계관의 부재와, '어떻게하면 살 도리가 있을까?' '어디로 가면 살 도리가 있을까?하는 민중의 물음에 대해서 명료한 해답을 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 맺음말
20년대를 문제삼든 30년대를 문제삼든 특정한 시대의 문학을 대상으로 삼을 때, 그 시대의 문학이 보여준 특수한 색조는 당대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상황과 어떤 식으로든 뗄레야 뗄 수 없는 관련이 있기 마련이다. 특히 식민지 시대처럼 우리 민족과 무관한 채 강요되는 억압체제가 필연적으로 야기할 수밖에 없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후진성 혹은 낙후성에 대해서는 좀더 냉정하게 직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는 곧잘 식민지시대에 대해서 식민지시대 자체의 낙후성보다는 우리 자신도 모르게 민족주의적 열정과 분노라는 감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기 쉽다. 그러한 점들로 인하여 프로문학은 우리 문단사에 전체적 재평가 속에서 재구성방식이 아닌 마치 빠진 부분을 부록식으로 첨가하는 형태와 흡사했다. 이는 우리 문학사를 축소시키고 기형적이게 만들었다. 프로문학도 이제 우리 근대문학사 전반 속에서 여타 문학적 흐름과 상관관계 속에서 객관적으로 그 위치를 규명하여 실제 문학사 서술로 구체화되어야하겠다.
※ 참고서적
고향 이기영 문학사상사 1994
가난한 사람들 이기영 푸른사상사 2001
새미작가총서1 정호웅外 새미 1995
현실변혁의 소설담론 백성우 국학자료원 1997
한국근대소설사연구 양문규 국학자료원 1994
한국근대소설의 이념과 체제 임규찬 태학사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