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서를 중심으로한 율법 과 은혜 에 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 1
A. 논문의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범위 ...................................... 2

II. 율법과 은혜에 대한 언어고찰 ............................ 4
A. 율 법 ............................................... 4
1. 구약에 나타난 율법에 대한 언어고찰 ................ 4
2. 신약에 나타난 율법에 대한 언어고찰 ................ 6
3. 바울의 s 사용 ................................. 8
B. 은 혜 ............................................... 10
1. 구약에 나타난 은혜에 대한 언어고찰 ................ 10
2. 신약에 나타난 은혜에 대한 언어고찰 ................ 11
3. 바울의 s 사용 ................................. 12

III. 바울의 사상적 배경 .................................... 14
A. 유대주의 사상 ......................................... 14
B. 헬라주의 사상 ......................................... 20
C. 다메섹 체험 ........................................... 29

IV. 로마서의 역사적 신학적 배경 ............................ 32
A. 역사적 배경 ........................................... 32
1. 로마교회 .......................................... 33
2. 저작연대 및 목적 .................................. 37
B. 신학적 배경 ........................................... 38
1. 로마서의 성격 ..................................... 39
2. 중심적 사상 ....................................... 45

V. 로마서에 나타난 바울의 율법과 은혜사상 .................. 51
A. 교리적 이해 ........................................... 51
1. 율법에 대한 교리적 이해 ........................... 51
2. 은혜에 대한 교리적 이해 ........................... 56
B. 실천적 이해 ........................................... 59
1. 율법에 대한 실천적 이해 ........................... 59
2. 은혜에 대한 실천적 이해 ........................... 63

VI. 결 론 .............................................. 68

* 참 고 문 헌 .............................................. 71

본문내용

New Testament Studies, Vol. 21, 1975.
Bultmann, R.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New York : Charles Scribners Son, 1954, Vol. I.
Buttrick, G. A. and Athers.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Vol. III. Nashville : Abingdon Press, 1962.
Deissmann, G. A. Paul, trans by William E. Willson, Peter Smith, 1972.
Gilliland, D. S. Pauline Theology & Mission Practice, Michigan : Baker Book House, 1980.
Kennedy, H. A. A. The Theology of the Epistles, London : Duck Worth, 1959.
Kittle, G. Theolog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 Co., 1975.
Longenecker, R. The ministry and message of paul, Michigan : Eodervon, 1973.
Martin, J. P. "The Kerygma of Romans" Interpretation, 25, 1971.
Moffat, J. G. Grace in the New Testament, Hodder & Stoughton, London, 1931.
Munck, J. Paul and the Salvation of Mankind, Richmond : Jhon Knox Press, 1959.
Roetzel, C. J. The Letters of Paul : Conversations in Context, Atlanta : Jhon Knox Press, 1975.
Samuel, J. Mikolaski. The Grace of God, Eerdmans : U. S., 1966.
Schoeps, H. J. Paul, Philadelphia : The Westminster Press, 1974.
Schweitzer, A. The Mysticism of Paul the Apostle, London : Adam and Charles Black, 1953.
Seyoon, K. The Origin of Paul's Gospel, Michigan : Eerdmans, 1982.
Stewart, J. S. A man in Christ, Michigan : Beker Book House, 1980.
Young. Analytical Concodance to the Bible, Luther Worth, 1987.
2. 번 역 서 적
디벨리우스, M. 「바울」 전경연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65.
디한, 엠, 알. 「율법이냐 은혜냐」 이용화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62.
메이첸, G. 「바울의 신학」 김남식 역, 서울 : 성문 출판사, 1979.
바클레이, W. 「바울의 인간과 사상」 서기산 역, 서울 : 교문사, 1974.
부루스, F. F. 「신약사」 나용화 역, 서울 : 예수교 문서 선교회, 1983.
불트만, R.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유동식, 허 역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69.
스토트, J. R. W. 「새사람, 롬 5-8」 김유배 역, 서울 : 엠마오, 1985.
워치만, 니. 「복음에 관한 대화」 권달천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퍼니쉬, V. P. 「바울의 신학과 윤리」 김용옥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헐버, 로버트, G. 「이해를 위한 신약성서 연구」 김영봉 역, 서울 : 컨콜디아사, 1988.
화이틀리, D. H. 「바울신학」 한의신 역, 서울 : 나단 출판사, 1983.
3. 국 내 서 적
김철손 외 4인 공저. 「신약 성서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3.
박근용. 「바울의 로마서 이해」 서울 : 두란노서원, 1987.
신성종. 「신약신학」 서울 : 기독교 문서 선교회, 1983.
이상훈. 「바울의 신학」 부천 : 서울 신학 대학, 1979.
______. 「신약개설」 서울 : 종로서적 출판 주식회사, 1984.
이종윤. 「신약개론」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9.
장훈성.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 해설」 서울 : 한국 복음 문서연구회, 1983.
전경연. 「원시 기독교와 바울」 서울 : 기독교서회, 1982.
______. 「로마서 연구」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63.
전경연 외 4인 공저. 「신약 성서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81.
4. 주 석
렌스키. 「로마서 주해」 김진홍 역, 서울 : 백합 출판사, 1974.
머리, 죤. 「로마서 上,下」 권혁봉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79.
이상근. 「로마서 주해」 서울 : 총회교육부, 1976.
______. 「신약주해 갈. 히브리서」 서울 : 총회교육부, 1978.
이순한. 「로마서 강해」 서울 : 한국 기독교 교육원, 1984.
임명수. 「로마서」 서울 : 한국 문서 선교회, 1990.
조선출. 「로마서」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1.
칼 빈, J. 「신약 성경 주석」 Vol. 6. 서울 : 성서 교재 간행사, 1980.
핸드릭슨, W. 「로마서 上, 下」 손종국 역,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2.
5. 사 전
문희석 외 4인 공저. 「성서백과 대사전」 서울 : 성서 교재 간행사, 1981.
이성호 편. 「성서 대사전」 서울 : 성서 교재 간행사, 1980.
조선출 편. 「그리스도교 대사전」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7.
6. 잡 지
권혁봉. 「율법폐기론에 관한 고찰」 침례신학 대학교지, 1982년 17호, 침신대 출판부.
장 상. 바울사상의 이해와 문제점 「신학사상」 29,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81. 봄.
______. 선교신학자 바울과 갈라디아서 「성서와 현대목회」 서울 : 연세대학교 신학대학, 1983.

키워드

로마서,   율법,   은해
  • 가격3,000
  • 페이지수65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