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1
제 2 장 예수의 종말론 사상 .........................................3
제1절 예수 당시 유대인들의 종말론 사상 ........................3
제2절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론 사상 .....................5
1. 종말론의 구조.................................................5
2. 개인의 종말론.................................................9
제 3 장 바울의 종말론 사상.........................................11
제1절 바울의 종말론 사상의 구조................................12
제2절 바을의 개인 종말론.........................................14
1. 중간상태......................................................14
2. 그리스도의 재림.............................................15
3. 부활과 심판..................................................18
제 4 장 결 론.......................................................20
참 고 문 헌...............................................................22
제 2 장 예수의 종말론 사상 .........................................3
제1절 예수 당시 유대인들의 종말론 사상 ........................3
제2절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종말론 사상 .....................5
1. 종말론의 구조.................................................5
2. 개인의 종말론.................................................9
제 3 장 바울의 종말론 사상.........................................11
제1절 바울의 종말론 사상의 구조................................12
제2절 바을의 개인 종말론.........................................14
1. 중간상태......................................................14
2. 그리스도의 재림.............................................15
3. 부활과 심판..................................................18
제 4 장 결 론.......................................................20
참 고 문 헌...............................................................22
본문내용
말론 사상은 예수 당시의 종말론과 예수의 종말론 사상과는 많은 공통점이 있으나 서로 다른 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예수님의 종말 사상은 매우 독특한 형태의 종말론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유대인들은 묵시적 종말론 사상인데, 이는 하나님의 나라가 하늘로부터 서서히 와서 성장하는 형태보다는 완전에게 임하는 하나님의 나라와 성과 속이 확연하게 구별될 종말 그리고 성지 중심으로 이스라엘 민족 중심의 하나님의나라가 도래하는 사상이다. 그런데 예수는 이러한 현상들이 구체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아직도 현 세상의 상태가 유지되면서 현 세계 안에 하나님의 나라 안에 이미 도래하지만, 미래에 하나님의 나라가 완전하고 영광스럽게 강력하게 도래할 것을 선언하셨다. 다시말해서 예수님께서는 종말을 하나님의 나라 차원에서 현재적인 측면과 미래적인 측면을 말하면서 오순절 사건 이후 신약의 성도들에게는 미래적인 종말론적인 나라가 이미 현재화(先取)되었으며, 주의 재림과 함께 주어질 그 완성을 여전히 기대하고 있는 종말을 말씀하셨다. 이와 같은 예수의 종말론 사상은 초대교회와 바울을 위시하여 신약성경저자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바울의 종말론의 사상은 어떤 전통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예수 안에 나타난 종말론 사상을 토대로 한 종말론 사상이다. 바울 역시 예수와 같이 유대적 종말론의 형식들과는 구분이 되어지는 완전히 독립된 독특한 종말론을 보여주고 있다. 바울의 종말론은 철저한 그리스도 중심의 종말론인데, 그 구조는 이 시대와 오는 시대의 종말론적 이원론으로 되었다. 그리고 이미와 아직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긴장된 상태 속에서 살아야 하는 종말론적인 성도의 삶을 있는 종말론 사상이다.
그러므로 예수의 종말론의 사상과 바울의 종말론의 사상은 서로 같은 구조 속에 있다. 이는 바울이 예수의 종말론의 사상을 토대로 그의 사상을 전개한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바울을 보면, 그는 예수의 철저한 종이었고 사도였다. 그리고 바울은 어느 누구보다도 예수의 가르치심의 본의(本意)를 분명히 깨달았으며, 주의 본을 따라 외인에게 구원의 경륜을 선포한 자이다.
참 고 문 헌
1. 외국서적
Boyer, James L., 'New Testament Chronological Chart', Winona Lake, Ind,: James L Boyer, 1961.
Bultmann, R., 'Jesus and Word', London: SCM Press, 1934,1958, Lake, Ind,: James L Boyer, 1961.
Charles, R. H., 'A Critical History of the Doctrine of a Future Life', New York: Schocken, 1963.
Cullmann, Oscar., 'Immortality of the Soul or Resurrection of the Dead', New York: Macmillan,1964.
--------------,'Salvation in History', trans. S. G. Sowers, New York:Harper and Row, 1967.
Gromacki, Robert G., 'New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Baker, 1974.
Harrison, Everett F.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1964.
Hengel, M., 'The Origin of the Christian Mission', "Between Jesus and Paul",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3.
Sanders, E. P. 'Jesus and Judaism',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5.
Stonehouse, N. B. 'Origins of the Synoptic Gospel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9.
--------------., 'The Witness of Luke to Christ', Grand Rapids:Baker Book House, 1979.
Tenney, Merrill C. 'New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Eerdmans, 1961.
.
2. 번역서
Barclay, William., '바울신학개론', 박문재 역, 서울:크리스챤 다이 제스트, 1993.
Beasley, G. R. - Murray.,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박문재 역, 서 울: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1.
Bruce, F. F., '바울과 예수', 이길상 역, 서울:아가페출판사,1988.
----------, '바울신학', 정원태 역,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1990.
Clouse Robert G 편집, '천년왕국', 권호덕 역(서울:성광문화 사,1985.
Goppelt, Leonhard., '신약신학Ⅰ', 박문재 역, 서울:크리스챤 다이제 스트, 1992.
Jeremias, Joachim., '신약신학', 정충하 역, 서울: 새순출판사, 1990.
Ladd, G. E. '신약신학', 이창우 역,서울:성광문화사, 1988.
---------,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 이태웅 역,서울:엠마오, 1985
Lehman, Chester. K. '성경신학', 김인환 역, 서울:크리스챤 다이제 스트,1994.
Ridderbos, Herman '바울신학', 박영희역, 서울:지혜문화사,1985.
--------., '바울과 예수', 이한수 역, 서울:한국로고스연구원,1988.
Travis, Stephen H. '종말론 해석', 김근수 역, 서울:기독교문서선 교회, 1988.
Vos, G., '바울의 종말론', 이승구,오광만 공역, 서울:엠마오, 1990.
3. 사전류
Kittel, Gerhard. Editor, TDNT Ⅲ, Grand Rapids: WM.B. Eerdmans, Publishing Company.1982.
신학사전편집위원회 편, '신학사전',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3.
바울의 종말론의 사상은 어떤 전통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예수 안에 나타난 종말론 사상을 토대로 한 종말론 사상이다. 바울 역시 예수와 같이 유대적 종말론의 형식들과는 구분이 되어지는 완전히 독립된 독특한 종말론을 보여주고 있다. 바울의 종말론은 철저한 그리스도 중심의 종말론인데, 그 구조는 이 시대와 오는 시대의 종말론적 이원론으로 되었다. 그리고 이미와 아직사이에 일어나고 있는 긴장된 상태 속에서 살아야 하는 종말론적인 성도의 삶을 있는 종말론 사상이다.
그러므로 예수의 종말론의 사상과 바울의 종말론의 사상은 서로 같은 구조 속에 있다. 이는 바울이 예수의 종말론의 사상을 토대로 그의 사상을 전개한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바울을 보면, 그는 예수의 철저한 종이었고 사도였다. 그리고 바울은 어느 누구보다도 예수의 가르치심의 본의(本意)를 분명히 깨달았으며, 주의 본을 따라 외인에게 구원의 경륜을 선포한 자이다.
참 고 문 헌
1. 외국서적
Boyer, James L., 'New Testament Chronological Chart', Winona Lake, Ind,: James L Boyer, 1961.
Bultmann, R., 'Jesus and Word', London: SCM Press, 1934,1958, Lake, Ind,: James L Boyer, 1961.
Charles, R. H., 'A Critical History of the Doctrine of a Future Life', New York: Schocken, 1963.
Cullmann, Oscar., 'Immortality of the Soul or Resurrection of the Dead', New York: Macmillan,1964.
--------------,'Salvation in History', trans. S. G. Sowers, New York:Harper and Row, 1967.
Gromacki, Robert G., 'New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Baker, 1974.
Harrison, Everett F.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1964.
Hengel, M., 'The Origin of the Christian Mission', "Between Jesus and Paul", Philadelphia Fortress Press,1983.
Sanders, E. P. 'Jesus and Judaism',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5.
Stonehouse, N. B. 'Origins of the Synoptic Gospel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1979.
--------------., 'The Witness of Luke to Christ', Grand Rapids:Baker Book House, 1979.
Tenney, Merrill C. 'New Testament Survey', Grand Rapids: Eerdmans, 1961.
.
2. 번역서
Barclay, William., '바울신학개론', 박문재 역, 서울:크리스챤 다이 제스트, 1993.
Beasley, G. R. - Murray.,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박문재 역, 서 울: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1.
Bruce, F. F., '바울과 예수', 이길상 역, 서울:아가페출판사,1988.
----------, '바울신학', 정원태 역,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1990.
Clouse Robert G 편집, '천년왕국', 권호덕 역(서울:성광문화 사,1985.
Goppelt, Leonhard., '신약신학Ⅰ', 박문재 역, 서울:크리스챤 다이제 스트, 1992.
Jeremias, Joachim., '신약신학', 정충하 역, 서울: 새순출판사, 1990.
Ladd, G. E. '신약신학', 이창우 역,서울:성광문화사, 1988.
---------,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 이태웅 역,서울:엠마오, 1985
Lehman, Chester. K. '성경신학', 김인환 역, 서울:크리스챤 다이제 스트,1994.
Ridderbos, Herman '바울신학', 박영희역, 서울:지혜문화사,1985.
--------., '바울과 예수', 이한수 역, 서울:한국로고스연구원,1988.
Travis, Stephen H. '종말론 해석', 김근수 역, 서울:기독교문서선 교회, 1988.
Vos, G., '바울의 종말론', 이승구,오광만 공역, 서울:엠마오, 1990.
3. 사전류
Kittel, Gerhard. Editor, TDNT Ⅲ, Grand Rapids: WM.B. Eerdmans, Publishing Company.1982.
신학사전편집위원회 편, '신학사전',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1993.
추천자료
역사적 예수 탐구 그 학파에 따른 예수 탐구
예수 그리고 사이버 세계
예수와 4복음서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의 사건에 참여하는 성령의 역동적 관계성 연구
하나님의 이름, 하나님 이름의 의미,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 절대적 속성, 바르트 하나님인식...
우리의 주님 예수 그리스도 (레온모리스-신약신학)
예수의 죽음과 부활
예수와 4복음서 서평
예수 공동체의 형성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 명칭과 복음, 그리스도(예수그리스도, 예수) 법과 재림, 그리...
예수 그는 누구인가
[성경 사도행전][성서][성경 사도행전 구조][성경 사도행전 내용][예수 케리그마]성경(성서) ...
예수 잘 믿은 사람이 죽어도 천국 직행하지 않는다
<예수와 사복음서>읽고, [서평] _ 존 드레인 (John William Drane)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