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1.연구의 동기와 목적 1
2.연구의 방법과 범위 1
Ⅱ. 성령의 본질 2
1.성령의 어의 2
2.성령의 속성 3
Ⅲ. 성령세례 5
1.성령세례의 본질 5
(1)성령세례의 언어적 의미 5
(2)성령세례의 성경적 이해 5
2.중생과 성령세례와의 관계 7
(1)중생과 성령세례를 다르게 보는 견해 7
(2)중생과 성령세례를 동일하게 보는 견해 9
3.오순절 사건과 성령세례 10
(1)오순절과 성령세례 11
(2)오순절주의자들의 견해 11
(3)개혁주의자들의 견해 14
Ⅳ. 성령충만 16
1.성령충만의 의미 16
2.성령충만의 실제성 17
(1)성령충만의 실제 17
(2)성령충만의 결과 18
Ⅴ.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관계 20
1.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을 동일하게 보는 견해 20
2.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을 다르게 보는 견해 21
Ⅵ. 결 론 23
* 참 고 문 헌 25
1.연구의 동기와 목적 1
2.연구의 방법과 범위 1
Ⅱ. 성령의 본질 2
1.성령의 어의 2
2.성령의 속성 3
Ⅲ. 성령세례 5
1.성령세례의 본질 5
(1)성령세례의 언어적 의미 5
(2)성령세례의 성경적 이해 5
2.중생과 성령세례와의 관계 7
(1)중생과 성령세례를 다르게 보는 견해 7
(2)중생과 성령세례를 동일하게 보는 견해 9
3.오순절 사건과 성령세례 10
(1)오순절과 성령세례 11
(2)오순절주의자들의 견해 11
(3)개혁주의자들의 견해 14
Ⅳ. 성령충만 16
1.성령충만의 의미 16
2.성령충만의 실제성 17
(1)성령충만의 실제 17
(2)성령충만의 결과 18
Ⅴ.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관계 20
1.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을 동일하게 보는 견해 20
2.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을 다르게 보는 견해 21
Ⅵ. 결 론 23
* 참 고 문 헌 25
본문내용
할 수 있다.
)신성종, 「신약신학」(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pp. 134-135.
이상에서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차이점의 증거로 보아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Ⅵ.결 론
솔직히 말해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결론을 내리고 싶지는 않다.비록 글의 방법이 전통적인 견해 즉 개혁주의자들의 견해에 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의 견해 역시 모두 옳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혁주의자들의 견해를 보면,
첫째로,체험을 너무 무시한다.이에 대해서는 개혁주의 내에서도 많은 지적이 나오고 있고,오순절로부터도 가정 공격을 많이 받는 것 중의 하나이다.
둘째로,신자들의 영적인 고통을 너무 도외시한다.오순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그만큼 시원한 대답으로 영적 고통의 문제를 잘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세째로,교회의 영적인 침체이다.영적고통이 개인의 문제라면 영적침체는 현대교회,특히 개혁주의의 고민거리이다.
네째로,성령세례의 유사개념이다.오순절주의자의 성령세례의 의미와 유사한 개념,즉 전통개념의 성령충만보다 더 깊고 뜨거운 영적 체험의 상태를 전통견해자들도 분명히 인정하고 있다.이것을 Stott와 홍정길 목사는 성령의 기름부으심'이라고 설명한다.물론 완전하게 인정은 안하지만 은근히 완곡하게 표현하고 있다.
)고사일, 근래의 성령론 유형에 대한 성령세례'중심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88), p. 41.
이렇게 개혁주의의 견해에 몇몇 모순점이 발견되지만 따르게 되는 것은 오순절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이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크기 때문이다.물론 오순절운동이 성령론에 대한 무관심을 깨트렸고,타락되는 교회를 갱생시켰으며 기존 교단의 침체와 무감각을 깨우치는 계기가 된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의 이론에는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이 뒤따른다.
첫째,오랜 동안의 기독교 역사가 소위 성령세례적 은사와 방언에 의해서 유지된 적은 없다.그것은 방언과 은사가 아닌 보혜사의 인도하심 때문이었다.
둘째,삼위일체중 성령의 사역만을 강조하고 있다.
세째,체험을 너무 강조하므로 유치하고 천박하다.
네째,체험을 강조하지만 자기네 것만 내세운다.
다섯째,성령충만을 감격 일색으로 대치하려 한다.
)Ibid.
어느 쪽의 견해가 옳으냐 하는 이 문제가 확실히 해결되자면 많은 연구의 땀을 퍼붓는 다 할지라도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왜냐하면 이 문제의 답은 연구'보다는 시간'에 달려있을테니까.아니 어쩌면 주님이 오실 그 때까지도 해결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하지만 내게 굳이 한 쪽의 견해를 택하라고 한다면 내 좁은 지식으로 바라보고 연구한 결과 성경에 비추어 볼 때,비록 모순점은 있지만,좀더 성경의 진리에 가까운 전통적인 견해 즉 성령세례는 곧 중생이며 성령충만과는 구별되어진다는 성령론을 택하면서 이 글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 참 고 문 헌 *
1.국내 서적
김은종, 「문답식 성령론」. 서울 : 목회자료사, 1981.
박윤선, 「사도행전」. 서울 : 영음사, 1974.
, 「성령신학」. 서울 : 영음사, 1984.
박형용, 「사도행전」. 서울 : 성광문화사, 1984.
신성종, 「신약신학」.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옥한흠편, 「한국교회와 성령운동」. 서울 : 정음문화사, 1984.
, 「현대교회와 성령운동」. 서울 : 정음문화사, 1984.
이상근, 「고린도전서 주해」. 서울 : 예장총회교육부, 1981.
조용기, 「성령론」. 서울 : 서울서적, 1989.
황승룡편, 「신학적 성령론」. 서울 :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1989.
윌리엄 A.콜드웰, 「오순절 성령세례」. 서울 : 영산출판사, 1976.
2.외국 서적
Berkhof Hendrikus. The Doctine of the Holy Spirit. Atranta : John knox Press, 1964.
Riggs,Ralph M. The Spirit himself. Springfield : Gospel publishing Co., 1986.
Stott,John R.W. Baptism and Fullness. Downers Grove : Intervarsity Press, 1971.
3.번역서
D.W.로이드 존스, 「성령세례」. 정원태 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82.
Edwin H.Palmer, 「성령」. 최낙재 역.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0.
F.D.브룬너, 「성령신학」. 김명용 역. 서울 : 나눔사, 1989.
Hans Walter Wolff, 「구약성서의 인간학」. 문희석 역. 왜관 : 분도출판사, 1976.
John 스토트, 「오늘날의 성령의 사역」. 조병수 역. 서울 :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83.
John 월부어드, 「성령」. 이동원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Rene Pache, 「성령의 인격과 역사」. 정학봉 역. 서울 : 요단출판사, 1980.
4.정기간행물 및 논문집
고사일. 근래의 성령론 유형에 대한 성령세례'중심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88.
김이곤 루아하의 의미와 그 활동상. 「세계와 선교」, no 92(1977.8), p. 16.
김치원 중생과 성령세례. 「풀빛목회」, no 94(1989.9), p. 39.
박정인.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1991.
박아론 오순절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총신대 목회신학원 강의집」제 7권, 서울 : 유나온 학술자료원, p. 201.
박형용 성령충만이란 무엇인가. 「월간목회」, no ?(1990.5), pp. 166-168.
변종길. 오순절 운동과 성령세례에 관한 연구. 신학연구과 졸업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91.
송홍도. 중생,성령세례,성령충만의 관계 고찰. 석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1993.
이종선. 중생과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장신대학교 대학원, 1990.
한영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령에 관한 연구. TH.D.Liss. 서울신학대학 대학원, 1990.
Richard Gaffin 현대교회의 성령운동에 대한 평가. 「성경과 신학」제 3권,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6.
)신성종, 「신약신학」(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pp. 134-135.
이상에서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차이점의 증거로 보아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Ⅵ.결 론
솔직히 말해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결론을 내리고 싶지는 않다.비록 글의 방법이 전통적인 견해 즉 개혁주의자들의 견해에 따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의 견해 역시 모두 옳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혁주의자들의 견해를 보면,
첫째로,체험을 너무 무시한다.이에 대해서는 개혁주의 내에서도 많은 지적이 나오고 있고,오순절로부터도 가정 공격을 많이 받는 것 중의 하나이다.
둘째로,신자들의 영적인 고통을 너무 도외시한다.오순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그만큼 시원한 대답으로 영적 고통의 문제를 잘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세째로,교회의 영적인 침체이다.영적고통이 개인의 문제라면 영적침체는 현대교회,특히 개혁주의의 고민거리이다.
네째로,성령세례의 유사개념이다.오순절주의자의 성령세례의 의미와 유사한 개념,즉 전통개념의 성령충만보다 더 깊고 뜨거운 영적 체험의 상태를 전통견해자들도 분명히 인정하고 있다.이것을 Stott와 홍정길 목사는 성령의 기름부으심'이라고 설명한다.물론 완전하게 인정은 안하지만 은근히 완곡하게 표현하고 있다.
)고사일, 근래의 성령론 유형에 대한 성령세례'중심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88), p. 41.
이렇게 개혁주의의 견해에 몇몇 모순점이 발견되지만 따르게 되는 것은 오순절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이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크기 때문이다.물론 오순절운동이 성령론에 대한 무관심을 깨트렸고,타락되는 교회를 갱생시켰으며 기존 교단의 침체와 무감각을 깨우치는 계기가 된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의 이론에는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이 뒤따른다.
첫째,오랜 동안의 기독교 역사가 소위 성령세례적 은사와 방언에 의해서 유지된 적은 없다.그것은 방언과 은사가 아닌 보혜사의 인도하심 때문이었다.
둘째,삼위일체중 성령의 사역만을 강조하고 있다.
세째,체험을 너무 강조하므로 유치하고 천박하다.
네째,체험을 강조하지만 자기네 것만 내세운다.
다섯째,성령충만을 감격 일색으로 대치하려 한다.
)Ibid.
어느 쪽의 견해가 옳으냐 하는 이 문제가 확실히 해결되자면 많은 연구의 땀을 퍼붓는 다 할지라도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왜냐하면 이 문제의 답은 연구'보다는 시간'에 달려있을테니까.아니 어쩌면 주님이 오실 그 때까지도 해결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하지만 내게 굳이 한 쪽의 견해를 택하라고 한다면 내 좁은 지식으로 바라보고 연구한 결과 성경에 비추어 볼 때,비록 모순점은 있지만,좀더 성경의 진리에 가까운 전통적인 견해 즉 성령세례는 곧 중생이며 성령충만과는 구별되어진다는 성령론을 택하면서 이 글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 참 고 문 헌 *
1.국내 서적
김은종, 「문답식 성령론」. 서울 : 목회자료사, 1981.
박윤선, 「사도행전」. 서울 : 영음사, 1974.
, 「성령신학」. 서울 : 영음사, 1984.
박형용, 「사도행전」. 서울 : 성광문화사, 1984.
신성종, 「신약신학」.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83.
옥한흠편, 「한국교회와 성령운동」. 서울 : 정음문화사, 1984.
, 「현대교회와 성령운동」. 서울 : 정음문화사, 1984.
이상근, 「고린도전서 주해」. 서울 : 예장총회교육부, 1981.
조용기, 「성령론」. 서울 : 서울서적, 1989.
황승룡편, 「신학적 성령론」. 서울 :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1989.
윌리엄 A.콜드웰, 「오순절 성령세례」. 서울 : 영산출판사, 1976.
2.외국 서적
Berkhof Hendrikus. The Doctine of the Holy Spirit. Atranta : John knox Press, 1964.
Riggs,Ralph M. The Spirit himself. Springfield : Gospel publishing Co., 1986.
Stott,John R.W. Baptism and Fullness. Downers Grove : Intervarsity Press, 1971.
3.번역서
D.W.로이드 존스, 「성령세례」. 정원태 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82.
Edwin H.Palmer, 「성령」. 최낙재 역.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0.
F.D.브룬너, 「성령신학」. 김명용 역. 서울 : 나눔사, 1989.
Hans Walter Wolff, 「구약성서의 인간학」. 문희석 역. 왜관 : 분도출판사, 1976.
John 스토트, 「오늘날의 성령의 사역」. 조병수 역. 서울 : 한국기독교 교육연구원, 1983.
John 월부어드, 「성령」. 이동원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Rene Pache, 「성령의 인격과 역사」. 정학봉 역. 서울 : 요단출판사, 1980.
4.정기간행물 및 논문집
고사일. 근래의 성령론 유형에 대한 성령세례'중심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88.
김이곤 루아하의 의미와 그 활동상. 「세계와 선교」, no 92(1977.8), p. 16.
김치원 중생과 성령세례. 「풀빛목회」, no 94(1989.9), p. 39.
박정인. 성령충만의 실제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1991.
박아론 오순절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총신대 목회신학원 강의집」제 7권, 서울 : 유나온 학술자료원, p. 201.
박형용 성령충만이란 무엇인가. 「월간목회」, no ?(1990.5), pp. 166-168.
변종길. 오순절 운동과 성령세례에 관한 연구. 신학연구과 졸업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991.
송홍도. 중생,성령세례,성령충만의 관계 고찰. 석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1993.
이종선. 중생과 성령세례와 성령충만의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장신대학교 대학원, 1990.
한영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령에 관한 연구. TH.D.Liss. 서울신학대학 대학원, 1990.
Richard Gaffin 현대교회의 성령운동에 대한 평가. 「성경과 신학」제 3권, 서울 : 도서출판 엠마오,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