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종교의 합일의 가능성 (종교 다원주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길을 잃은 현대 사상
1. 아퀴나스적 기원
2. 키에르케고르적 기원
(1) 실존주의와 그 흐름
(2) 현대과학의 위기와 윤리
(3) 전통적 기독교의 위기

III. 새로운 길의 모색 - H.Hesse의 생애와 작품세계
1. 동양에서부터 온 선교사 헷세
2. 히피의 사도 헷세
3. 경건적 구도자 헷세

VI. 열리는 새로운 세계 - 동양의 종교와 사상
1. 인도종교와 철학
2. 불교
3. 중국의 사상
(1) 도(도)
(2) 역(역)
4. 양극적 전일사상

V. 동서양 합일의 가능성
1. 과정철학과 과정신학
2. 종교다원주의
3. 새로운 모델과 그동향
(1) 대전제로의 회귀
(2) 교회에 대한 침묵과 세상에 대한 NETI

VI.결론

<참고도서>

본문내용

또한 성도는 이 세상에
대하여 과감히 NETI를 외쳐야 한다. 교회는 모든 비진리에 맞서 싸워야 하며, 하
나님의 절대 주권과 그리스도 유일의 복음을 수호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냐 저것이냐 선택을 강요하는 현대인에게, 선포된 말씀을 수호하기 위해
그들의 전제를 NETI하여 그들의 실존을 비추어야 한다. 이 접촉점만이 두개의 축
사이를 방황하는 현대인을 그들의 최초 자리로 좁혀 가게 할 수 있다. 그것은 해
체되어 가는 문명 속에서 새로 태어나는 문명을 주도할 기독교가 가야 할 일이기
때문이라 하겠다.
< 참 고 도 서 >
간하배. [현대신학해설]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9.
강성도.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입문] 서울: 조명문화사, 1992.
교양교재편집위원회 편. [철학개론] 서울: 동국대출판부,1989.
길희성, [인도철학사] 서울: 민음사, 1988.
김경재,김상일 편. [과정철학과 과정신학] 서울: 전망사, 1988.
김상일. [화이트헤드와 동양철학] 서울: 서광사, 1993.
김용옥. [노자철학 이것이다] 서울: 통나무, 1993.
김용옥. [동양학 어떻게 할것인가] 서울: 통나무, 1992.
니터,F.폴. [오직 예수이름으로만?] 변선환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2.
더니스,윌리암. [현대를 위한 기독교 변증] 신재우 역. 서울: 기독학생회 출판부, 1989.
러셀,B. [서양의 지헤] 이명숙,곽강재 역. 서울: 서광사, 1991.
맥케이,D.M. [현대과학의 기독교적 이해] 이창우 역. 서울: 현대과학신서, 1981.
박동환. [동양의 논리는 어디에 있는가] 서울: 고려원, 1993.
반틸,코넬리우스. [기독교 변증론] 서울: 기독교문화협회, 1989.
본회퍼,디히트리히. [신도의 공동생활] 문익환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3.
브라운, 콜린. [철학과 기독교신앙] 문석호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사이어,제임스. [기독교세계관과 현대사상] 김현수 역. 서울: 한국기독교학생회, 1991.
세계평화 교수협의회 편. [동서사상의 만남과 한국] 서울: 일념, 1983.
쉐퍼,A.프란시스. [거기 계시며 말씀하시는 하나님] 허긴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7.
쉐퍼,A.프란시스. [기독교와 현대사상] 홍치모 역. 서울: 성광문화사, 1992.
쉐퍼,A.프란시스. [이성에서의 도피] 김영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9.
앤더슨,노오만, [세계의 종교들] 민태운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5.
[우파니샤드] 박석일 역, 서울: 정음사, 1976.
워커,W. [세계기독교 교회사] 민경배외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9.
원의볍. [인도철학사상] 서울: 집문당, 1988.
이원설. [혁명시대의 미래관] 서울: 성광문화사, 1978.
이은봉. [동양철학 입문] 서울: 덕성여대출판부, 1991.
이은선,이정배. [현대이후주의와 기독교] 서울: 다산글방, 1993.
이인웅 편. [헤르만 헷세]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0.
이인웅. [현대독일문학 비평] 서울: 전예원, 1988.
전호진. [종교다원주의와 타종교선교전략] 서울: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2.
준비위원회 편. [한철하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서울: ACTS, 1984.
질송,에띠엔느. [중세철학 입문] 강영계 역. 서울: 서광사, 1983.
철학교재연구회 편. [철학개론] 서울: 이문출판사, 1992.
첼러,베른하르트. [헤르만 헷세 -생애와 사상] 박광자 역. 서울: 행림출판, 1989.
카알하임. [기독교 신앙과 자연과학] 태정학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7.
카워드,H. [종교다원주의와 세계종교] 한국종교 연구회 역. 서울: 서광사, 1990.
칼빈,죤. [기독교 강요 상] 한철하외 공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9.
케언즈,E.그레이스. [동양과 서양의 만남] 이성기 역.서울: 평단문화사, 1984.
큉,한스. [세계윤리구성] 안명옥 역. 서울: 분도, 1992.
틸리히,폴.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9.
틸리히,폴. [절대를 찾아서] 이찬수,장성현 역. 서울: 전망사, 1993.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편. [세계문명의 전환과 종교의 의미] 서울: 다산글방, 1992.
헷세,헤르만. [데미안] 권미애 역. 서울: 아미, 1992.
헷세,헤르만. [싯다르타] 안미현 역. 서울: 아미, 1992.
헷세,헤르만. [유리알 유희] 강주환 역. 서울: 을지, 1985.
호던,윌리암. [신정통주의 신학] 김관석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5.
홍순길. [헤르만 헷세의 전일적 인간상] 서울: 창학사, 1984.
홍정길. [타종교와 기독교] 서울: 조명, 1990.
황병국. [노장사상과 중국의 종교] 서울: 문조사, 1987.
< 논 문 >
김창열. "헤르만 헷세의 초기작품중에 나타난 정신세계" 독일어문학과 박사학위논문, 고려대 대학
원, 1983.
오선의. "제1차 세계대전을 통한 헤르만 헷세의 작품 및 사상의 변화" 독일어학 석사학위논문, 한
국외대 대학원, 1980.
이승희. "헤르만 헷세의 [싣달타]연구" 독어문학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 대학원, 1983.
홍순길. "헤르만 헷세의 동양적 내면세계" 독어문학과 석사학위논문, 서강대 대학원, 1974.
< JOURNALS >
나학진. "타종교상황에서의 기독교" [목회와 신학] 1991년 8월호.
노봉린. "한국의 종교다원주의 현황" [목회와 신학] 1991년 8월호.
전호진. "종교다원주의와 그리스도의 유일성" [목회와 신학] 1991년 8월호.
< 사전류 >
[세계철학 대사전] 서울: 학원출판공사, 1983.
-------------- . "안세무스"항목.
-------------- . "절대주의" 항목.
-------------- . "아퀴나스" 항목.
-------------- . "실존철학" 항목.
-------------- . "우파니샷드" 항목.
[기독교대백과사전] 서울: 기독교문사, 1985.
-------------- . "실존주의" 항목.
-------------- . "마르크스주의" 항목.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