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동아시아 선사문화의 전개
<2> 국가의 성립과 발전
<3> 인구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4> 조공·책봉 관계의 형성 ∼ 다원적 외교의 전개
<5> 북방 민족의 성장과 새로운 외교 질서
<6> 몽골 제국의 등장과 동아시아 질서
<7> 율령과 유교
<8>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9> 성리학의 성립과 발전
<10> 17세기 전후 동아시아 전쟁
<11>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12>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13>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14>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15> 제1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16> 일본의 침략 전쟁 확대와 국제 연대
<17> 서양 문물의 수용
<18>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9> 동아시아의 경제·정치·사회의 발전 ∼ 갈등과 화해
<2> 국가의 성립과 발전
<3> 인구이동과 정치·사회 변동
<4> 조공·책봉 관계의 형성 ∼ 다원적 외교의 전개
<5> 북방 민족의 성장과 새로운 외교 질서
<6> 몽골 제국의 등장과 동아시아 질서
<7> 율령과 유교
<8> 불교의 전파와 문화 교류
<9> 성리학의 성립과 발전
<10> 17세기 전후 동아시아 전쟁
<11> 교역망의 발달과 은 유통
<12> 사회 변동과 서민 문화
<13> 새로운 국제 질서와 근대화 운동
<14>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15> 제1차 세계대전과 동아시아
<16> 일본의 침략 전쟁 확대와 국제 연대
<17> 서양 문물의 수용
<18>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처리와 냉전 체제
<19> 동아시아의 경제·정치·사회의 발전 ∼ 갈등과 화해
본문내용
4) 영향 : 심각한 인명 피해와 산업 시설 파괴, 남북 적대감 심화, 한·미 상호방위조약 체결(1953), 일본의 경제 회복 토대 마련
3) 중국의 국공 내전(1946~1949)
발발
일본 패망후 국민당과 공산당의 충돌 위기 고조 → 충칭 평화협상 → 중국 국민당의 파기
국민당 우세
미국의 중국 국민당 지원 옌안 및 만주와 화북의 주요 도시 점령
공산당 반격
토지개혁에 따른 민중의 지지 확보, 소련의 군사적 지원 → 전세 역전
결과
· 중국 공산당 승리 →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1949)
·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 정부는 타이완으로 이동
<19> 동아시아의 경제·정치·사회의 발전 ∼ 갈등과 화해
1. 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제 성장
1) 일본의 경제 성장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전쟁 패배와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경제 개혁으로 혼란
1950년대 중반
∼1970년대
미국의 지원과 6.25 전쟁 및 베트남 전쟁으로 고도 성장 → 제1, 2차 석유파동으로 위기 → 기술 개발과 경영합리화로 극복
1980년대
첨단 제품 생산 확대와 수출 증가로 최대 호황, 주가와 부동산 폭등(거품 경제 형성)
1990년대 이후
주가와 부동산 폭락 등으로 장기 불황, 실업률 증가와 사회불안
2) 한국의 경제 성장
1950년대
6.25전쟁 이후 미국의 원조물자에 기반을 둔 삼백 산업 발달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실시, 한일 국교 회복에 따른 경제협력 자금 유입, 베트남 전쟁 특수
1970년대
중화학공업 발전, 두 차례 석유파동으로 경제 위기
1980년대
3저 호황(저유가, 저달러, 저금리)으로 경제 성장
1990년대 이후
외환 위기(1997)로 경제 침체 → 외자 유치, 구조조정 등을 통해 극복
3) 타이완의 경제 성장 : 중소기업 중심의 시장 경제 체제 발달, 2000년대 마이너스 성장 기록
2. 사회주의 국가들의 개방 정책 추진 꼭 회원
1) 중국
(1) 사회주의적 경제 체제로 개편 : 토지 개혁, 주요 기업 국유화, 농업 집단화(합작사) 등
(2) 대약진 운동 : 인민공사 설치, 철강 증산 시도 → 농민의 저항, 근로 의욕 감소로 실패 → 마오쩌둥의 권력 약화 → 문화 대혁명 전개
(3) 개혁·개방 운동
배경
1970년대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 집권 → 실용주의 노선 강조(흑묘백묘론)
내용
· 인민공사 해체(가족농업 전환), 국영 기업 사유화, 사기업의 성장 허용, 농산물 가격 점진적 시장화
· 경제특구를 설치하여 해외 자본과 기술 도입 및 수출 확대 노력
결과
연 10%대의 고도성장 지속
2) 북한
(1) 사회주의 경제체제 확립 : 협동 농장(농업 집단화), 국영 기업 중심
(2) 경제 침체 : 1970년대 소련의 원조 중단, 과도한 군사비 지출로 경제 침체 → 합영법 제정(1984)
(3) 개혁과 개방 : 1990년대 이후 경제 특구 설치, 남북 교류 확대(금강산 관광, 개성 공단 조성 등)
3) 베트남
(1) 사회주의 경제 정책 : 통일 이후 농촌의 집단 농장화, 상공업 국영화 추진 → 경제 위기 심화
(2) 도이머이 정책 추진 :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장 경제 체제 일부 도입 → 세계 3대 쌀 수출국으로 성장, 자본주의 국가와 교역 확대
3. 동아시아 국가 간 교류의 활성화
1) 경제 교류 : 중국의 세계 무역기구(WTO) 가입(2001), 중국의 비중 증가(한국과 타이완의 제1수출국, 일본이 중국의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 국가 간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과 한·중·일의 경제 협력 시도
2) 동아시아 경제권 성장의 과제: 국가 간의 정치·경제적 갈등 해소 노력 필요
4. 동아시아 각국의 정치 상황
1) 일본의 55년 체제
(1) 성립 : 사회당의 좌·우파가 헌법 유지와 미·일 안전 보장 조약 개정 반대를 내걸고 통합민주당과 자유당이 자유민주당(자민당)으로 통합(1955)
(2) 전개 : 보수적인 자민당과 진보적인 사회당의 양당 체제 지속 자민당의 장기 집권
(3) 붕괴: 1990년대 경제 혼란과 자민당의 부정부패비자민당 연립 내각 수립 (1993)
2) 한국의 민주화 운동
4.19 혁명 (1960)
· 배경 :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부정 선거
· 결과 : 의원내각제와 양원제 개헌 → 장면 정부 출범
5·18 민주화 운동
(1980)
· 배경 : 10-26 사태 후 전두환 등의 신군부 세력 집권
· 전개 : 신군부의 민주화 운동 탄압 5.18 민주화 운동 유혈 진압
6월민주항쟁
(1987)
· 배경 : 전두환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
· 결과 : 대통령 직선제 개헌
3) 타이완 : 중국 국민당 정부의 장기 독재 → 계엄령 해제(1987), 복수 정당제 도입. 지방 선거 시행, 총통 직선제 개헌 → 천수이볜이 총통으로 선출되어 정권 교체(2000) .
(4) 중국
① 문화 대혁명 (1966~1976) : 대약진 운동 실패 후 마오쩌둥의 권력 기반 약화 → 마오쩌둥이 문화 대혁명 전개(홍위병 조직), 반대파 제거 → 마오쩌둥 권력 장악
② 톈안먼 시위 (1989) : 경제의 개방 개혁 이후 정치 체제 개혁 요구(민주화 요구) → 유혈 진압
(5) 베트남 : 공산당의 권력 독점 → 도이머이 정책 추진, 중국 및 미국과 국교 정상화
(6) 북한 김일성 독재 체제 구축(주체 사상) → 3대 세습(김정일, 김정은)
5. 동아시아의 역사 · 영토 분쟁과 화해
1) 역사 갈등
(1) 일본 : 역사 교과서 왜곡(식민 지배 미화), 야스쿠니 신사 참배 → 한·중과 대립
(2) 중국 : 고조선, 고구려, 발해 역사를 자국 역사로 인식(동북공정) → 한국과 대립
2) 영토 분쟁
(1) 쿠릴열도 :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차지 → 러·일의 대립
(2) 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 : 청일 전쟁으로 일본 차지 → 중·일·타이완 대립
(3) 시사 군도 : 베트남 점유 → 중국이 무력 점령
(4) 난사군도 :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이 분쟁 중국과 베트남 무력 충돌
3) 독도 문제 : 한국 고유의 영토 → 일본이 국제 분쟁화 시도(부당한 영유권 주장)
4) 화해를 위한 노력 : 고노 담화 발표, 공동 역사 교과서 저술 등
3) 중국의 국공 내전(1946~1949)
발발
일본 패망후 국민당과 공산당의 충돌 위기 고조 → 충칭 평화협상 → 중국 국민당의 파기
국민당 우세
미국의 중국 국민당 지원 옌안 및 만주와 화북의 주요 도시 점령
공산당 반격
토지개혁에 따른 민중의 지지 확보, 소련의 군사적 지원 → 전세 역전
결과
· 중국 공산당 승리 → 중화 인민 공화국 수립(1949)
·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 정부는 타이완으로 이동
<19> 동아시아의 경제·정치·사회의 발전 ∼ 갈등과 화해
1. 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제 성장
1) 일본의 경제 성장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전쟁 패배와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경제 개혁으로 혼란
1950년대 중반
∼1970년대
미국의 지원과 6.25 전쟁 및 베트남 전쟁으로 고도 성장 → 제1, 2차 석유파동으로 위기 → 기술 개발과 경영합리화로 극복
1980년대
첨단 제품 생산 확대와 수출 증가로 최대 호황, 주가와 부동산 폭등(거품 경제 형성)
1990년대 이후
주가와 부동산 폭락 등으로 장기 불황, 실업률 증가와 사회불안
2) 한국의 경제 성장
1950년대
6.25전쟁 이후 미국의 원조물자에 기반을 둔 삼백 산업 발달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실시, 한일 국교 회복에 따른 경제협력 자금 유입, 베트남 전쟁 특수
1970년대
중화학공업 발전, 두 차례 석유파동으로 경제 위기
1980년대
3저 호황(저유가, 저달러, 저금리)으로 경제 성장
1990년대 이후
외환 위기(1997)로 경제 침체 → 외자 유치, 구조조정 등을 통해 극복
3) 타이완의 경제 성장 : 중소기업 중심의 시장 경제 체제 발달, 2000년대 마이너스 성장 기록
2. 사회주의 국가들의 개방 정책 추진 꼭 회원
1) 중국
(1) 사회주의적 경제 체제로 개편 : 토지 개혁, 주요 기업 국유화, 농업 집단화(합작사) 등
(2) 대약진 운동 : 인민공사 설치, 철강 증산 시도 → 농민의 저항, 근로 의욕 감소로 실패 → 마오쩌둥의 권력 약화 → 문화 대혁명 전개
(3) 개혁·개방 운동
배경
1970년대 마오쩌둥 사후 덩샤오핑 집권 → 실용주의 노선 강조(흑묘백묘론)
내용
· 인민공사 해체(가족농업 전환), 국영 기업 사유화, 사기업의 성장 허용, 농산물 가격 점진적 시장화
· 경제특구를 설치하여 해외 자본과 기술 도입 및 수출 확대 노력
결과
연 10%대의 고도성장 지속
2) 북한
(1) 사회주의 경제체제 확립 : 협동 농장(농업 집단화), 국영 기업 중심
(2) 경제 침체 : 1970년대 소련의 원조 중단, 과도한 군사비 지출로 경제 침체 → 합영법 제정(1984)
(3) 개혁과 개방 : 1990년대 이후 경제 특구 설치, 남북 교류 확대(금강산 관광, 개성 공단 조성 등)
3) 베트남
(1) 사회주의 경제 정책 : 통일 이후 농촌의 집단 농장화, 상공업 국영화 추진 → 경제 위기 심화
(2) 도이머이 정책 추진 :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장 경제 체제 일부 도입 → 세계 3대 쌀 수출국으로 성장, 자본주의 국가와 교역 확대
3. 동아시아 국가 간 교류의 활성화
1) 경제 교류 : 중국의 세계 무역기구(WTO) 가입(2001), 중국의 비중 증가(한국과 타이완의 제1수출국, 일본이 중국의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 국가 간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동남아시아 국가연합(ASEAN)과 한·중·일의 경제 협력 시도
2) 동아시아 경제권 성장의 과제: 국가 간의 정치·경제적 갈등 해소 노력 필요
4. 동아시아 각국의 정치 상황
1) 일본의 55년 체제
(1) 성립 : 사회당의 좌·우파가 헌법 유지와 미·일 안전 보장 조약 개정 반대를 내걸고 통합민주당과 자유당이 자유민주당(자민당)으로 통합(1955)
(2) 전개 : 보수적인 자민당과 진보적인 사회당의 양당 체제 지속 자민당의 장기 집권
(3) 붕괴: 1990년대 경제 혼란과 자민당의 부정부패비자민당 연립 내각 수립 (1993)
2) 한국의 민주화 운동
4.19 혁명 (1960)
· 배경 : 이승만 정부의 장기 집권 부정 선거
· 결과 : 의원내각제와 양원제 개헌 → 장면 정부 출범
5·18 민주화 운동
(1980)
· 배경 : 10-26 사태 후 전두환 등의 신군부 세력 집권
· 전개 : 신군부의 민주화 운동 탄압 5.18 민주화 운동 유혈 진압
6월민주항쟁
(1987)
· 배경 : 전두환 정부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부정부패
· 결과 : 대통령 직선제 개헌
3) 타이완 : 중국 국민당 정부의 장기 독재 → 계엄령 해제(1987), 복수 정당제 도입. 지방 선거 시행, 총통 직선제 개헌 → 천수이볜이 총통으로 선출되어 정권 교체(2000) .
(4) 중국
① 문화 대혁명 (1966~1976) : 대약진 운동 실패 후 마오쩌둥의 권력 기반 약화 → 마오쩌둥이 문화 대혁명 전개(홍위병 조직), 반대파 제거 → 마오쩌둥 권력 장악
② 톈안먼 시위 (1989) : 경제의 개방 개혁 이후 정치 체제 개혁 요구(민주화 요구) → 유혈 진압
(5) 베트남 : 공산당의 권력 독점 → 도이머이 정책 추진, 중국 및 미국과 국교 정상화
(6) 북한 김일성 독재 체제 구축(주체 사상) → 3대 세습(김정일, 김정은)
5. 동아시아의 역사 · 영토 분쟁과 화해
1) 역사 갈등
(1) 일본 : 역사 교과서 왜곡(식민 지배 미화), 야스쿠니 신사 참배 → 한·중과 대립
(2) 중국 : 고조선, 고구려, 발해 역사를 자국 역사로 인식(동북공정) → 한국과 대립
2) 영토 분쟁
(1) 쿠릴열도 :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차지 → 러·일의 대립
(2) 센카쿠 열도 (댜오위다오) : 청일 전쟁으로 일본 차지 → 중·일·타이완 대립
(3) 시사 군도 : 베트남 점유 → 중국이 무력 점령
(4) 난사군도 :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이 분쟁 중국과 베트남 무력 충돌
3) 독도 문제 : 한국 고유의 영토 → 일본이 국제 분쟁화 시도(부당한 영유권 주장)
4) 화해를 위한 노력 : 고노 담화 발표, 공동 역사 교과서 저술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