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논리
II. 논증
III. 논점과 주장
IV. 논증의 구조 분석(1)
V. 논증의 구조 분석(2)
VI. 논리적 관계와 인과적 관계
VII. 여러가지 인과적 구조
VIII. 연역과 귀납
II. 논증
III. 논점과 주장
IV. 논증의 구조 분석(1)
V. 논증의 구조 분석(2)
VI. 논리적 관계와 인과적 관계
VII. 여러가지 인과적 구조
VIII. 연역과 귀납
본문내용
자서 발사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논점: 오스왈드는 혼자서 세발을 쏘았는가?
주장: 혼자서 세발을 쏠 수는 없었다.
구조: ①
^
②
판정: 연역논증이다. 물론 오스왈드 총의 공이쇠가 한번 작동하는데 2.3초 걸린다는 것을 알아낸 과정은 귀납추리에 의한 것이다. 반복된 실험사례에 호소한 것이므로. 그러나 이 글의 주장은 그것이 한번 작동하는데 2.3초 걸린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주장은 ②이다. 그렇다면 이 논증은 2.3 3〉5 라는 산수 셈에 의해서 주장을 토출하고 있는 것이다.
2. ①평균적으로 운석에 맞아 죽는 사람은 20억명 중에 하나 꼴이다. ②그러므로 나는 운석에 맞아서 죽는 일은 없을 것이다.
논점: 내가 운석에 맞아서 즉는 일이 있을까?
주장: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구조: ①
^
②
판정: 귀납논증이다. 확률에 호소해서 <그럴 확률이 매우 낮다>는 식으로 추리하는 논증은 모두 귀납논증이다.
3. ①다수결주의는 적당한 안전장치가 없다면 터무니 없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②예를 들어서 한 사회의 51%가 다른 49%의 소유를 몰수하는 게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하자. ③여기에 다수결주의를 조건없이 적용하면 <몰수하라>는 결론을 얻을 것이다.
논점: 다수결주의는 신뢰할만한가?
주장: 적당한 안전장치가 없는 다수결주의는 엉터리 없는 것이다.
구조: ②
^
③
^
①
판정: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먼저 한가지 예를 들어서 말하고 있으므로 사례에 호소하는 것이고 따라서 귀납논증이라고 말하면 어떨까? 안된다. 사례에 호소한다는 것은 실제로 있었던 사례에 호소한다는 말이다. 위의 논증에서 들고 있는 예는 어디까지나 가상적인 예에 불과하므로 실제 사례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다. 가상적인 상황을 상상해서 어떤 문제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하는 시도를 흔히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이라고 부른다. 사고실험에 호소하는 논증은 연역이다. 사고실험이란 개념들의 의미와 논리적 관계에 호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4. ①만일 신이 선하다면 그는 세상의 악을 없애려고 할 것이다. ②또 만일 신이 전능하다면 그는 세상에서 악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③신이 악을 없애려고 하지 않거나 없앨 수 없을 때에만 세상에 악이 존재할 것이다. ④그런데 세상에 악이 존재한다. ⑤그러므로 신은 선하지 않거나 전능하지 않다. ⑥그런데 선하지 않거나 전능하지 않다면 신이라고 할 수 없다. ⑦그러므로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악의 문제/The Problem of Evil)
논점: 신은 존재하는가?
주장: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조: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
⑦
판정: 이것은 중세에 많이 논의되었던 문제라고 하는데 그래서 <악의 문제>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이 논증이 제기하는 도전에 대한 교회의 대답이 바로 신정론(theodicy)이다. 이 논증은 완벽한 연역논증이다. 이 논증은 뒤에 반론하기 내지 비판하기 부분에 가서 다시 다루기로 한다. 여러분이 이 논증에 대하여 반론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5. (다음은 수능2차 듣기문제 6번의 대화를 하나의 논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①과학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영화나 소설에서 묘사하는 것처럼 과거로 가서 과거의 사람들과 만나고 얘기하고 하는 형태로 시간여행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②만일 그런 시간여행이 미래의 어느 때 가능해진다면 미래의 사람들이 현재나 과거로 여행하는 일이 있을테고, ③따라서 과거나 현재에 미래에서 온 사람들을 만나는 일들이 있을텐데, ④아직 미래에서 온 사람들을 만났다는 보고는 없으며 그런 기록도 없다. ⑤따라서 그런 식의 시간여행은 불가능할 것이다.
논점: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주장: 불가능하다.(물론 단서가 붙어 있다)
구조: ②
^
③
^
④
^
①=⑤
판정: 이 논증은 귀납논증이다. (주어진 형태의)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면 우리나 우리 조상들 중 어떤 사람들은 미래에서 온 사람들을 보았을 법도 한데 그런 적이 없노라는 것이 근거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사람들의 경험에 호소하고 있으므로 귀납논증이 된다.
6. (위의 문제와 비교해 가면서 풀어 보자.) ①과학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영화나 소설에서 묘사하는 것처럼 과거로 가서 과거의 사람들과 만나고 얘기하고 하는 형태로 시간여행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②만일 그런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하자. ③그러면 미래의 어떤 사람 예를 들어서 갑돌이가 과거에로 여행을 한다. ④그는 300년 전의 세계로 가서 거기서 하나의 분쟁에 휘말려 그만 자신의 직계 조상을 죽이게 된다고 하자. ⑤그러면 갑돌이는 도대체 어떻게 해서 존재할 수 있게 된 것인가? ⑥이런 일은 있을 수 없다. ⑦그러므로 영화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그런 형태의 시간여행은 불가능함에 틀림없다.
논점: 시간여핸은 가능한가?
주장: 불가능하다.
구조: ② ②: 가상적 상황의 설정(다이어그램에서 빼도 관계없다.)
^ (⑤,⑥): ⑤와 ⑥의 문답은 합쳐서 하나의 명제라고 본다.
③ + ④
^
(⑤,⑥)
^
①=⑦
판정: 이 논증은 시간여행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하나의 사고실험을 제안하고 있다. <부친살해논증>이라고 알려진 연역논증이다.
7. ①어떤 사람들은 영화나 텔레비젼과 같은 대중매체에서 폭력을 간접체험하는 것이 개인의 공격성을 완화시켜준다고 주장한다. ②폭력을 간접체험이 카타르시스(catharsis)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③그러나 대중매체의 폭력장면들이 그러한 정화작용을 한다는 말은 마치 내가 배고플 때 남들이 먹는 것을 보면 내가 배고픈 것을 돌 느끼게 된다는 말이나 같다. ④식사의 간접체험이 배고픔을 줄여준다고 누가 주장한다면 이거야말로 황당한 얘기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⑤마찬가지로 폭력의 간접체험이 공격성을 줄여준다는 것도 얼토당토 않은 말이다.(Dennis Howitt and Guy Cumberbatch, Mass Media and Society)
논점: 대중매체의 폭력장면이 사람들의 공격성을 완화하는가?
주장: H 말도 안된다.
구조: ② ①: 글쓴이가 물리치려는 주장이다.
^ * 사선으로 논증의 반전을 표시하였다.
①
③ + ④
^
⑤
논점: 오스왈드는 혼자서 세발을 쏘았는가?
주장: 혼자서 세발을 쏠 수는 없었다.
구조: ①
^
②
판정: 연역논증이다. 물론 오스왈드 총의 공이쇠가 한번 작동하는데 2.3초 걸린다는 것을 알아낸 과정은 귀납추리에 의한 것이다. 반복된 실험사례에 호소한 것이므로. 그러나 이 글의 주장은 그것이 한번 작동하는데 2.3초 걸린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주장은 ②이다. 그렇다면 이 논증은 2.3 3〉5 라는 산수 셈에 의해서 주장을 토출하고 있는 것이다.
2. ①평균적으로 운석에 맞아 죽는 사람은 20억명 중에 하나 꼴이다. ②그러므로 나는 운석에 맞아서 죽는 일은 없을 것이다.
논점: 내가 운석에 맞아서 즉는 일이 있을까?
주장: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
구조: ①
^
②
판정: 귀납논증이다. 확률에 호소해서 <그럴 확률이 매우 낮다>는 식으로 추리하는 논증은 모두 귀납논증이다.
3. ①다수결주의는 적당한 안전장치가 없다면 터무니 없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②예를 들어서 한 사회의 51%가 다른 49%의 소유를 몰수하는 게 그리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하자. ③여기에 다수결주의를 조건없이 적용하면 <몰수하라>는 결론을 얻을 것이다.
논점: 다수결주의는 신뢰할만한가?
주장: 적당한 안전장치가 없는 다수결주의는 엉터리 없는 것이다.
구조: ②
^
③
^
①
판정: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먼저 한가지 예를 들어서 말하고 있으므로 사례에 호소하는 것이고 따라서 귀납논증이라고 말하면 어떨까? 안된다. 사례에 호소한다는 것은 실제로 있었던 사례에 호소한다는 말이다. 위의 논증에서 들고 있는 예는 어디까지나 가상적인 예에 불과하므로 실제 사례에 호소하는 것이 아니다. 가상적인 상황을 상상해서 어떤 문제에 대한 답을 얻으려고 하는 시도를 흔히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이라고 부른다. 사고실험에 호소하는 논증은 연역이다. 사고실험이란 개념들의 의미와 논리적 관계에 호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4. ①만일 신이 선하다면 그는 세상의 악을 없애려고 할 것이다. ②또 만일 신이 전능하다면 그는 세상에서 악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③신이 악을 없애려고 하지 않거나 없앨 수 없을 때에만 세상에 악이 존재할 것이다. ④그런데 세상에 악이 존재한다. ⑤그러므로 신은 선하지 않거나 전능하지 않다. ⑥그런데 선하지 않거나 전능하지 않다면 신이라고 할 수 없다. ⑦그러므로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악의 문제/The Problem of Evil)
논점: 신은 존재하는가?
주장: 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구조: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
⑦
판정: 이것은 중세에 많이 논의되었던 문제라고 하는데 그래서 <악의 문제>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이 논증이 제기하는 도전에 대한 교회의 대답이 바로 신정론(theodicy)이다. 이 논증은 완벽한 연역논증이다. 이 논증은 뒤에 반론하기 내지 비판하기 부분에 가서 다시 다루기로 한다. 여러분이 이 논증에 대하여 반론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5. (다음은 수능2차 듣기문제 6번의 대화를 하나의 논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①과학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영화나 소설에서 묘사하는 것처럼 과거로 가서 과거의 사람들과 만나고 얘기하고 하는 형태로 시간여행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②만일 그런 시간여행이 미래의 어느 때 가능해진다면 미래의 사람들이 현재나 과거로 여행하는 일이 있을테고, ③따라서 과거나 현재에 미래에서 온 사람들을 만나는 일들이 있을텐데, ④아직 미래에서 온 사람들을 만났다는 보고는 없으며 그런 기록도 없다. ⑤따라서 그런 식의 시간여행은 불가능할 것이다.
논점: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주장: 불가능하다.(물론 단서가 붙어 있다)
구조: ②
^
③
^
④
^
①=⑤
판정: 이 논증은 귀납논증이다. (주어진 형태의) 시간여행이 가능하다면 우리나 우리 조상들 중 어떤 사람들은 미래에서 온 사람들을 보았을 법도 한데 그런 적이 없노라는 것이 근거이다. 이것은 지금까지 사람들의 경험에 호소하고 있으므로 귀납논증이 된다.
6. (위의 문제와 비교해 가면서 풀어 보자.) ①과학이 아무리 발달한다고 해도 영화나 소설에서 묘사하는 것처럼 과거로 가서 과거의 사람들과 만나고 얘기하고 하는 형태로 시간여행을 할 수는 없을 것이다. ②만일 그런 시간여행이 가능하다고 하자. ③그러면 미래의 어떤 사람 예를 들어서 갑돌이가 과거에로 여행을 한다. ④그는 300년 전의 세계로 가서 거기서 하나의 분쟁에 휘말려 그만 자신의 직계 조상을 죽이게 된다고 하자. ⑤그러면 갑돌이는 도대체 어떻게 해서 존재할 수 있게 된 것인가? ⑥이런 일은 있을 수 없다. ⑦그러므로 영화나 소설에서 볼 수 있는 그런 형태의 시간여행은 불가능함에 틀림없다.
논점: 시간여핸은 가능한가?
주장: 불가능하다.
구조: ② ②: 가상적 상황의 설정(다이어그램에서 빼도 관계없다.)
^ (⑤,⑥): ⑤와 ⑥의 문답은 합쳐서 하나의 명제라고 본다.
③ + ④
^
(⑤,⑥)
^
①=⑦
판정: 이 논증은 시간여행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하나의 사고실험을 제안하고 있다. <부친살해논증>이라고 알려진 연역논증이다.
7. ①어떤 사람들은 영화나 텔레비젼과 같은 대중매체에서 폭력을 간접체험하는 것이 개인의 공격성을 완화시켜준다고 주장한다. ②폭력을 간접체험이 카타르시스(catharsis) 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③그러나 대중매체의 폭력장면들이 그러한 정화작용을 한다는 말은 마치 내가 배고플 때 남들이 먹는 것을 보면 내가 배고픈 것을 돌 느끼게 된다는 말이나 같다. ④식사의 간접체험이 배고픔을 줄여준다고 누가 주장한다면 이거야말로 황당한 얘기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⑤마찬가지로 폭력의 간접체험이 공격성을 줄여준다는 것도 얼토당토 않은 말이다.(Dennis Howitt and Guy Cumberbatch, Mass Media and Society)
논점: 대중매체의 폭력장면이 사람들의 공격성을 완화하는가?
주장: H 말도 안된다.
구조: ② ①: 글쓴이가 물리치려는 주장이다.
^ * 사선으로 논증의 반전을 표시하였다.
①
③ + ④
^
⑤
추천자료
장미의이름 이란영화의 감상문..(영화감상문)
매스컴과 사회신문의 이해(원)
영화와 언어 <기호학에 관하여>
행정의 법률관계에 대한 이해
삶과 철학 과제 &#8211; 제논의 역설
[독후감] 전인권의 <남자의 탄생>읽고
철학의 이해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요약
전문가의 문화와 권력, 우리 곁의 전문가, 전문가가 되기까지, 전문가의 권력을 보여주는 문...
설교와 설교자 요약 및 비평
' 진화에 관한 10가지 신화'에 대한 개인적인 느낌 소감 감상 독후감
『니코마코스 윤리학 (Ethica Nicomachea)』 _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저 [전체 내용 ...
개혁주의 성경관 시험 예제 및 해설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독후감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