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판소리란 무엇인가?
1. 판소리란 말의 뜻
2. 판소리의 역사
3. 판소리의 유파(제(制))
4. 판소리의 조
5. 판소리의 발성법과 성음 음악
6. 판소리의 장단
7. 판소리의 종류
8. 판소리의 명창과 고수
1) 순조 때 8명창(전기의 8명창)
2) 철종 때 8명창(후대의 8명창)
3) 근세 때 5명창
4) 최근의 명창들
5) 명고수
Ⅱ. 우리음악에 사용되는 악기
(우리 나라의 전통악기)
1. 율명이란?
2. 계이름
3. 장단(長短)
4. 국악기
1. 판소리란 말의 뜻
2. 판소리의 역사
3. 판소리의 유파(제(制))
4. 판소리의 조
5. 판소리의 발성법과 성음 음악
6. 판소리의 장단
7. 판소리의 종류
8. 판소리의 명창과 고수
1) 순조 때 8명창(전기의 8명창)
2) 철종 때 8명창(후대의 8명창)
3) 근세 때 5명창
4) 최근의 명창들
5) 명고수
Ⅱ. 우리음악에 사용되는 악기
(우리 나라의 전통악기)
1. 율명이란?
2. 계이름
3. 장단(長短)
4. 국악기
본문내용
리보다 부드러우며 주로 센박을 맡아 연주한다.
편경 :16개의 ㄱ자로 된 옥돌 8개씩 2단으로 구분하여 틀에 매단다. 윗단은 왼쪽에서부터, 아랫단은 오른쪽에서부터 차례로 반음씩 높아진다.
거문고 : 가야금과 함께 우리 나라 대표적인 현악기로 , 신라 3현의 하나이다.(신라삼현 - 향비파,가야금,거문고), 가야금이 여성적이라면 거문고는 남성적인 악기이다. 악기의 앞판은 오동나무로 되어 있고, 뒤판은 밤나무를 사용했다. 길이는 약 180cm, 폭은 25cm이며, 줄은 본래 7현이었으나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우리의 음률에 맞게 6현으로 고쳤다.
가야금 : 이 악기는 가실왕이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 대표적인 현악기로 신라 삼현 중의 하나이다. 12줄을 ∧모양의 기러기 발로 버티어 놓고 왼손으로 기러기 발 가까운 데를 누르면서 동시에 오른손으로 담쾌를 따라 퉁기며 연주한다.
해금 : 깡깡이라고도 한다. 작은 통 위에 60cm가량의 대를 세워 자루를 만들고, 그 자루 끝에 줄을 감는 주아가 달려 있어, 2개의 줄을 끼우게 되어 있다. 또한 줄은 원산이라는 괘로 버티고 말총으로 만든 활로 연주한다.
아쟁 : 이 악기는 고려 시대에 수입됐다. 개나리 가지의 껍질을 벗기고 거기에 송진을 칠한 활대로 줄을 문질러 연주한다. 줄은 모두 7현이다. 이 악기에도 가야금의 기러기 발과 같은 기둥으로 괴어 있다. 이것은 낮은음 악기로서 주로 당악과 향악에 사용한다.
양금 : 이 악기는 본래 아라비아의 것인데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에 들어왔고, 그 후 영조 시대에 우리 나라에 유입되었다. 네모꼴 판자 위에 16벌, 64줄의 철사를 매었는데, 음역은 2옥타브 반이다.
대금 : 신라 삼죽(소금,중금,대금)의 하나로 젓대라고도 부른다. 소릿구멍은 6개인데, 음역은 2옥타브이다. 불구멍 외에 갈대 속을 붙인 청공이 있어 음색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저음은 어둡고 고음은 맑으며 우아하다.
중금 : 대금보다 작고 소금보다 큰 악기로 , 연주 방법은 대금과 같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 청공을 없앤 것도 있다.
당적 : 가로피리로, 길이는 64cm이다. 1개의 불구멍과 6개의 소릿구멍이 있다. 음은 국악기 중에서 가장 높은데, 옛날에는 주로 당악에서 사용했으나 지금은 향악에서도 대단히 필요한 악기이다.
단소 : 이 악기는 퉁소와 같은 악기를 본받아 우리 음률에 맞추고 간편하게 된 악기로서 이조 말에 생긴 관악기이다. 퉁소와 비슷한 모양이나 다소 작으며 길이는 46cm가량이고 구멍은 앞에 4개, 뒤에 1개가 있다. 이 악기는 관악 합주에 사용되고 중주와 독주용을 사용한다.
당피리 : 본래 서역 계통의 악기로 ,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유입되었다. 본래는 앞구멍이 7개 뒷구멍이 2개였던 것이 후에 향피리와 같은 구조로 개량되었다.
향피리 : 본래 서역계의 악기로, 당피리보다 약간 가늘고 세피리보다 다소 굵다. 앞면에 7개의 구멍이 있고, 뒷면에는 1개가 있다. 대로 마든 겹혀를 관대에 꽂아 사용하는 점이 양악기의 오브에와 비슷하다. 음역은 2옥타브, 독주와 합주에도 사용된다.
세피리 : 향피리보다 다소 가늘지만, 구조는 같다. 주로 합주로 사용된다.
퉁소 : 본래 중국 악기고 , 6개의 구멍이 앞면에 있고, 뒷면에 1개의 구멍이 있다. 대로 만들었으며 갈대청을 붙여 연주한다.
대평소 : 나무로 마든 관대에 8개의 구멍이 있다. 아래쪽 끝에는 깔때기 모양으로 댄 통팔을 붙이고 위는 갈대로 만든 혀를 끼워 연주한다.
생황 : 길이가 각기 다른 17개의 죽관을 작고 둥근 통의 둘레에 꽂았는데 통 옆에 있는 불구멍으로 숨을 내쉬고 들이마시면서 연주하는 여러 음을 같이 낼 수 있는 화음 악기이다. 이는 아래쪽 끝에 잇는 리이드가 진동하여 관대를 공명시켜 소리를 낸다. 이것은 서기 725년 전부터 있었다고 하나 우리 나라에는 세종 때에 제작되었다고 한다.
훈 : 진흙을 마치 복숭아 모양을 구워 만든 원시적인 악기이다. 속은 비었으며 위에 불구멍이 있고 소릿구멍은 앞면에 3개가 있고 뒷면에 2개가 있다.
장구 :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리듬 악기로, 악기의 허리가 가늘다해서 세요고라는 별명이 있다. 왼손으로 치는 가죽은 쇠가죽이고, 채로 치는 오른쪽은 말가죽이다. 장구춤이나 농악춤을 출 때는 어깨에 메고 친다.
갈고 : 서역계의 악기로, 보기에는 모양과 크기가 장구와 비슷하나, 양쪽에 있는 가죽이 장구에 비해 모두 엷고 양쪽 다 말 가죽을 쓴다.그리고 양손에 채를 들어 치는 점 또는 새 굴레가 양쪽에 다 있는 것이 다르다.
박 : 음악이나 무용이 시작되거나 끝날 때 또는 변화가 생길 때에 지휘.인도하는 악기이다. 6개의 단단한 판목을 한쪽만 끈으로 꿰어 묵었는데, 길이가 약 43cm, 너비는 663cm가량이다. 나무 외에 고래 뼈나 또는 사슴뿔로 만든 소형의 박도 있다.
축 : 음악을 시작할 때에 쓰는 네모꼴로 생긴 악기이다. 바닥은 막혔고 위에 둥근 구멍이 뚫렸다. 이것을 막대기로 세 번 치면, 곧 음악을 시작한다.
어 : 음악이 끝날 때 사용하는데, 통나무로 만든 '엎드린 범'의 등에 27개의 톱니 같은 날을 새겨 붙였다. 대나무 채로 먼저 범의 목덜미를 한번 친 다음 꼬리 쪽으로 드르르 긁어내리기를 세번 거듭하면 곧 음악이 끝난다.
북 : 우리 나라 악기 중 북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잇는데, 그 중에서 건고는 제일큰 북이다. 이는 옛 궁중의 경사스런 연례와 조회 때에 사용한다.
건고 : 이 악기의 높이가 452cm, 통의 직경 109cm, 통의 길이가 약 162cm가 되는 큰 북이다. 호랑이 꼴의 네 발 줏대 위에 길쭉한 북을 가로 올려놓고, 그 위에 네모진 2층 장식을 하여 그 끝에 학을 세웠다. 네모꼴 장식을 방개라 하는데, 상하 방개에는 각각 홍색.녹색의 비단 양장이 둘려 있고 아래층 방개의 네 모퉁이에 용을 새긴 막대기인 용간이 하나씩 달려 있다. 이조 초기부터 사용하였다.
응고.삭고 : 이 악기들은 모두 긴 통같이 생긴 북인데, 응고는 삭고에 비해 약간 작다. 이는 건고와 함께 사용하는데 삭고는 건고의 서편에 , 응고는 그 동편에 각기 자리잡고, 음악이 시작될 때에 한 번씩 차례로 친다.
편경 :16개의 ㄱ자로 된 옥돌 8개씩 2단으로 구분하여 틀에 매단다. 윗단은 왼쪽에서부터, 아랫단은 오른쪽에서부터 차례로 반음씩 높아진다.
거문고 : 가야금과 함께 우리 나라 대표적인 현악기로 , 신라 3현의 하나이다.(신라삼현 - 향비파,가야금,거문고), 가야금이 여성적이라면 거문고는 남성적인 악기이다. 악기의 앞판은 오동나무로 되어 있고, 뒤판은 밤나무를 사용했다. 길이는 약 180cm, 폭은 25cm이며, 줄은 본래 7현이었으나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우리의 음률에 맞게 6현으로 고쳤다.
가야금 : 이 악기는 가실왕이 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 대표적인 현악기로 신라 삼현 중의 하나이다. 12줄을 ∧모양의 기러기 발로 버티어 놓고 왼손으로 기러기 발 가까운 데를 누르면서 동시에 오른손으로 담쾌를 따라 퉁기며 연주한다.
해금 : 깡깡이라고도 한다. 작은 통 위에 60cm가량의 대를 세워 자루를 만들고, 그 자루 끝에 줄을 감는 주아가 달려 있어, 2개의 줄을 끼우게 되어 있다. 또한 줄은 원산이라는 괘로 버티고 말총으로 만든 활로 연주한다.
아쟁 : 이 악기는 고려 시대에 수입됐다. 개나리 가지의 껍질을 벗기고 거기에 송진을 칠한 활대로 줄을 문질러 연주한다. 줄은 모두 7현이다. 이 악기에도 가야금의 기러기 발과 같은 기둥으로 괴어 있다. 이것은 낮은음 악기로서 주로 당악과 향악에 사용한다.
양금 : 이 악기는 본래 아라비아의 것인데 선교사들에 의해 중국에 들어왔고, 그 후 영조 시대에 우리 나라에 유입되었다. 네모꼴 판자 위에 16벌, 64줄의 철사를 매었는데, 음역은 2옥타브 반이다.
대금 : 신라 삼죽(소금,중금,대금)의 하나로 젓대라고도 부른다. 소릿구멍은 6개인데, 음역은 2옥타브이다. 불구멍 외에 갈대 속을 붙인 청공이 있어 음색을 변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저음은 어둡고 고음은 맑으며 우아하다.
중금 : 대금보다 작고 소금보다 큰 악기로 , 연주 방법은 대금과 같다. 그런데 근래에 와서 청공을 없앤 것도 있다.
당적 : 가로피리로, 길이는 64cm이다. 1개의 불구멍과 6개의 소릿구멍이 있다. 음은 국악기 중에서 가장 높은데, 옛날에는 주로 당악에서 사용했으나 지금은 향악에서도 대단히 필요한 악기이다.
단소 : 이 악기는 퉁소와 같은 악기를 본받아 우리 음률에 맞추고 간편하게 된 악기로서 이조 말에 생긴 관악기이다. 퉁소와 비슷한 모양이나 다소 작으며 길이는 46cm가량이고 구멍은 앞에 4개, 뒤에 1개가 있다. 이 악기는 관악 합주에 사용되고 중주와 독주용을 사용한다.
당피리 : 본래 서역 계통의 악기로 ,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유입되었다. 본래는 앞구멍이 7개 뒷구멍이 2개였던 것이 후에 향피리와 같은 구조로 개량되었다.
향피리 : 본래 서역계의 악기로, 당피리보다 약간 가늘고 세피리보다 다소 굵다. 앞면에 7개의 구멍이 있고, 뒷면에는 1개가 있다. 대로 마든 겹혀를 관대에 꽂아 사용하는 점이 양악기의 오브에와 비슷하다. 음역은 2옥타브, 독주와 합주에도 사용된다.
세피리 : 향피리보다 다소 가늘지만, 구조는 같다. 주로 합주로 사용된다.
퉁소 : 본래 중국 악기고 , 6개의 구멍이 앞면에 있고, 뒷면에 1개의 구멍이 있다. 대로 만들었으며 갈대청을 붙여 연주한다.
대평소 : 나무로 마든 관대에 8개의 구멍이 있다. 아래쪽 끝에는 깔때기 모양으로 댄 통팔을 붙이고 위는 갈대로 만든 혀를 끼워 연주한다.
생황 : 길이가 각기 다른 17개의 죽관을 작고 둥근 통의 둘레에 꽂았는데 통 옆에 있는 불구멍으로 숨을 내쉬고 들이마시면서 연주하는 여러 음을 같이 낼 수 있는 화음 악기이다. 이는 아래쪽 끝에 잇는 리이드가 진동하여 관대를 공명시켜 소리를 낸다. 이것은 서기 725년 전부터 있었다고 하나 우리 나라에는 세종 때에 제작되었다고 한다.
훈 : 진흙을 마치 복숭아 모양을 구워 만든 원시적인 악기이다. 속은 비었으며 위에 불구멍이 있고 소릿구멍은 앞면에 3개가 있고 뒷면에 2개가 있다.
장구 :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리듬 악기로, 악기의 허리가 가늘다해서 세요고라는 별명이 있다. 왼손으로 치는 가죽은 쇠가죽이고, 채로 치는 오른쪽은 말가죽이다. 장구춤이나 농악춤을 출 때는 어깨에 메고 친다.
갈고 : 서역계의 악기로, 보기에는 모양과 크기가 장구와 비슷하나, 양쪽에 있는 가죽이 장구에 비해 모두 엷고 양쪽 다 말 가죽을 쓴다.그리고 양손에 채를 들어 치는 점 또는 새 굴레가 양쪽에 다 있는 것이 다르다.
박 : 음악이나 무용이 시작되거나 끝날 때 또는 변화가 생길 때에 지휘.인도하는 악기이다. 6개의 단단한 판목을 한쪽만 끈으로 꿰어 묵었는데, 길이가 약 43cm, 너비는 663cm가량이다. 나무 외에 고래 뼈나 또는 사슴뿔로 만든 소형의 박도 있다.
축 : 음악을 시작할 때에 쓰는 네모꼴로 생긴 악기이다. 바닥은 막혔고 위에 둥근 구멍이 뚫렸다. 이것을 막대기로 세 번 치면, 곧 음악을 시작한다.
어 : 음악이 끝날 때 사용하는데, 통나무로 만든 '엎드린 범'의 등에 27개의 톱니 같은 날을 새겨 붙였다. 대나무 채로 먼저 범의 목덜미를 한번 친 다음 꼬리 쪽으로 드르르 긁어내리기를 세번 거듭하면 곧 음악이 끝난다.
북 : 우리 나라 악기 중 북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잇는데, 그 중에서 건고는 제일큰 북이다. 이는 옛 궁중의 경사스런 연례와 조회 때에 사용한다.
건고 : 이 악기의 높이가 452cm, 통의 직경 109cm, 통의 길이가 약 162cm가 되는 큰 북이다. 호랑이 꼴의 네 발 줏대 위에 길쭉한 북을 가로 올려놓고, 그 위에 네모진 2층 장식을 하여 그 끝에 학을 세웠다. 네모꼴 장식을 방개라 하는데, 상하 방개에는 각각 홍색.녹색의 비단 양장이 둘려 있고 아래층 방개의 네 모퉁이에 용을 새긴 막대기인 용간이 하나씩 달려 있다. 이조 초기부터 사용하였다.
응고.삭고 : 이 악기들은 모두 긴 통같이 생긴 북인데, 응고는 삭고에 비해 약간 작다. 이는 건고와 함께 사용하는데 삭고는 건고의 서편에 , 응고는 그 동편에 각기 자리잡고, 음악이 시작될 때에 한 번씩 차례로 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