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극 춘향 의 감상문. 국립창극단 제111회 정기공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극 춘향 의 감상문. 국립창극단 제111회 정기공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창극이란 무엇인가?
2. 창극과 판소리
3. 창극의 발전방향

Ⅱ.본론
1. 창극 "춘향" 의 출연진 소개
2. 창극 "춘향" 의 작품소개
3. 창극 "춘향" 의 줄거리
4. 창극 "춘향" 의 연출의 글

Ⅲ. 결론
1. 창극 "춘향"의 감상문
2. <국립극장 - 해오름 극장>
(1) 무대시설
(2) 객석
(3) 무대
(4) 음향
(5) 조명
(6) 로비 인테리어

참고자료

본문내용

들 또한 놀라움과 새로움을 느낄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종장 이제 춘향이가 이도령이 장원급제를 하게된 사실을 알고 모두들 좋아 나와서 흥명나게 소리 한판을 하는 대목. 여기서는 월매가 이도령이 어사 일줄 알았다고 하면서 하는 소리대목에서는 월매의 익살스러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모두 나와 사랑가로 마무리를 해주었다.
너무나 멋진 공연이었다. 점차 전통을 이어가고 있지만 새로운 춘향을 만나면서 사라지지 않고 꾸준히 우리나라에서 세계로 널리 알려져 다행이다. 춘향의 스토리는 누구나 알고있는 이야기지만 어떻게 구성하는지 어떻게 어떤 음악으로 보여지는지 따라서 우리나라와 전 세계가 기억 할 수 있는 공연을 만들었으면 한다. 이번 공연에서도 많은 새로운 변화를 줬다고 들었다. 전통을 이어가면서 새로운 것을 도입하기란 정말 힘든건데, 아쉬운점도 있었지만 그 동안의 춘향이를 넘어서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사회풍자를 할 수 있는 「춘향」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2. 국립극장 - 해오름 극장
(1) 무대시설
국립극장은 1973년에 설치되어 노후한 무대시설을 교체·보강하기 위해 해오름극장 새단장 공사와 별도로 1984년부터 2008년까지 무대시설 현대화 작업 장기계속사업(총사업비 308억원)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1984년부터 2003년까지 총 134억원을 투입하여, 최적화된 공연 및 관람환경을 조성하고 공연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조명·음향·영상·무대기계 등 각종 무대장비를 최신장비로 교체해 오고 있다. 2004년에는 해오름극장 개보수 예산 이외에 7억원의 예산으로 노후한 조명·음향·영상장비, 무대설비 교체, 고연용품 전산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05년 이후에도 노후 무대시설 및 무대음향·조명장치 교체, 디지털 영상장비, 무대기계, 개인용 LCD 자막기 설치 등 최첨단 장비를 계속 보강해 나갈 계획이다.
(2) 객석
기존의 낙후된 마감재를 전면 교체하였고, 음의 선율 및 공간 깊이감 강조를 위한 디자인을 도입하여 설계했다. 바닥은 카펫타일로 마감처리 되었고, 객석의자는 갈색 계통의 부드러운 색상을 선택했다.
전체 1,522석에서 1,563석으로 늘어났으며 좌석 폭은 점차 커지고 있는 국민 체형에 따라 500mm에서 500~570mm의 8종류로 선택해 직선형 통로 대신 방사형 통로로 재배치하고 또 엇갈리게 배치함으로써 최대한의 가시선을 확보했다. 객석 경사 또한 13% 높아져 어느 좌석에서라도 편하게 관람할 수 있게 되었다. 장애인석은 16석이고, 늦게 온 손님을 위한 대기석 24석이 새롭게 마련됐다
(3) 무대
다양한 공연들을 탄력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기존의 고정식 프로시니엄을 최소폭 18m~최대 22.4m, 높이 8.5m~무제한의 가변식 프로시니엄으로 설치했고, 프로시니엄 전동 브리지 및 프로시니엄 타워를 설치하여 조명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운영의 편리성을 꾀했다. 기존의 단일 오케스트라 리프트(lift)는 3등분 형태로 분할하여 단독 또는 돌출무대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해 연주 공간과 연기 공간 등 복합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무대 내 전면바닥 조명기를 철거하여 연주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확장·개조했다.
(4) 음향
a) 음향입력 시스템 개선
마이크에서 음향조정기(Mixing Console)에 이르는 구간의 신호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에서 광디지털 증폭 케이블 시스템(Optical Digital Multi Core System)방식으로 개선된다. 이 장치는 국내 공연장에서는 최초로 장치되는 것으로 선로의 손실 및 잔음을 최대한 억제시킨다.
b) 음향 출력 시스템 개선
노후한 객석 스피커 68대를 교체, 재배치하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완벽한 입체음향 구현과 각종 공연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2채널 스테레오에서 24채널의 디지털 입체음향 구현 장치를 도입하여 보다 실감나는 음향효과, 어느 자리에서나 균일한 음압을 즐길 수 있게 했다.
c) 음향 워크숍 개최
국립극장은 24채널 디지털 입체음향 구현 장치의 설치에 따라 오는 10월 14일부터 16일까지 외국 음향전문가를 초청하여 전기음향을 측정·조정하고 국내 음향 스태프와 같이 이 과정을 습득하는 음향 워크숍을 개최하여 24채널 디지털 입체음향 구현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였다
(5) 조명
조광기실을 지층에서 무대 우측 5층으로 이전하여 각 회로의 부하거리를 단축하여 전력손실을 줄였다. 2, 3층 발코니에 조명걸이대와 54회로 증설로 3분할된 오케스트라 피트에 여러 각도에서 전면무대(돌출무대) 조명을 보강하게 되었다. 디지털 효과장비 사용을 위한 디지털(DMX)신호장비 설치로 무빙라이트, 특수효과장비, 색지 교환기 등 다양한 장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6) 로비 인테리어
밝고, 넓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라는 기본 컨셉트에 맞추어 고전과 현대가 적절하게 어우러지는 인테리어로 구성하였다. 건축물 외부가 전면 유리 창호로 바뀌었고 내부 자재를 밝은 대리석으로 마감함으로써 내부가 한결 밝고 고급스러워 졌으며, 출입구 외부의 무겁고 육중한 캐노피(canopy)가 철거되고 유리 캐노피로 바뀌면서 폭도 길어져 내부 분위기와 연속성을 이루게 되었다. 그리고 1층 중앙계단이 철거되어 로비가 넓어지므로 1층에서 리셉션 및 다양한 전시행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1층 바닥과 기둥, 벽면 등이 밝은 대리석으로 바뀌면서 고급스러워진 분위기로 바뀌고, 천정 조명, 샹들리에의 교체 등으로 로비 내부가 한층 밝아졌다. 1층부터 천장까지 보이는 로비의 중앙 공간은 땅콩 모양으로 둥근 모양에 주위 난간은 우리나라 전통기와집 모양의 처마 형식으로 포인트를 주었으며, 기둥 끝 부분도 석가래 모양을 주어 고전적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참고자료
1. 국립극장 HTTP://www.ntok.go.kr/ 
2. 국립창극단 HTTP://www.ntok.go.kr/family/changguk/WorksViewLstChang.jsp
3. 세계화 시대의 창극 (창극 100년, 국립창극단 40년사) 국립중앙극장 지음 2002.12.31
4. 국립극장 창극 "춘향" 팜플렛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1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2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