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문화의 정의
2. 미국의 대중문화
3. 결론
2. 미국의 대중문화
3. 결론
본문내용
이 즈음해서 어느 정도 정리되어졌기 때문이다. 위에서 언급한 문화산업은 경제적 호황을 즐길 소비적 주체를 만들기 위해 분주했고, 대중들은 기꺼이 문화산업이 생산해내는 문화물들은 즐기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의 자본주의 대중문화형성과 다르게 국가 주도의 대중문화 형성이라는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또한 미국의 경우처럼 대중문화 중심부의 힘을 무시할 수 없더라도, 여전히 주변부 문화들이 나름대로 생명력을 유지하거나 심지어 이에 저항하기도 하는 다원성의 문화이나, 우리나라는 대중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외래문화가 그 주를 차지했다는 점에서 주변부 문화가 흡수될 가능성은 적어진다. 그리고 이미 구축된 장르의 전략을 그대로 흉내내거나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이식해 사용하는 경향이 높다. 이런 중심문화를 단순 중개하거나 모방하는 것은 세계화, 탈 국경화 시대를 맞지 않는 것이다. 대중문화에 대해 이론적 관점에서 그 부정적 영향을 논하고 거부하고자 하는 다분히 낭만적인 사고가 오늘날 국내 대중문화를 황폐화하고 종속적인 상태로 방치하고 있는 것 같다. 이처럼 대중문화의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우리 대중문화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추천자료
일본대중문화의 이해, 일본문화는 저질문화인가?
[대중문화의 이해]한국 대중문화의 성격과 실체비판 (A+리포트)
<문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현대문화분석 - 문화산업 (계몽의 변증법) & 문화연구의 두개의 패러다임 (현대사회와 대...
[대중문화와매스컴미디어] 인터넷 댓글문화와 침묵의 나선이론을 통한 댓글문화의 특성분석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대중문화의 개념 및 특징과 과거와 현대의 대중문화 조사분석과 나아가야 할 길
대중문화와 문화 산업
[1950년대, 모더니즘, 문학, 희곡, 대중문화, 국가정책]1950년대의 모더니즘, 1950년대의 문...
[헤르만 헤세][헤르만 헤세 출생][헤르만 헤세 종교][내면세계][음악세계][대중문화]헤르만 ...
[대중문화] 아이돌 팬덤(fandom)문화의 변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국내 대중가수 팬덤을 중...
[대중문화와 기독교]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과 대중문화
대중문화의 이해 “젊은 세대의 자유분방한 문화적 에너지가 과거와는 다른 자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