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과 띄어쓰기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띄어쓰기의 필요성

2. 띄어쓰기의 원리와 원칙

3. 띄어씌기의 실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달 말, 이번 학기 말쯤에 보자. 고려 말. 금년 말
이 외에도 우리 생활에서의 실례들은 정말 많다.
Ⅲ. 결론
이 띄어쓰기에 대한 Report를 작성할 때 항상 헷갈리는 띄어쓰기로 갈팡 질팡 했었는데 막상 깊게 서론 - 본론 - 결론으로 써야 된다는 압박감에 사로 잡혔었다. 두꺼운 자료를 대하면서 이렇게 다양한 띄어쓰기의 원리가 있다는 것을 보고 놀랐었는데, 막상 결론에 달했을때는 띄어서야 할 경우와 붙여써야 할 경우를 어느정도는 알게 되었다. 명사, 조사, 부사와 동사가 조사 없이 연결될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붙여써야 하는지 띄어써야 하는 것은 어렵다.
이때 단어로 볼 것인가 구로 볼 것인가에 대한 것은 언중들의 직관 외에 특별한 기준이 될 만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말글의 띄어쓰기는 '우리말 바로쓰기'의 터를 닦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규정이 다소 복잡하다 하여 손쉽게 포기해 버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고도의 사고력을 요구하는 일반 제재의 독해 문제보다는 적은 사고력을 가지고도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그 어느 문제보다도 유형화가 잘 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말이란 우리의 사고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따라서 바르게 알고 사용해야 그 말의 의미를 명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우리 나라는 단일한 언어와 문자를 사용하는 나라입니다. 불행한 역사로 말미암아 지금은 비록 양쪽으로 갈라져 있기는 하지만, 남과 북에서는 갈라지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같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북한의 띄어쓰기에도 관심을 갖고 이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끝으로 띄어쓰기에 대한 글을 마칩니다.
Ⅳ. 참고문헌
1. 종로서적 편집부, 「한글 바로쓰기」, 종로서적, 서울, 1989.
2. 이오덕, 「우리 글 바로쓰기」, 한길사, 서울, 1996.
3. 원영섭, 「바른 띄어쓰기 맞춤법」, 세창출판사, 서울, 2000.06.
4. 바른말바른글연구모임,「맞춤법 띄어쓰기와 교정의 실제」,
연암출판사, 서울, 1999.09.
5. 원영섭, 「띄어쓰기 맞춤법 용례」, 세창출판사, 서울, 1997.06.
6. 설의웅, 「알기쉬운 띄어쓰기와 맞춤법 문장구조와 도해법」,
대광문화사, 서울, 1996.10.
7, 이은정, 「띄어쓰기 용례 및 해설」, 백산출판사, 서울, 1993.10.
8, 조영희, 「새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의 이론과 실제」,
신아출판사, 서울, 1988.1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1.2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