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2 장 본 론
1. 농업정책 개혁론
(1) 근농기구―근농관과 운영절목
(2) 향약과 향촌질서의 재건
(3) 향약의 내용
2. 농업기술 개혁론
(1) 선행 농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적지적작 및 시후론
(3) 경지법 개혁론
(4) 중경제초법 개혁론
(5) 농기구 개선 및 수차활용론
(6) 경영개혁론
3. 농업경영 개혁론
(1) 집약적 소농경영론
(2) 상업적 농업경영론
제 3 장 결 론
제 2 장 본 론
1. 농업정책 개혁론
(1) 근농기구―근농관과 운영절목
(2) 향약과 향촌질서의 재건
(3) 향약의 내용
2. 농업기술 개혁론
(1) 선행 농서에 대한 비판적 검토
(2) 적지적작 및 시후론
(3) 경지법 개혁론
(4) 중경제초법 개혁론
(5) 농기구 개선 및 수차활용론
(6) 경영개혁론
3. 농업경영 개혁론
(1) 집약적 소농경영론
(2) 상업적 농업경영론
제 3 장 결 론
본문내용
도시유입이
날로 늘어나고 있었던 만큼, 상업에 종사하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농작물에 대한 시장수요를 더
욱 촉진시켰으며, 시장에서의 상품화를 목표로 한 상업적 농업경영을 한층 자극시키는 결과를 가
져왔다.
第 3 章 結 論
우하영의 농정관과 농업개혁론은 18세기 후반의 변동기적 사회현실과 발전된 농업생산력을 기반
으로 그 시대의 농업 문제 전반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깊은 성찰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왕조의 재
정적 기반은 전적으로 농업에 의존하고 있는 데다가, 그 자신이 농촌에서 소농경영에 종사하고
있었던 만큼 저작 <천일록>에서 그가 농업 문제 연구에 주력하며 그 개혁책을 모색하려 했던 것
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
우하영의 전진적이고도 탁월한 농업기술론과는 달리, 그가 봉건적인 구체제의 모순으로 집약될
수 있는 지주전호제에 대해서 근본적인 개혁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그 견해를 보유하고 있음은,
그의 현실론에 입각한 농업경영론이 지니고 있는 시대적.사상적 한계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 ♣ 目 次 ♣ ♣
第 1 章 序 論
第 2 章 本 論
1. 農業政策 改革論
(1) 勤農機構―勤農官과 運營節目
(2) 鄕約과 鄕村秩序의 再建
(3) 鄕約의 內容
2. 農業技術 改革論
(1) 先行 農書에 대한 批判的 檢討
(2) 適地適作 및 時候論
(3) 耕地法 改革論
(4) 中耕除草法 改革論
(5) 農器具 改善 및 水車活用論
(6) 經營改革論
3. 農業經營 改革論
(1) 集約的 小農經營論
(2) 商業的 農業經營論
第 3 章 結 論
⊙ REPORT ⊙
禹夏永의 實學思想 硏究
(第3章 農政觀과 農業改革論 요약)
날로 늘어나고 있었던 만큼, 상업에 종사하는 인구의 증가와 함께 농작물에 대한 시장수요를 더
욱 촉진시켰으며, 시장에서의 상품화를 목표로 한 상업적 농업경영을 한층 자극시키는 결과를 가
져왔다.
第 3 章 結 論
우하영의 농정관과 농업개혁론은 18세기 후반의 변동기적 사회현실과 발전된 농업생산력을 기반
으로 그 시대의 농업 문제 전반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깊은 성찰에서 비롯되었다. 조선왕조의 재
정적 기반은 전적으로 농업에 의존하고 있는 데다가, 그 자신이 농촌에서 소농경영에 종사하고
있었던 만큼 저작 <천일록>에서 그가 농업 문제 연구에 주력하며 그 개혁책을 모색하려 했던 것
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었다.
우하영의 전진적이고도 탁월한 농업기술론과는 달리, 그가 봉건적인 구체제의 모순으로 집약될
수 있는 지주전호제에 대해서 근본적인 개혁 문제를 제기하지 않고 그 견해를 보유하고 있음은,
그의 현실론에 입각한 농업경영론이 지니고 있는 시대적.사상적 한계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 ♣ 目 次 ♣ ♣
第 1 章 序 論
第 2 章 本 論
1. 農業政策 改革論
(1) 勤農機構―勤農官과 運營節目
(2) 鄕約과 鄕村秩序의 再建
(3) 鄕約의 內容
2. 農業技術 改革論
(1) 先行 農書에 대한 批判的 檢討
(2) 適地適作 및 時候論
(3) 耕地法 改革論
(4) 中耕除草法 改革論
(5) 農器具 改善 및 水車活用論
(6) 經營改革論
3. 農業經營 改革論
(1) 集約的 小農經營論
(2) 商業的 農業經營論
第 3 章 結 論
⊙ REPORT ⊙
禹夏永의 實學思想 硏究
(第3章 農政觀과 農業改革論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