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생애 및 저술
Ⅲ. 성리학 비판과 소사학(昭事學)
Ⅳ. 기호(嗜好)로서의 인간 본성과 자주지권(自主之權)
Ⅴ. 민본적(民本的) 위민사상(爲民思想)과 전제개혁론(田制改革論)
Ⅵ. 사회개혁론과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Ⅶ. 결론
Ⅱ. 생애 및 저술
Ⅲ. 성리학 비판과 소사학(昭事學)
Ⅳ. 기호(嗜好)로서의 인간 본성과 자주지권(自主之權)
Ⅴ. 민본적(民本的) 위민사상(爲民思想)과 전제개혁론(田制改革論)
Ⅵ. 사회개혁론과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Ⅶ. 결론
본문내용
을 비판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람의 얼굴이나 손금을 보고 길흉과 운명을 예언하는 관상법과 길흉의 날을 택하는 택일법, 그리고 맥을 짚어 운명을 따지는 것 등에 대해서도 비판을 하였다. 이처럼 검증되지 않거나 신비롭고 허황된 사고에 따르기 보다는 실천가능하고 실용적인 학문에 그는 관심을 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중국의 과학과 기술을 배우고 각종 기구를 사들인다면 “10년을 못 가서 반드시 효과가 나타나며 나라는 부강하여지고 국방력도 강화된다”고 단언하였다.
Ⅶ. 결론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논의할 때, 흔히 ‘경세치용(經世致用)·이용후생(利用厚生)·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개념으로 그 특성을 규정하는데, 정약용은 이 세 요소를 모두 겸비하여 조선 후기의 실학을 집대성하였다고 한다. 다산학은 유학의 경전과 서학을 두 축으로 삼아 성립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양명학이나 고증학 등도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 명실 공히 ‘주자학’으로부터 탈피하여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구축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정약용의 실학사상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 여러 방면에서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성 질서의 유지와 도덕적 명분론과 정쟁(政爭)에만 급급해 현실적 문제인 부국강병과 민생문제를 놓친 문제점에서 나온 것이라 할 것이다. 또, 청조 고증학의 영향과 서구문물의 전래에 따른 자극도 그 배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실학은 처음에는 성호 이익을 대표로 하는 경세치용파로 다음에는 연암 박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후생파로 마지막은 완당 김정희를 대표로 하는 실사구시파로 이어져 내려온 것이며, 정약용은 이러한 실학의 특성을 모두 집대성한 학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민중을 생각하며 그 당시 사회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그의 노력 그리고 실용성은 현대사회에 있어도 많은 교훈을 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약용 실학의 학문적 특성은 성리학과는 달리 내적인 심성의 추구보다 실천적인 측면과 실용성을 더 강조하는 바 도덕교육에 적용하여 보았을 때 그러한 실천의 기회를 많이 부여함으로써 실천을 통한 도덕교육과 학문적 지식의 추구와 더불어 그것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도덕교육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보여진다.
참고문헌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348~360쪽.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다운샘, 2000, 249~282쪽.
Ⅶ. 결론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논의할 때, 흔히 ‘경세치용(經世致用)·이용후생(利用厚生)·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개념으로 그 특성을 규정하는데, 정약용은 이 세 요소를 모두 겸비하여 조선 후기의 실학을 집대성하였다고 한다. 다산학은 유학의 경전과 서학을 두 축으로 삼아 성립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양명학이나 고증학 등도 일정 부분 수용하면서, 명실 공히 ‘주자학’으로부터 탈피하여 독자적인 학문세계를 구축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정약용의 실학사상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 후기 여러 방면에서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기성 질서의 유지와 도덕적 명분론과 정쟁(政爭)에만 급급해 현실적 문제인 부국강병과 민생문제를 놓친 문제점에서 나온 것이라 할 것이다. 또, 청조 고증학의 영향과 서구문물의 전래에 따른 자극도 그 배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실학은 처음에는 성호 이익을 대표로 하는 경세치용파로 다음에는 연암 박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이용후생파로 마지막은 완당 김정희를 대표로 하는 실사구시파로 이어져 내려온 것이며, 정약용은 이러한 실학의 특성을 모두 집대성한 학자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민중을 생각하며 그 당시 사회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그의 노력 그리고 실용성은 현대사회에 있어도 많은 교훈을 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약용 실학의 학문적 특성은 성리학과는 달리 내적인 심성의 추구보다 실천적인 측면과 실용성을 더 강조하는 바 도덕교육에 적용하여 보았을 때 그러한 실천의 기회를 많이 부여함으로써 실천을 통한 도덕교육과 학문적 지식의 추구와 더불어 그것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도덕교육을 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보여진다.
참고문헌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심산, 2003, 348~360쪽.
·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실학사상사」, 다운샘, 2000, 249~282쪽.
추천자료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를 읽고서
민족정신의 얼을 찾아서
목민심서
'목민심서'에 대한 작품분석 및 나의 독후감
[감상문]몸을 다스리는 원칙과 백성을 사랑하는 방법 - 목민심서
[A+독후감] 목민심서를 읽고
[한문학]한시론(정약용의 조선시론
[독서감상문] 다산선생의 '지식경영법'을 읽고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교육철학]조선 성리학 이황 교육사상(교육철학), 조선 성리학 이이 교육사상(교육철학), 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교육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