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까.”라는 말로 참된 품평은 칭찬에 있음을 강조했다. 이 일화로 이 정자는 ‘바위마저도 칭찬해야 한다.’는 의미의 품석정(品石亭)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다산은 자신의 일기에서 이를 소개하며, 다음과 같은 토를 달았다.
“남을 품평하는 것은 참으로 쓸모없는 일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남을 평가하느라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남을 품평하는 것은 참으로 쓸모없는 일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남을 평가하느라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으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추천자료
정약용 丁若鏞 [1762~1836]
[전통음악] 정약용의 악보
정약용의 악론을 읽고
[한문학]한시론(정약용의 조선시론
[독후감]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호전육조를 읽고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신라 원효, 설총, 최치원의 교육사상, 고려 최충과 안향의 교육사상, 고려 이색과 정몽주의 ...
[교육철학]조선 성리학 이황 교육사상(교육철학), 조선 성리학 이이 교육사상(교육철학), 조...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정약용의 목민심서(목민관)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읽고
정약용의 철학(심신묘합, 원욕, 성기호설, 단시설, 인심도심내지송설, 자주지권)
[독후감] 목민심서(牧民心書)를 읽고 _ 정약용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