形而上學(metaphysics)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형이상학(metaphysics)이란 무엇인가?

2. 강의

3. 형이상학적 문제의 전개

4. 문제의 전개

5. 문제의 해답

본문내용

으로는 無를 성립시키기도 하는 그러한 부정을 동반한다면 우리는 너무 늦어지고 말 것이다. 無는 그보다 앞서서 만났다. 우리는 無는 미끌어 떨어지듯 탈락하는 전체로서의 존재자와 \'함께\' 만난다고 말했다.
불안 가운데에는 逃避(도피)는 물론 아니요, 追放된 安靜인 바, \'…로부터의 退却(퇴각)\'이라는 현상이 있다. 이 \'…으로부터의 退却\'은 無로부터 출발한다. 無는 자기 쪽으로 끌어들이지 않는다. 오히려 본질적으로 拒否的이다. 그러나 자기로부터 거부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서 沈沒(침몰)해 가는 전체로서의 존재자를 미끌어뜨려 탈락 시키면서 지시한다는 것이다. 미끌어 떨어지듯 탈락하는 전체로서의 존재자를 전체적으로 拒否하면서 指示하는 것은―그러한 지시로서 無는 불안 가운데에서 현존재를 둘러싸고 엄습한다―無의 본질 즉 無化 作用이다. 無化는 존재자의 絶滅도 아니요, 또 否定에서 由來하지도 않는다. 無化는 또 한 絶滅이나 否定 가운데 算入되지도 않는다. 無 자체가 無化한다. 無化는 任意의 事件이 아니다. 오히려 無化는 미끌어 떨어지듯 탈락하는 전체로서의 존재자를 거부하면서 지시하는 것으로서, 존재자를 이제가지 감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완전히 생소한 채로 있는 端的인 他者로서, 즉 無에 대하여 顯示한다.
不安이라는 無의 白夜에서 비로소 존재자 자체가 근원적으로 현시해 온다. ―그것은 존재자요, 그리하여 無가 아니라고. 우리가 여기서 \"그리고 無가 아니다\"라고 첨가해서 말 한 것은, 附加的인 설명이 아니라, 존재자 일반의 顯示性을 先行的으로 가능케 하는 것이다. 근원적으로 無化하는 無의 본질은, 현­ 존재를 맨 먼저 존재자 자체 앞에 직면시키는데 있다.
無의 근원적 현시성을 근거로 해서만 인간의 현존재는 존재자와 交涉할 수 있고, 존재자를 다룰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존재 그 본질상 존재자가 아니라 존재자 自體인 존재자에 관계하는 限, 그 현존재는 현존재 자체로서 그때마다 이미 顯示되는 無로부터 유래한다.
현존재란 스스로 無 속에 介入하면서 그때마다 이미 전체로서의 존재자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 \'존재자를 넘어서 있음\'을 우리는 超越이라 부른다. 현존재가 그 본질의 근원에 있어서 초월하지 않는다면, 즉 현존재가 미리 앞질러서 스스로 無 속에 介入하지 않는다면, 그 현존재는 存在者와 關係할 수 없을 것이며, 또한 자기 자신과는 關係할 수 없울 것이다.
無의 根源的 顯示性 없이는 자기 存在도 없고 自由도 없다.

키워드

형이상학,   철학,   상식,   문제,   강의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