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대철학
제 1 장 희랍 로마 신화
1.올림푸스의 열두 신(神)
2.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3. 디오니소스
제 2 장 자연 철학
1. 일원론적 자연 철학
가. 밀레토스 학파
나. 헤라클레이토스(기원전 544-484년):만물유전
다. 피타고라스
라. 엘레아 학파
2. 다원론적 자연 철학
가. 엠포도클레스(기원전 490-530) : 절충주의자
나. 아낙사고라스(기원전 500-428) : 무제한의 다원성
다. 데모크리토스
제 3 장 아테네기의 철학
1. 소피스트
가. 프로타고라스(기원전 480-410년) : 인간 척도론
나. 고르기아스(기원전 483-374년)
2. 소크라테스(기원전 469-399년)
가. 산파술
나. 무지의 지
다. 지행합일설
라.죽음 :육체로부터 영혼이 해방되는 것
마. 소(小) 소크라테스 학파
3. 플라톤(기원전 427-347년)
가. 이데아론
나. 상기설 : 영혼 불멸의 근거
다. 영혼론과 윤리학
라. 국가론
마. 교육론
바. 평가
4.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
가. 논리학
나. 형이상학
다. 자연학
라. 인간학 및 윤리학
마. 정치학
바. 교육론
사. 평가
제 4 장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철학
1. 스토아 학파
가. 인식론
나. 형이상학
다. 윤리학 : 금욕주의
라. 평가
2. 에피쿠로스 학파 -정원(庭園)학파
가. 윤리학
나. 국가론
다. 자연학
라. 인식론
마. 평가
3. 회의 학파
4. 절충주의 학파
5. 신 플라톤 학파
중세 철학
제 1 장 기독교 사상
1.기독교의 기원
가.발생배경
나.예수의 등장
다.기독교의 특징
라.기독교의 공인
2. 예수의 생애
3. 예수의 사상
제 2 장 교부 철학
1. 그노시스파
2. 호교파
가. 알렉산드리아의 호교파
나. 호교가
3. 아우구스티누스(354-430)
가. 삼위 일체설
나. 원죄설
다. 인간의 구원
제 3 장 스콜라 철학
1. 초기 스콜라 철학
가. 보편논쟁
나. 실재론자
다. 유명론자
라. 잠정적 해결
2. 중기 스콜라 철학
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1193-1280)
나.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1274)
3. 후기 스콜라 철학
가. 로저 베이콘(Roger Bacon, 1214~1292)
나.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70~1308)
다. 윌리엄 오캄(William Occam, 1300~1350)
4. 독일의 신비주의
제 1 장 희랍 로마 신화
1.올림푸스의 열두 신(神)
2.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3. 디오니소스
제 2 장 자연 철학
1. 일원론적 자연 철학
가. 밀레토스 학파
나. 헤라클레이토스(기원전 544-484년):만물유전
다. 피타고라스
라. 엘레아 학파
2. 다원론적 자연 철학
가. 엠포도클레스(기원전 490-530) : 절충주의자
나. 아낙사고라스(기원전 500-428) : 무제한의 다원성
다. 데모크리토스
제 3 장 아테네기의 철학
1. 소피스트
가. 프로타고라스(기원전 480-410년) : 인간 척도론
나. 고르기아스(기원전 483-374년)
2. 소크라테스(기원전 469-399년)
가. 산파술
나. 무지의 지
다. 지행합일설
라.죽음 :육체로부터 영혼이 해방되는 것
마. 소(小) 소크라테스 학파
3. 플라톤(기원전 427-347년)
가. 이데아론
나. 상기설 : 영혼 불멸의 근거
다. 영혼론과 윤리학
라. 국가론
마. 교육론
바. 평가
4.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년)
가. 논리학
나. 형이상학
다. 자연학
라. 인간학 및 윤리학
마. 정치학
바. 교육론
사. 평가
제 4 장 헬레니즘-로마 시대의 철학
1. 스토아 학파
가. 인식론
나. 형이상학
다. 윤리학 : 금욕주의
라. 평가
2. 에피쿠로스 학파 -정원(庭園)학파
가. 윤리학
나. 국가론
다. 자연학
라. 인식론
마. 평가
3. 회의 학파
4. 절충주의 학파
5. 신 플라톤 학파
중세 철학
제 1 장 기독교 사상
1.기독교의 기원
가.발생배경
나.예수의 등장
다.기독교의 특징
라.기독교의 공인
2. 예수의 생애
3. 예수의 사상
제 2 장 교부 철학
1. 그노시스파
2. 호교파
가. 알렉산드리아의 호교파
나. 호교가
3. 아우구스티누스(354-430)
가. 삼위 일체설
나. 원죄설
다. 인간의 구원
제 3 장 스콜라 철학
1. 초기 스콜라 철학
가. 보편논쟁
나. 실재론자
다. 유명론자
라. 잠정적 해결
2. 중기 스콜라 철학
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1193-1280)
나.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1274)
3. 후기 스콜라 철학
가. 로저 베이콘(Roger Bacon, 1214~1292)
나.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70~1308)
다. 윌리엄 오캄(William Occam, 1300~1350)
4. 독일의 신비주의
본문내용
의 관계에 놓여있다. 그러나 결국은 철학이 신학 의 아래에 종속되어야 한다
②존재론: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질료(가능태), 형상론(현실태)을 받아들임.
존재를 현존(독립된 사물)과 본질(사물들의 공통적 성질)이라는 두 계기로 나누었다.
실체-신(현존-현실성과 본질-보편적 형상이 완전히 일치하여 분리되지 않는 실체)
단순실체(정신적 실체, 본질만의 실체)
합성실체(자연적 실체, 형상과 질료가 합성된 실체)
개물(個物)은 질료와 형상의 결합으로 성립된다. 존재를 현존과 본질이라는 두 계기 로 나누고 현존은 독립된 사물을 가리키는 반면 본질이란 사물들의 공통적 성질, 즉 보편적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③신 존재의 증명: 신-토마스의 존재론 전제에 있어서 제 1 근거
다섯가지 방법으로 논증
첫째 방법: 운동에서 발견--운동하는 모든 것은 다른 어떤 것에 의하여 움직여져야 하 고 그 어떤 것은 또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움직여져야 함; 최후에 부동의 원동자 즉 제1원동자=신
둘째 방법: 동력인에서 발단; 제1동력인=신
셋째 방법: 우연적인 것에서 필연적인 것으로 전개되어가는 과정에서 찾아진다
넷째 방법: 모든 존재마다가 지니고 있는 완전성을 향한 점진적인 단계적 구조를 바탕 으로 한 것이다
다섯째 방법: 목적론적 방법에 따른 것으로서 모든 자연계의 합목적적 구조를 관찰하 는 데서부터 시작하고 있다
④심리학: 정신-비육체적인 것으로서 질료가 배제된 순수형상, 모든 생명 현상의 근원을 이루는 형상의 원리, 인간의 오성을 의지보다 더중요시함 (주지주의적 입 장)
⑤인식론: 인식하는 주체와 인식되는 대상과의 유사성에 의해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봄. 그러나 종교적 진리만큼은 신의 계시에 의해 파악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⑥윤리학: 모든 존재자가 그 본성에 도달하는 데에 그것의 덕과 가치가 있다
인간의 선-이성이 진리를 인식함으로써 스스로의 완성을 기하며, 하위의 욕구충족심을 올바른 방향으로 계도하는데 있다.
윤리적행동의 전제-의지의 자유, 그러나 결정론적 요소가 담겨있음
개별적 덕성-지혜, 용기, 절제, 정의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믿음, 소망, 사랑이라는 그리스도적 윤리를 첨가하고 있다
지성을 통해서 삶의 최고목표가 달성도리 수 있다-주지주의적 경향
⑦정치 철학: 윤리적 영역으로서 국가에 더 비중을 둠
인간은 정치적 존재이므로 개인에게 국가의 질서는 필수적이다-공동체의 전체적 안 녕을 위해 다수자를 통치할 수 있는 사회적 권력이 필요함
바람직스러운 국가형태
-군주정치: 군주는 신과 같은 위치를 차지하고서 선하고도 의롭게 정부를 이끌어 가야 한다.
시민들의 도덕적 삶을 위해 평화유지, 외적인 행복증진필요-교회에 의해서-현세 의 권력이 종교적 권능에 분명히 종속되어야함을 역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神國)사상을 받아서 이상국가 제시
공동제의 안녕을 위해 다수자를 통치할 수 있는 사회적 권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신 의 뜻을 따르는 것과 다름이 아니므로 결국 신이 모든 공권의 창시자인 셈이다.
3. 후기 스콜라 철학
가. 로저 베이콘(Roger Bacon, 1214~1292)
①토미니즘에 격렬하게 반대. 실험과 경험, 자연의 직접적 관찰과 사실 세계의 발생원인 으로만 복귀할 것을 요구
②스콜라철학자들을 비난함
ㄱ. 위대한 철학자(아리스토텔레스, 아비켄나, 아베로에스)들이 사용했던 희랍어와 아 라비아어에 관한 지식이 결핍되어 있었다
ㄴ.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는 수학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했다
ㄷ. 모든 문제를 성경이나 교회 또는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권위를 바탕으로 해결하려한 다는 점이다
③모든 번역물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외국어를 철저하게 습득하는 것이 긴요하다.
④실험을 통하여 자연을 관찰하고 탐구할 것을 요구
나.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70~1308)
①철학은 이론적이고 신학은 실천적인 것으로 봄
②신학과 철학과의 완전한 일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인식에 도달
-철학은 이론적인 것이고 신학은 실천적인 것으로 각기 분야를 달리함
③보편문제에 있어서 일반자보다도 개별자가 좀더 완전한 것이며 또한 자연의 진정한 목 표이기도 하다고 역설
④의지로 하여금 이성보다 상위를 차지하게 함-의지의 절대적 자유를 주장
⑤주지주의적 경향을 보임
⑥철학사적 의의: 방법의 문제에 대한 관심의 전환
스콜라 철학이 제시한 교의내용보다는 오히려 그 내용을 논증하기 위한 철학적 방법에 관심을 둠으로써 철학에 있어서 하나의 획기적 전환을 마련하였다.
다. 윌리엄 오캄(William Occam, 1300~1350)
-개물만이 유일한 실재이며, 보편이란 개물에 앞서지도 않고 개물속에 내재하지도 않은 개념에 불과 하다는 것을 주장-유명론적 입장
①모든 지식은 오직 개별자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유래한다.
②직각적 지식론: 개물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 것,경험에 의존하는 지식
③지식과 신앙을 분리해서 생각함(상하관계가 아닌 완전 독립된 분야로)
“당신이 나를 칼로써 방어해준다면 나는 당신을 붓대로써 방어해 주겠다”
4. 독일의 신비주의
대표자: 마이스터 엑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7)
-스콜라학파의 사고형식이나 표현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그가 표명했던 실 제 내용은 순수하고도 본원적이며 또한 독창적인 지식의 필요성이었음(내적인 원천이나 지식 중시)
:합리주의적 신학과 철학으로부터 신앙을 불리함
-신관은 신 플라톤 주의 사상과 동일~~신이란 오직 선 그 자체이며 일자, 절대자 또는 완벽한 피안인 까닭에 우리는 신에 대한 어떠한 구정도 내릴 수 없다.
가. 신성: 무의 심연처럼 그 어떤 존재의 술어도 첨가되지 않아야만 비로소 성립 될 수 있다. (성부:주체 성자:성부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객체 또는 로고스 성령:성부 와 성자를 결합시키는 사랑의 연줄)
나. 신비론: 신과 인간 영혼의 통일에 관한 것, 인간의 영혼은 곧 신의 모상
다. 신과의 합일을 중요시: 개인은 특수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신의 보편성 속으로 스스로 를 합류시킴으로써 신과의 합일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라. 인간의 구원이란 인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봄
②존재론: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질료(가능태), 형상론(현실태)을 받아들임.
존재를 현존(독립된 사물)과 본질(사물들의 공통적 성질)이라는 두 계기로 나누었다.
실체-신(현존-현실성과 본질-보편적 형상이 완전히 일치하여 분리되지 않는 실체)
단순실체(정신적 실체, 본질만의 실체)
합성실체(자연적 실체, 형상과 질료가 합성된 실체)
개물(個物)은 질료와 형상의 결합으로 성립된다. 존재를 현존과 본질이라는 두 계기 로 나누고 현존은 독립된 사물을 가리키는 반면 본질이란 사물들의 공통적 성질, 즉 보편적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③신 존재의 증명: 신-토마스의 존재론 전제에 있어서 제 1 근거
다섯가지 방법으로 논증
첫째 방법: 운동에서 발견--운동하는 모든 것은 다른 어떤 것에 의하여 움직여져야 하 고 그 어떤 것은 또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움직여져야 함; 최후에 부동의 원동자 즉 제1원동자=신
둘째 방법: 동력인에서 발단; 제1동력인=신
셋째 방법: 우연적인 것에서 필연적인 것으로 전개되어가는 과정에서 찾아진다
넷째 방법: 모든 존재마다가 지니고 있는 완전성을 향한 점진적인 단계적 구조를 바탕 으로 한 것이다
다섯째 방법: 목적론적 방법에 따른 것으로서 모든 자연계의 합목적적 구조를 관찰하 는 데서부터 시작하고 있다
④심리학: 정신-비육체적인 것으로서 질료가 배제된 순수형상, 모든 생명 현상의 근원을 이루는 형상의 원리, 인간의 오성을 의지보다 더중요시함 (주지주의적 입 장)
⑤인식론: 인식하는 주체와 인식되는 대상과의 유사성에 의해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봄. 그러나 종교적 진리만큼은 신의 계시에 의해 파악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⑥윤리학: 모든 존재자가 그 본성에 도달하는 데에 그것의 덕과 가치가 있다
인간의 선-이성이 진리를 인식함으로써 스스로의 완성을 기하며, 하위의 욕구충족심을 올바른 방향으로 계도하는데 있다.
윤리적행동의 전제-의지의 자유, 그러나 결정론적 요소가 담겨있음
개별적 덕성-지혜, 용기, 절제, 정의를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믿음, 소망, 사랑이라는 그리스도적 윤리를 첨가하고 있다
지성을 통해서 삶의 최고목표가 달성도리 수 있다-주지주의적 경향
⑦정치 철학: 윤리적 영역으로서 국가에 더 비중을 둠
인간은 정치적 존재이므로 개인에게 국가의 질서는 필수적이다-공동체의 전체적 안 녕을 위해 다수자를 통치할 수 있는 사회적 권력이 필요함
바람직스러운 국가형태
-군주정치: 군주는 신과 같은 위치를 차지하고서 선하고도 의롭게 정부를 이끌어 가야 한다.
시민들의 도덕적 삶을 위해 평화유지, 외적인 행복증진필요-교회에 의해서-현세 의 권력이 종교적 권능에 분명히 종속되어야함을 역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과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神國)사상을 받아서 이상국가 제시
공동제의 안녕을 위해 다수자를 통치할 수 있는 사회적 권력이 필요하다. 그것은 신 의 뜻을 따르는 것과 다름이 아니므로 결국 신이 모든 공권의 창시자인 셈이다.
3. 후기 스콜라 철학
가. 로저 베이콘(Roger Bacon, 1214~1292)
①토미니즘에 격렬하게 반대. 실험과 경험, 자연의 직접적 관찰과 사실 세계의 발생원인 으로만 복귀할 것을 요구
②스콜라철학자들을 비난함
ㄱ. 위대한 철학자(아리스토텔레스, 아비켄나, 아베로에스)들이 사용했던 희랍어와 아 라비아어에 관한 지식이 결핍되어 있었다
ㄴ. 모든 학문의 근본이 되는 수학에 대해서 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했다
ㄷ. 모든 문제를 성경이나 교회 또는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권위를 바탕으로 해결하려한 다는 점이다
③모든 번역물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외국어를 철저하게 습득하는 것이 긴요하다.
④실험을 통하여 자연을 관찰하고 탐구할 것을 요구
나.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1270~1308)
①철학은 이론적이고 신학은 실천적인 것으로 봄
②신학과 철학과의 완전한 일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인식에 도달
-철학은 이론적인 것이고 신학은 실천적인 것으로 각기 분야를 달리함
③보편문제에 있어서 일반자보다도 개별자가 좀더 완전한 것이며 또한 자연의 진정한 목 표이기도 하다고 역설
④의지로 하여금 이성보다 상위를 차지하게 함-의지의 절대적 자유를 주장
⑤주지주의적 경향을 보임
⑥철학사적 의의: 방법의 문제에 대한 관심의 전환
스콜라 철학이 제시한 교의내용보다는 오히려 그 내용을 논증하기 위한 철학적 방법에 관심을 둠으로써 철학에 있어서 하나의 획기적 전환을 마련하였다.
다. 윌리엄 오캄(William Occam, 1300~1350)
-개물만이 유일한 실재이며, 보편이란 개물에 앞서지도 않고 개물속에 내재하지도 않은 개념에 불과 하다는 것을 주장-유명론적 입장
①모든 지식은 오직 개별자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유래한다.
②직각적 지식론: 개물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다는 것,경험에 의존하는 지식
③지식과 신앙을 분리해서 생각함(상하관계가 아닌 완전 독립된 분야로)
“당신이 나를 칼로써 방어해준다면 나는 당신을 붓대로써 방어해 주겠다”
4. 독일의 신비주의
대표자: 마이스터 엑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7)
-스콜라학파의 사고형식이나 표현방식을 그대로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그가 표명했던 실 제 내용은 순수하고도 본원적이며 또한 독창적인 지식의 필요성이었음(내적인 원천이나 지식 중시)
:합리주의적 신학과 철학으로부터 신앙을 불리함
-신관은 신 플라톤 주의 사상과 동일~~신이란 오직 선 그 자체이며 일자, 절대자 또는 완벽한 피안인 까닭에 우리는 신에 대한 어떠한 구정도 내릴 수 없다.
가. 신성: 무의 심연처럼 그 어떤 존재의 술어도 첨가되지 않아야만 비로소 성립 될 수 있다. (성부:주체 성자:성부가 스스로를 드러내는 객체 또는 로고스 성령:성부 와 성자를 결합시키는 사랑의 연줄)
나. 신비론: 신과 인간 영혼의 통일에 관한 것, 인간의 영혼은 곧 신의 모상
다. 신과의 합일을 중요시: 개인은 특수성으로부터 탈피하여 신의 보편성 속으로 스스로 를 합류시킴으로써 신과의 합일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라. 인간의 구원이란 인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봄
추천자료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코메니우스와 로크, 유아교육사상가(교육철학) 루소와 바제도, 유...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그리스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프로타고라스, 그리스 교육사상가(...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노자와 공자, 중국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 묵자와 맹자, 중국 ...
교육의 목적, 교육철학의 기초, 교육철학의 기능, 교육철학의 가치, 교육철학의 성격, 교육철...
그리스 아테네 교육사상(교육철학), 그리스 아테네 교육사상(교육철학) 소피스트, 그리스 아...
[코메니우스교육사상][교육철학]코메니우스의 약력, 코메니우스 교육철학(교육사상)의 실제, ...
노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공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묵자의 교육철학(교육사상), 맹자의...
[체육철학][체육철학의 변천][체육철학의 사상][체육철학의 내용][체육철학의 연구 방법][체...
[포스트모던 철학][포스트모더니즘 철학][진리관][교육적 시사점]포스트모던 철학(포스트모더...
[비트겐슈타인][사적언어][감각][분석철학][전기철학][후기철학]비트겐슈타인과 사적언어, 비...
[탈레스, 탈레스 생애, 탈레스 철학, 기하학적 증명, 이오니아학파, 서양철학]탈레스의 생애,...
[철학, 한국철학, 북한철학, 중국철학, 인도철학, 독일철학, 그리스철학(희랍철학), 한국, 북...
방통대 중간과제 철학의 이해 B형 서양철학사(렘프레히트)- 제 13장 칸트와 그 후계자들에 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