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의 코기토와 현대성[강영안 서강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현대성과 주체의 문제

본문내용

결국 아무 부족도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내 속에 있는 완전성의 관념은 내가 모두 내 자신에게 부여했을 것이요, 그리하여 나 자신이 곧 신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자신이 갖고 있는 무한성의 관념에 비추어 볼 때 자신은 스스로 자기 자신을 만든 존재가 아니라 지극히 유한한 존재임을 데카르트는 고백하고 있다. 내가 의심하고 사유한다는 사실 자체가 벌써 내가 유한한 존재요, 결핍과 욕망의 존재임을 보여준다. 사유의 주체로서 나는 감각적 지각이나 상상력에 의존하지 않고 순수하게 내 자신의 정신의 능력으로사유할 수 있는 존재(\'실체\')이지만 나의 구체적인 존재에 있어서 나는 타자에게 의존해 있다는 것이다. 나의 사유와 내 자신에 대한 의식(자기의식)도 내가 내 자신에게 부재하기 때문에 오는 의식이다. 만일 내가 내 자신의 현존과 부재의 엇갈림을 경험하지 않고 마치 신처럼 항상 자신에게 현존해 있는 존재라면 반성적 자기의식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나에게 타자로 향한 \'형이상학적 욕망\' 을 심어주고 나의 현존을 가능케 한 그 타자는 누구인가?
* 생애의 시간 전체는 무수한 부분으로 나뉠 수 있고, 그 각 부분은 다른 부분에 전혀 의존하지 않으므로 내가 조금 전에 있었다고 하는 것으로 부터 지금 내가 있다는 것은 귀결되지 않는다. 이러기 위해서는[과거에 있었던 내가 지금 또 다시 계속 있기 위해서] 어떤 원인이 지금 이 순간에 나를 다시 한번 창조하는 일, 다시 말하면 나를 보존하는 일이 있어야 한다.
시간은 데카르트에 의하면 과거, 현재, 미래의 객관적인 연속이 아니라 무수한 순간의 비연속성이다. 만일 시간의 비연속성을 부인하면 계속적인 창조(창조와 보존)가 지닌 자유는 이미 존재하는 사물에 고착된 필연성에 의해 대치되고 현재는 오직 과거에 의해서 지속될 수 밖에 없다. 시간이 순간으로 무한히 쪼개질 수 있다는 것은 곧 순간으로서의 현재는 자유를 함축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데카르트의 생각을 그대로 따른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만일, 코기토의 명증성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현재 내가 현존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고, \"하나의 사유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닌\" 내 속에서 나를 보존할 수 있는 힘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내가 그렇게 존재하는 까닭은 바로 이 순간에, 그리고 다음 순간에 내가 아닌 타자에 의해 부단히 또다시 창조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부단한 창조(creatio continua) 를 통해 매 순간마다 나를 지탱하고 보존하는 타자는 다름 아닌, 내가 아직 \"존재하지 않을 때 새로 창조한 것과 똑 같은 힘과 작용\" 을 가진 무한한 신이다.
우리는 여기서 데카르트 이후의 주체성의 철학이 문제삼은 초월적, 절대적, 무시공적 자아와 경험적, 상대적, 시간적 자아 사이의 분열을감지한다. 코기토의 자아와 숨의 자아 사이에 분명한 분열이 존재하고 인식의 질서에 따를 때 코기토의 자아는 숨의 자아를 완전히 뒷바침하지만 존재의 질서를 따를 때 그것은 타자에 의해 뒷받침된다. 데카르트 자신은 인식(사유)의 질서와 존재 질서의 이분적 접근에 의해 두 자아 사이에 발생한 분열의 간극을 문제삼지 않는다. 그러나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은 자아의 분열을 철학적으로 화해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들에게 있어서는 인식 질서와 존재 질서의 이분법이 통용될 수 없었고 오히려 존재 질서가 인식 질서에 의해 창조되고 규정된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칸트의 \'초월적 통각\'(자기의식), 피히테의 실천적 절대자아, 셸링 초기철학에 나타난 절대자아는 단지 인식 질서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식과 존재 질서의 절대 근거로서 제시된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하이데거가 이해하는 바의 \'주체\', 즉 존재의 기반으로 존재자 전체를 자기에게 모우고 근거짓는 \'주체\'는 비로소 칸트를 비롯한 독일 관념론 철학자들에게서 정립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데카르트의 코기토 숨의 자아가 하이데거가 이해하는 \'주체\'와 거리가 있음은 자아와 세계의 관계에서도 나타난다. [성찰]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는 사유하는 한 존재하고, 사유하기 위해서 나는 존재해야 한다. 그런데, 사유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명증적으로 인식한 \'나\'는 모든 존재자를 근거짓는 최종적 근거가 아니라 오직 나의 존재 확실성 만을 확보하고 있다. 데카르트의 \'나\'는 나의 존재와 사유의 채바퀴를 벗어나지 못한채 \'나\'를 축으로 한 원 속에 갇혀있다. 나는 아직 내 바깥에 존재하는 세계와 나와 함께 세계 안에 거주하는 타자의 존재에 대해 아무런 확실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나는 나의 사유와 존재 확실성을 통해 직접 외부 세계와 타자의 존재에 대한 확실성으로 나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내가 다른 것에 대한 관념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그것은 다만 관념일 뿐 그 관념이 지칭하는 대상에 관한 확실한 인식은 아니다. 나의 관념이 지칭하는 외부 세계에 대해 내가 어떤 판단을 내리려고 할 때, 악한 신은 늘 나를 속일 수 있고, 그 속임을 저항할 힘을 내가 가지고 있지 않다.
자아와 세계 사이에 놓여있는 이 간격은 왜 생기는가? 그것은 데카르트의 \'사유\' 자체가 안고 있는 한계 때문이다. 데카르트가 말하는 사유는 사유되는 것(cogitatum)에 대한 사유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데카르트의 \'사유\'는 후설에서 보는 것처럼 그 바깥에 어떤 무엇을 가지지 않은 사유, 즉 존재 의미 자체를 구성하는 의식이 아니라 외부 세계와 맞서 있는, 표상(관념)과 표상되는 것의 테두리 속에 머물러 있는 의식이다. 그러면 어떻게 데카르트적 사유는 자기 안에서 밖으로 초월할 수 있는가? 만일 외부 세계와 타자에 대한 인식이 단지 나의 관념 혹은 표상만으로 확실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 어떻게 나는 의식의 섬을 벗어날 수 있는가?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의 확실성을 보장하기 위해 내 밖으로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야 하고, 이 초월을 위협하는 악신의 기만을 내 힘으로 물리칠 수 없다면 그것을 제압할 수 있는 다른 존재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된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데카르트는 인간과 세계를 매개하기 위해 신의 완전성과 신뢰성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었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