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예사조(Literary current)
2. 고전주의(Classicism)
3. 낭만주의(Romanticism)
4. 사실주의(Realism)
5. 자연주의(Naturalism)
6. 유미주의(탐미주의, Aestheticism)
7. 상징주의(Symbolism)
8. 표현주의(Expressionism)
9. 실존주의(Existentialism)
10. 사회주의 리얼리즘
2. 고전주의(Classicism)
3. 낭만주의(Romanticism)
4. 사실주의(Realism)
5. 자연주의(Naturalism)
6. 유미주의(탐미주의, Aestheticism)
7. 상징주의(Symbolism)
8. 표현주의(Expressionism)
9. 실존주의(Existentialism)
10. 사회주의 리얼리즘
본문내용
미에서 각 사람은 역사적 상황에 참여( engagement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소설 희곡에서 구체화되며, 거기에서 인 간의 실존적 결단을 강조하는 「한계상황」을 설정하고 있다.
프랑스에서 일어난 행동주의(Activisme)는 정치활동이나 혁명 운동, 모험적 생활 등의 과격한 행동을 기록적으로 작품에 기술 하는 것을 특색으로 하며, 1930년대부터 현대에 이르고 있다. 그 대표자는 말로와 생떽쥐뻬리(Antoine de Saint-Exupery)이 며, 그들이 이른바 「르뽀르따쥬」(reportage)의 형식을 소설에 도입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실존주의와 행동주의 모두 니힐리즘의 극복을 목표로 하는 현 대의 대표적 사조이며, 이에 속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현존하는 작가로서 지금도 그 운동은 진행되고 있다.
10. 사회주의 리얼리즘
1934년 8,9월 제1회 소비에트 작가대회에서, 전국작가 1500명 을 포함한 소비에트 작가동맹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원칙으로 하여 그들의 문예를 독자적인 새로운 발전의 단계에 도입시키려 는 결의를 했다. 이것은 변증법적 및 역사적 유물론을 골자로 하는 사회주의를 사상내용으로 하며, 사실주의를 표현형식으로 하는 문예사조이다. 고리끼를 시조로 추앙하며, 주요작가로는 알렉세이 똘스또이(A.N. Tolstoi), 파제예프(A.A. Fadeev), 솔 로호프(M.A. Sholohov), 시모노프(K.M. Simonov) 등이 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구 소비에트 연맹의 국가적 통제 하에서 추진되어 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색으로 지적된다. 원래 러시아 문예사조는 유럽의 사조에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국민성을 발휘 해 왔으나, 혁명 후 완전히 새로운 세계관에 처하게 되고, 심리 주의적 리얼리즘, 혁명적 로만티시즘 또는 프롤레타리아 문예와 비프롤레타리아 문예와의 대립 등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사회 주의 리얼리즘에 도달한 것이다. 구 소비에트 작가동맹의 대표 적 이론가 끼르뽀찐(V.Y. Kirpotin)에 의하면 “생활의 풍부함 이나 복잡함을, 그 긍정적 및 부정적 계기에 있어서 그 발전의 사회주의적 원리와 함게 묘사하는 것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다.” 봉건적 혹은 자본주의적 사회에서의 광의의 사실주의를 「비판적 리얼리즘」이라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단계로 보고, 다 른 주의를 용인하지 않는 점으로 보아, 일종의 절대주의적 입장 에 서있다고도 할 수 있다. (끝)
프랑스에서 일어난 행동주의(Activisme)는 정치활동이나 혁명 운동, 모험적 생활 등의 과격한 행동을 기록적으로 작품에 기술 하는 것을 특색으로 하며, 1930년대부터 현대에 이르고 있다. 그 대표자는 말로와 생떽쥐뻬리(Antoine de Saint-Exupery)이 며, 그들이 이른바 「르뽀르따쥬」(reportage)의 형식을 소설에 도입한 것은 특기할 만하다.
실존주의와 행동주의 모두 니힐리즘의 극복을 목표로 하는 현 대의 대표적 사조이며, 이에 속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현존하는 작가로서 지금도 그 운동은 진행되고 있다.
10. 사회주의 리얼리즘
1934년 8,9월 제1회 소비에트 작가대회에서, 전국작가 1500명 을 포함한 소비에트 작가동맹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원칙으로 하여 그들의 문예를 독자적인 새로운 발전의 단계에 도입시키려 는 결의를 했다. 이것은 변증법적 및 역사적 유물론을 골자로 하는 사회주의를 사상내용으로 하며, 사실주의를 표현형식으로 하는 문예사조이다. 고리끼를 시조로 추앙하며, 주요작가로는 알렉세이 똘스또이(A.N. Tolstoi), 파제예프(A.A. Fadeev), 솔 로호프(M.A. Sholohov), 시모노프(K.M. Simonov) 등이 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구 소비에트 연맹의 국가적 통제 하에서 추진되어 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색으로 지적된다. 원래 러시아 문예사조는 유럽의 사조에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국민성을 발휘 해 왔으나, 혁명 후 완전히 새로운 세계관에 처하게 되고, 심리 주의적 리얼리즘, 혁명적 로만티시즘 또는 프롤레타리아 문예와 비프롤레타리아 문예와의 대립 등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사회 주의 리얼리즘에 도달한 것이다. 구 소비에트 작가동맹의 대표 적 이론가 끼르뽀찐(V.Y. Kirpotin)에 의하면 “생활의 풍부함 이나 복잡함을, 그 긍정적 및 부정적 계기에 있어서 그 발전의 사회주의적 원리와 함게 묘사하는 것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다.” 봉건적 혹은 자본주의적 사회에서의 광의의 사실주의를 「비판적 리얼리즘」이라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전단계로 보고, 다 른 주의를 용인하지 않는 점으로 보아, 일종의 절대주의적 입장 에 서있다고도 할 수 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