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신비08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없 음 -

본문내용

갑작스런 하지 마비나 사지 마비가 수 초간 나타날 수 있다. 수면 발작(narcolepsy) 환자에서 급발작(cataplexy)이 생기면 근육 강도와 긴장이 갑자기 소실되는 경우가 있다. 망상체 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의 질환이 수면 발작환자가 잠이 들거나 깰 때 발생하는 수면 마비(sleep paralysis)나 이런 급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29장 참조).
REFERENCES
ARGOV Z: Phosphorus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31P MRS) in neuromuscular disorders. Ann Neurol 30:90, 1991
BARCHI RL, FURMAN RE: Pathophysiology of myotonia and periodic paralysis, in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vol. 1: Clinical Neurobiology, AK Asbury et al (eds). Philadelphia, Saunders, 1992
BERTOLASI L et al: The influence of muscular lengthening on cramps. Ann Neurol 33:176, 1993
BROOKE MH: A Clinician's View of Neuromuscular Diseases. Baltimore, Williams & Wilkins, 1986
EDWARDS RHT et al: Muscle biochemistry and pathophysiology in postviral fatigue syndrome. Br Med Bull 47:826, 1991
FLECKENSTEIN JL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muscle injury and atrophy in glycolytic myopathies. Muscle Nerve 12:849, 1989
GEORGE AL et al: Molecular basis of Thomsen disease (autosomal dominant myotonia-congenita). Nature Genet 3:305, 1993
LAYZER RB: Muscle pain, cramps and fatigue, in Myology, AG Engel, BQ Banker (eds). New York, McGraw-Hill, 1986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1.2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