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차 없음 -
본문내용
라 가면 나옵니다.(정확한 지명은 알지 못하나 아마 상계가 아닌가 생각되며, 하회처럼 큰 마을이 아니라 퇴계선생종택만 따로 있습니다)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온혜천이 종택 옆으로 흐르고 있는데, 현재의 종택은 퇴계선생 사후에 퇴계선생께서 사시던 곳에서 약 30미터될까요? 산쪽으로 위치를 옮겨 후손에 의해 건립된 것이라 합니다.
종택에는 높다란 솟을대문에 '퇴계선생구택'이란 글씨가 선명히 쓰여 있고, 퇴계선생의 높으신 학덕에 어울리게 집안 전체에서 기품과 권위가 느껴졌습니다.
제가 찾았을 때 마침 차종손(차종손어른은 연세가 60은 족히 넘으신 듯한데, 아흔이 넘으신 종손어른께서 생존해 계신다고 합니다.)께서 계셨는데, 어른께서 청하시기에 맞절로 인사를 여쭙고 사랑채에 앉아 잠시 말씀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종택에는 높다란 솟을대문에 '퇴계선생구택'이란 글씨가 선명히 쓰여 있고, 퇴계선생의 높으신 학덕에 어울리게 집안 전체에서 기품과 권위가 느껴졌습니다.
제가 찾았을 때 마침 차종손(차종손어른은 연세가 60은 족히 넘으신 듯한데, 아흔이 넘으신 종손어른께서 생존해 계신다고 합니다.)께서 계셨는데, 어른께서 청하시기에 맞절로 인사를 여쭙고 사랑채에 앉아 잠시 말씀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추천자료
조선시대 유교 교육사상과 실학 교육사상의 비교
바람직한 교사상
이육사의 대하여
영대 민속원을 다녀와서,,,
[과외]중학 도덕 1-2학기 중간 예상문제 14
[과외]중학 국어 1-1학기 기말 예상문제 08
조선시대 유교 교육사상과 실학 교육사상
조선시대 유교중심 교육과 실학 사상 교육에 대해
금보가(琴譜歌)
경북 지역의 불교, 유교 역사와 특징
양반골 안동 역사기행
초등교육의 전통교육과의 조화적 접목을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에 관한 논의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교육제도의 변천
[교육학과-교육사공통]우리나라country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