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 구
1.배구의 기원
2.우리 나라의 배구의 전래
3.배구의 특성
Ⅰ. 9인제
Ⅱ. 6인제
4.경기방식
1.배구의 기원
2.우리 나라의 배구의 전래
3.배구의 특성
Ⅰ. 9인제
Ⅱ. 6인제
4.경기방식
본문내용
트가 있을 시 공식 경기장에서 3분간, 없을 시 5분간 갖 는다.
- 합의로 6~10분간 연습가능
6) 경기 개시 - 토스에 의하면 서비스권 및 진영 결정, 주심의 신호에 의해 경기 시작
7) 볼과의 접촉
가) 최대 3회까지 볼접촉 가능, 연속 2회 접촉 불가능, 블로킹은 횟수에 불포함
나) 허리띠까지의 상반신 사용 가능, 볼의 정지 불가
다) 2인의 볼 터치는 투터치, 동일 동작시, 신체 두 부위가 닿아도 드리블링 적 용안됨
8) 선수의 위치
가) 서비스할 때 3명씩 2열로 위치, 공격을 성공하면 동일 선수가 서브
나) 수비 팀이 공격을 성공시키면, 서브권 얻고, 시계방향으로 포지션 로테이션
9) 네트에서의 볼 - 네트 상단의 안테나 가상 연장선 사이의 공간으로 볼이 보내 져야함
10) 상대방 코트 침범
가) 상대방 플레이에 방해안되면, 상대방 공간 볼을 네트너머로 건드릴 수 있음
나) 스파이크에 의해 손이 넘어가도 오버 넷이 아님, 네트 터치 금지
다) 볼이 넷 터치로 인해 상대팀 선수가 네트에 접촉시 넷 터치 아님
라) 몸이 네트 아래로 상대방 코트로 침범해도 방해되지 안으면 반칙 아님
11) 상대방 코트 접촉
가) 발을 제외한 부분은 상대방 코트 접촉 불가
나) 발의 어느 부분이 센터라인 위에 조금이라도 놓여지는 경우는 반칙 아님
다) 센터라인을 네트 밑을 통과해 사이드 라인을 밟지 않고 건너뛰는 경우는 반칙 아님
(나) 경기 규칙
1) 서비스
가) 제 1,5 세트의 첫 번째 서비스는 토스에 의해서 서비스권을 선택한 팀이 먼 저, 그 외는 번갈아 가며 서브
나) 서버는 주심이 호각을 분 후 5초 이내에 서비스 에어리어 안에서 서브를 해야 함
다) 서버가 서브를 넣는 순간 앤드라인을 밟거나 코트에 들어가는 경우는 반칙
라) 서비스는 순서대로 서브를 넣지 않았거나 서브를 넣는 팀의 개인 또는 그 룹이 스크린을 행하여 방해할 경우에는 서빙 폴트가 되어 서비스 교대.
마) 서브한 볼이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 및 안테나에 touch되면 서브실수
바) 상대방이 서브 리시브시 오버 헤드토스가 가능
2) 블로킹 : 네트에 가까이서 1-3명선수가 두 손을 편 채 점프하여 상대방이 스 파이크 한 볼을 작 코트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행위
-공격지역에 있는 선수(3명)만 참가가능, 오버블로킹 가능, 블로킹한 것은 터치 회수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3) 서버팀의 반칙
가) 서비스 권한을 얻었을 때 그 팀의 선수가 로테이션하지 않았거나 서비스 에어리어 앞에 있는 선수가 서비스를 하지 않았을 경우
나) 서비스된 볼을 받을 때 공격 지역과 수비지역의 선수가 위치가 바뀌었을 경우
다) 서비스 한 볼이 네트에 닿았을 경우, 서비스 에어리어를 벗어나거나 라인을 밟고 서비스를 했을 경우
라) 주심의 신호 후 5초가 경과했는데도 서비스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마) 서비스한 볼이 한번에 상대방 코트 안에 들어가지 못했을 경우
4) 공격 반칙
가) 상대방 팀의 플레이 영역 안에 있는 볼을 접촉해서는 안 된다.
나) 볼이 상대방 선수의 접촉없이 상대방 코트 구획선 밖의 물체에 닿거나 지 면에 떨어진 경우
다) 후위 선수가 프론트 존이나 어택라인 또는 그 가상의 연장선을 밟으면서 네트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의 볼을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경우
5) 블로킹 반칙
가) 외측에서 네트 너머로 볼을 접촉했을 때
나) 상대방의 플레이가 완료되기 전에 상대방 영역으로 침범하여 플레이를 방 해할 때
다) 후위 선수가 블로킹에 참여하여 몸에 접촉될 때
6) 그 밖의 일반 규칙
가) 공격시에는 네트 너머로 손이 넘어가면 반칙
나) 공격이나 수비할 때 신체부위가 네트에 닿으면 반칙
다) 코트의 라인에 떨어진 볼은 아웃이 아니다
라) 공격지역의 선수가 블로킹에 참가할 경우 네트 너머로 손이 넘어가도 반칙
마) 경기중 선수의 부상이 있을 경우 3분까지 타임요구 가능
바) 세트가 끝날 때마다 주심에게 경기 시작전에 통고하면 선수의 포지션 변경 가능
사) 각 세트가 끝날 때, 코트를 바꿀 때마다 양 팀 선수는 엔드라인에 가로 정 열하여 서로 오른쪽 사이드라인을 따라 회전
아) 수비지역의 선수는 수비지역 안에서 네트보다 높은 볼을 공격할 수 있고 직접 네트 너머로 넘길 수 있다.
자) 서비스한 볼의 리시브는 반드시 언더 핸드 토스나 패스로 받아야 한다.
차) 서비스한 볼을 리시브하는 팀은 직접 블로킹 가능하고 직접 스파이크 공격 가능
카) 경기중 부정한 행동으로 심판의 경고를 받고도 이를 시정하지 않고 항의할 때 반칙
- 합의로 6~10분간 연습가능
6) 경기 개시 - 토스에 의하면 서비스권 및 진영 결정, 주심의 신호에 의해 경기 시작
7) 볼과의 접촉
가) 최대 3회까지 볼접촉 가능, 연속 2회 접촉 불가능, 블로킹은 횟수에 불포함
나) 허리띠까지의 상반신 사용 가능, 볼의 정지 불가
다) 2인의 볼 터치는 투터치, 동일 동작시, 신체 두 부위가 닿아도 드리블링 적 용안됨
8) 선수의 위치
가) 서비스할 때 3명씩 2열로 위치, 공격을 성공하면 동일 선수가 서브
나) 수비 팀이 공격을 성공시키면, 서브권 얻고, 시계방향으로 포지션 로테이션
9) 네트에서의 볼 - 네트 상단의 안테나 가상 연장선 사이의 공간으로 볼이 보내 져야함
10) 상대방 코트 침범
가) 상대방 플레이에 방해안되면, 상대방 공간 볼을 네트너머로 건드릴 수 있음
나) 스파이크에 의해 손이 넘어가도 오버 넷이 아님, 네트 터치 금지
다) 볼이 넷 터치로 인해 상대팀 선수가 네트에 접촉시 넷 터치 아님
라) 몸이 네트 아래로 상대방 코트로 침범해도 방해되지 안으면 반칙 아님
11) 상대방 코트 접촉
가) 발을 제외한 부분은 상대방 코트 접촉 불가
나) 발의 어느 부분이 센터라인 위에 조금이라도 놓여지는 경우는 반칙 아님
다) 센터라인을 네트 밑을 통과해 사이드 라인을 밟지 않고 건너뛰는 경우는 반칙 아님
(나) 경기 규칙
1) 서비스
가) 제 1,5 세트의 첫 번째 서비스는 토스에 의해서 서비스권을 선택한 팀이 먼 저, 그 외는 번갈아 가며 서브
나) 서버는 주심이 호각을 분 후 5초 이내에 서비스 에어리어 안에서 서브를 해야 함
다) 서버가 서브를 넣는 순간 앤드라인을 밟거나 코트에 들어가는 경우는 반칙
라) 서비스는 순서대로 서브를 넣지 않았거나 서브를 넣는 팀의 개인 또는 그 룹이 스크린을 행하여 방해할 경우에는 서빙 폴트가 되어 서비스 교대.
마) 서브한 볼이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 및 안테나에 touch되면 서브실수
바) 상대방이 서브 리시브시 오버 헤드토스가 가능
2) 블로킹 : 네트에 가까이서 1-3명선수가 두 손을 편 채 점프하여 상대방이 스 파이크 한 볼을 작 코트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행위
-공격지역에 있는 선수(3명)만 참가가능, 오버블로킹 가능, 블로킹한 것은 터치 회수로 카운트하지 않는다.
3) 서버팀의 반칙
가) 서비스 권한을 얻었을 때 그 팀의 선수가 로테이션하지 않았거나 서비스 에어리어 앞에 있는 선수가 서비스를 하지 않았을 경우
나) 서비스된 볼을 받을 때 공격 지역과 수비지역의 선수가 위치가 바뀌었을 경우
다) 서비스 한 볼이 네트에 닿았을 경우, 서비스 에어리어를 벗어나거나 라인을 밟고 서비스를 했을 경우
라) 주심의 신호 후 5초가 경과했는데도 서비스를 하지 않았을 경우
마) 서비스한 볼이 한번에 상대방 코트 안에 들어가지 못했을 경우
4) 공격 반칙
가) 상대방 팀의 플레이 영역 안에 있는 볼을 접촉해서는 안 된다.
나) 볼이 상대방 선수의 접촉없이 상대방 코트 구획선 밖의 물체에 닿거나 지 면에 떨어진 경우
다) 후위 선수가 프론트 존이나 어택라인 또는 그 가상의 연장선을 밟으면서 네트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의 볼을 상대방 코트로 넘기는 경우
5) 블로킹 반칙
가) 외측에서 네트 너머로 볼을 접촉했을 때
나) 상대방의 플레이가 완료되기 전에 상대방 영역으로 침범하여 플레이를 방 해할 때
다) 후위 선수가 블로킹에 참여하여 몸에 접촉될 때
6) 그 밖의 일반 규칙
가) 공격시에는 네트 너머로 손이 넘어가면 반칙
나) 공격이나 수비할 때 신체부위가 네트에 닿으면 반칙
다) 코트의 라인에 떨어진 볼은 아웃이 아니다
라) 공격지역의 선수가 블로킹에 참가할 경우 네트 너머로 손이 넘어가도 반칙
마) 경기중 선수의 부상이 있을 경우 3분까지 타임요구 가능
바) 세트가 끝날 때마다 주심에게 경기 시작전에 통고하면 선수의 포지션 변경 가능
사) 각 세트가 끝날 때, 코트를 바꿀 때마다 양 팀 선수는 엔드라인에 가로 정 열하여 서로 오른쪽 사이드라인을 따라 회전
아) 수비지역의 선수는 수비지역 안에서 네트보다 높은 볼을 공격할 수 있고 직접 네트 너머로 넘길 수 있다.
자) 서비스한 볼의 리시브는 반드시 언더 핸드 토스나 패스로 받아야 한다.
차) 서비스한 볼을 리시브하는 팀은 직접 블로킹 가능하고 직접 스파이크 공격 가능
카) 경기중 부정한 행동으로 심판의 경고를 받고도 이를 시정하지 않고 항의할 때 반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