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으로 읽는 우리 문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제망매가
2.처용가
3.누항사
4.구운몽
5.배비장전

본문내용

비장들은 한 기생을 시켜 꼬시게 한다. 꼬임에 넘어간 배비장은 그 기생의 집에 가있다가 남편인척 한 방 자의 목소리를 듣고 숨는다. 밖의 모든 사람들은 짜고 배비장을 놀린다. 대강의 줄거 리는 이렇다.
나.작품해설-<배비장전>은 작자와 연대 미상의 국문소설로서 판소리 열두마당에 속했던 <배비장 타령>을 소설화한 판소리게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의 원천으로는 <<태평한화 골계전>>의 발치설화, <<동야휘집>>과<<명엽지해>>의 미궤설화 혹은 나체은신 설 화등 여러 야담집에 실린 문헌 설화들이 지적되고 있다. 발치설화는 사랑하는 기생을 이별할 때 이빨을 뽑아 주었던 소년의 이야기이고, 미궤설화는 기생을 멀리하였다가 오히려 어린 기생의 계교에 빠져 알몸으로 뒤주에 갇힌 채 여러 사람 앞에 망신을 당 한다는 이야기이다. 당대의 사회상과 관련시켜 보면 즉, 조선후기 수탈받던 민중들의 성장한 사호의식이 드러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이 작품은 풍자의 시각을 하층민의 시각으로 설정하여 판소리로 발전시킨, '중세적 이념 및 양반들의 특 권적 삶에 대한 풍자형식'이 된다.
<배비장전>은 근대문학으로의 전환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 고 일정한 한계 또한 지적되고 있다. 즉 사실성을 결여한 채 민중적 풍자의 시각만을 위한 인물 설정에 그침으로써, 현실적 모순의 본질적 국면을 부각시킬 수 있는 인간 의 삶의 양상을 문제삼지 못하고 세태 풍자의 차원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점은 이본다운 이본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판소리 6마당에서도 실전되었다는 사 실에서도 확인된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1.2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7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