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본론
1. 금연신드롬의 배경
1)이주일, 하일성 효과
2) 담배 가격 인상
3) 새해 효과
4) 매스컴의 금연신드롬 조성과 정부의 의지
2. 흡연자들의 일반적인 금연 계기
1) 타인의 권유에 의한 경우
2) 가족이나 자녀를 위해
3) 금연신드롬을 계기로 이용
4) 강제와 규제에 의한 경우
5) 특별한 계기가 있는 경우
3. 흡연자들의 사회적 특성에 따른 양상
1) 연령에 따른 구분
(1) 청소년
(2) 성인
2) 직업에 따른 구분
(1) 회사원
(2) 노동직, 자영업
(3) 대학생
3) 기혼, 미혼에 따른 구분
Ⅲ. 요약 및 결론
Ⅳ. 참고 문헌
**한글97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본론
1. 금연신드롬의 배경
1)이주일, 하일성 효과
2) 담배 가격 인상
3) 새해 효과
4) 매스컴의 금연신드롬 조성과 정부의 의지
2. 흡연자들의 일반적인 금연 계기
1) 타인의 권유에 의한 경우
2) 가족이나 자녀를 위해
3) 금연신드롬을 계기로 이용
4) 강제와 규제에 의한 경우
5) 특별한 계기가 있는 경우
3. 흡연자들의 사회적 특성에 따른 양상
1) 연령에 따른 구분
(1) 청소년
(2) 성인
2) 직업에 따른 구분
(1) 회사원
(2) 노동직, 자영업
(3) 대학생
3) 기혼, 미혼에 따른 구분
Ⅲ. 요약 및 결론
Ⅳ. 참고 문헌
**한글97
본문내용
한 일이 아닐 수 없다고 생각해요. 왜 모두들 흡연이 건강을 해친다고만 생각하는지....그럼 스트레스 받을 때 어떻게 하라고 그러는지...스트레스가 건강을 해치는 영향을 별 게 아닌가요? 물론 운동도 좋지만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그 자리서 줄넘기, 테니스 , 조깅을 할까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정말 웃긴 일 아닙니까? 적당한 흡연은 인체에 좋다고 저는 말하고 싶습니다
사례 3-25 20대 대학생
저의 흡연으로 누가 피해를 보는 것도 아닌데 왜 제가 좋지 않은 시선을 받아야 하는 건가요. 물론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이나 흡연이 적당하지 않은 장소만 가려서 흡연한다면 저는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 흡연구역을 없애면서 까지 흡연자들을 몰아 낼 생각들을 하는 것인지 이해가 안돼요
사례 3-26 20대 회사원
사실 금연신드롬으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그것 자체는 좋은 것 같아요. 국민들 건강하게 살자는 것이잖아요. 저는 아직 흡연하고 있습니다만 흡연자체가 몸에 안 좋은 것은 사실이잖아요
3) 기혼, 미혼에 따른 구분
기혼인 흡연자의 경우에는 가족에 의한 금연권유가 많았고 흡연자들 또한 가족들의 금연권유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기혼자의 경우에는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로 인식되는 것이다.
사례 3-27 50대 자영업
가족들이 제가 담배 피는 것을 싫어해요. 집사람도 그렇지만 고등학교 다니는 딸애가 무척 싫어하는 편이죠. TV에서 담배가 몸에 안 좋다는 뉴스가 나오면 꼭 저를 TV앞에다가 앉혀놓고 보라고 한다니까요.
사례 3-28 40대 회사원
제가 담배 피는 것을 제일 싫어했던 것이 가족이고, 금연을 제일 바라고 권유했던 것도 가족이에요.
위 사례들에서도 보듯이 하나의 가정을 꾸린 흡연자들의 경우에는 본인의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화되는 경우가 많다.
사례 3-29 20대 회사원
연애 할 때만해도 담배 피는 것 가지고 그렇게 모라고 하지는 않았거든요. 근데 결혼하니까 사람이 180도 바뀌더군요. 얼마나 못살게 구는지 제가 두 손 두발 다 들었어요.
사례 3-30 30대 자영업
집사람이 담배 좀 끊었으면 하는 것 같아요. 대놓고 강요하지는 않는데 은근히 담배가 몸에 안 좋다는 말을 많이 하고 가끔씩 끊을 생각 없냐고 물어보기도 하고요.
위의 사례들은 배우자가 흡연을 싫어해서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권유하는 경우이다. 또한 기혼자들의 경우 자녀 때문에 금연을 시도하거나 금연을 권유받기도 한다.
사례 3-31 30대 노동직
예전에는 집안에서도 담배를 태웠어요. 부모님하고도 따로 사니까 뭐라고 할 사람이 없잖아요. 집사람도 싫어하긴 했지만 뭐라고 하지는 않았어요. 근데 간접흡연이 몸에 나쁘다는 뉴스 나오기 시작하면서 베란다로 밀려났죠. 애들한테 안 좋다는 생각하니까 집안에서는 못 피우겠더라고요.
사례 3-32 30대 회사원
둘째를 계획 중인데 집사람이 담배끊는 게 어떻겠냐고 하더라고요. 남자가 담배 피는 상태에서 아이를 낳으면 태아건강에 안좋다네요. 첫째도 괜찮았는데 뭐 어떻기야 하겠냐는 생각도 들지만 끊게 되더군요.
결론적으로 가정을 가지고 있는 기혼의 흡연자들의 경우에는 흡연이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로 인식된다. 미혼 흡연자의 경우 흡연이 보다 개인적인 문제로 국한되는 경향이 있으나 기혼자의 경우에는 한 가정의 가장이라는 자리에 있기 때문에 흡연으로 인한 건강의 문제와 가족들의 간접흡연의 노출 등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Ⅲ. 요약 및 결론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금연신드롬의 배경에 대해서 짚어보았고 흡연자들의 일반적인 금연 계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흡연자들의 어떤 특성에 따라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모습이 다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금연신드롬의 배경으로는 첫째, '이주일, 하일성 효과'와 둘째 담배 가격인상, 셋째 새해효과, 넷째 정부의 의지와 매스컴의 조성 등이 서로 작용을 하며 전국적인 금연 신드롬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흡연자들의 일반적인 금연 계기로는 타인의 권유에 의한 경우, 가족이나 자녀를 위해서, 금연신드롬을 금연의 계기로 이용하는 경우, 강제나 규제에 의한 경우, 특별한 계기에 의한 경우 등이 있었다.
청소년들은 학교라는 틀 안에서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며 금연신드롬으로 인한 흡연자들에 대한 규제가 자신들의 피부에 와 닫는 직접적인 규제가 된다는 점에서 금연신드롬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청소년들이 가지는 특성상 짧은 흡연기간과 적은 흡연량으로 인해서 흡연이 건강에 나쁜 것을 직접적으로 느끼는 경우가 적다고 볼 수 있는데 이로 인해서 흡연이 건강에 나쁘다는 인식을 하지 못했으며 금연시도 또한 거의 없었다. 성인 흡연자의 경우에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흡연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금연신드롬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건강상의 이상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이에 따라 건강에 더 신경 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회사원들의 경우에는 흡연에 대한 개인의 생각도 중요하나 그것보다 회사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방침 그리고 근무지 내 분위기 등이 흡연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회사의 규제의 유무가 회사원들에게는 중요한 하나의 요인이며 회사의 규제가 없는 경우에는 개인의 생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경우에는 자유롭고 개인적인 사고방식으로 인해서 흡연을 개인적인 문제로 생각하는 경향성이 강했다. 기혼자들의 경우에는 흡연으로 인한 문제점이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혼 흡연자들 보다 많은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참고문헌
http://www.kash.or.kr/ 한국금연운동 협의회
http://www.ilovesmoking.co.kr/ 애연가 싸이트
http://www.smokingmania.com/ 애연가 싸이트
http://cafe.daum.net/parkjaemin/ 금연자와 금연전도사의 모임
사례 3-25 20대 대학생
저의 흡연으로 누가 피해를 보는 것도 아닌데 왜 제가 좋지 않은 시선을 받아야 하는 건가요. 물론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이나 흡연이 적당하지 않은 장소만 가려서 흡연한다면 저는 전혀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왜 흡연구역을 없애면서 까지 흡연자들을 몰아 낼 생각들을 하는 것인지 이해가 안돼요
사례 3-26 20대 회사원
사실 금연신드롬으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그것 자체는 좋은 것 같아요. 국민들 건강하게 살자는 것이잖아요. 저는 아직 흡연하고 있습니다만 흡연자체가 몸에 안 좋은 것은 사실이잖아요
3) 기혼, 미혼에 따른 구분
기혼인 흡연자의 경우에는 가족에 의한 금연권유가 많았고 흡연자들 또한 가족들의 금연권유에 대해서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기혼자의 경우에는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로 인식되는 것이다.
사례 3-27 50대 자영업
가족들이 제가 담배 피는 것을 싫어해요. 집사람도 그렇지만 고등학교 다니는 딸애가 무척 싫어하는 편이죠. TV에서 담배가 몸에 안 좋다는 뉴스가 나오면 꼭 저를 TV앞에다가 앉혀놓고 보라고 한다니까요.
사례 3-28 40대 회사원
제가 담배 피는 것을 제일 싫어했던 것이 가족이고, 금연을 제일 바라고 권유했던 것도 가족이에요.
위 사례들에서도 보듯이 하나의 가정을 꾸린 흡연자들의 경우에는 본인의 흡연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가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화되는 경우가 많다.
사례 3-29 20대 회사원
연애 할 때만해도 담배 피는 것 가지고 그렇게 모라고 하지는 않았거든요. 근데 결혼하니까 사람이 180도 바뀌더군요. 얼마나 못살게 구는지 제가 두 손 두발 다 들었어요.
사례 3-30 30대 자영업
집사람이 담배 좀 끊었으면 하는 것 같아요. 대놓고 강요하지는 않는데 은근히 담배가 몸에 안 좋다는 말을 많이 하고 가끔씩 끊을 생각 없냐고 물어보기도 하고요.
위의 사례들은 배우자가 흡연을 싫어해서 흡연자들에게 금연을 권유하는 경우이다. 또한 기혼자들의 경우 자녀 때문에 금연을 시도하거나 금연을 권유받기도 한다.
사례 3-31 30대 노동직
예전에는 집안에서도 담배를 태웠어요. 부모님하고도 따로 사니까 뭐라고 할 사람이 없잖아요. 집사람도 싫어하긴 했지만 뭐라고 하지는 않았어요. 근데 간접흡연이 몸에 나쁘다는 뉴스 나오기 시작하면서 베란다로 밀려났죠. 애들한테 안 좋다는 생각하니까 집안에서는 못 피우겠더라고요.
사례 3-32 30대 회사원
둘째를 계획 중인데 집사람이 담배끊는 게 어떻겠냐고 하더라고요. 남자가 담배 피는 상태에서 아이를 낳으면 태아건강에 안좋다네요. 첫째도 괜찮았는데 뭐 어떻기야 하겠냐는 생각도 들지만 끊게 되더군요.
결론적으로 가정을 가지고 있는 기혼의 흡연자들의 경우에는 흡연이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의 문제로 인식된다. 미혼 흡연자의 경우 흡연이 보다 개인적인 문제로 국한되는 경향이 있으나 기혼자의 경우에는 한 가정의 가장이라는 자리에 있기 때문에 흡연으로 인한 건강의 문제와 가족들의 간접흡연의 노출 등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Ⅲ. 요약 및 결론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금연신드롬의 배경에 대해서 짚어보았고 흡연자들의 일반적인 금연 계기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흡연자들의 어떤 특성에 따라서 그것을 받아들이는 모습이 다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금연신드롬의 배경으로는 첫째, '이주일, 하일성 효과'와 둘째 담배 가격인상, 셋째 새해효과, 넷째 정부의 의지와 매스컴의 조성 등이 서로 작용을 하며 전국적인 금연 신드롬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다.
흡연자들의 일반적인 금연 계기로는 타인의 권유에 의한 경우, 가족이나 자녀를 위해서, 금연신드롬을 금연의 계기로 이용하는 경우, 강제나 규제에 의한 경우, 특별한 계기에 의한 경우 등이 있었다.
청소년들은 학교라는 틀 안에서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며 금연신드롬으로 인한 흡연자들에 대한 규제가 자신들의 피부에 와 닫는 직접적인 규제가 된다는 점에서 금연신드롬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청소년들이 가지는 특성상 짧은 흡연기간과 적은 흡연량으로 인해서 흡연이 건강에 나쁜 것을 직접적으로 느끼는 경우가 적다고 볼 수 있는데 이로 인해서 흡연이 건강에 나쁘다는 인식을 하지 못했으며 금연시도 또한 거의 없었다. 성인 흡연자의 경우에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흡연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금연신드롬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층이 높아질수록 건강상의 이상이 하나둘씩 나타나고 이에 따라 건강에 더 신경 쓰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회사원들의 경우에는 흡연에 대한 개인의 생각도 중요하나 그것보다 회사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방침 그리고 근무지 내 분위기 등이 흡연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즉 회사의 규제의 유무가 회사원들에게는 중요한 하나의 요인이며 회사의 규제가 없는 경우에는 개인의 생각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경우에는 자유롭고 개인적인 사고방식으로 인해서 흡연을 개인적인 문제로 생각하는 경향성이 강했다. 기혼자들의 경우에는 흡연으로 인한 문제점이 개인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미혼 흡연자들 보다 많은 제약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참고문헌
http://www.kash.or.kr/ 한국금연운동 협의회
http://www.ilovesmoking.co.kr/ 애연가 싸이트
http://www.smokingmania.com/ 애연가 싸이트
http://cafe.daum.net/parkjaemin/ 금연자와 금연전도사의 모임
추천자료
청소년 금연 프로그램(금연 사회, 금연 가족, 금연하는 나) (A+레포트)
금연의 행동요법과 최신 약물요법
[여성흡연][여성흡연과 임신][여성흡연의 허와 실][여성흡연의 사례]여성흡연의 동향, 여성흡...
[흡연예방운동]흡연예방운동의 배경, 흡연예방운동의 방침, 흡연예방운동의 추진계획, 흡연예...
[흡연예방교육]흡연예방교육의 개념, 흡연예방교육의 중요성, 흡연예방교육의 방법, 흡연예방...
흡연예방교육의 목적, 흡연예방교육의 필요성, 흡연예방교육의 내용, 흡연예방교육과 사이버...
흡연예방교육의 개념, 흡연예방교육의 배경, 흡연예방교육의 필요성, 흡연예방교육의 지도과...
[금연][금연 장점][금연 보조제][금연과 체중][금연과 식품][금연 방법][금연 전략][금연 정...
[2012생활과건강]파거스트롬 설문지를 이용하여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 프로체스카와 디클레...
[생활과건강4공통] 파거스트롬 설문지 이용 니코틴의존도평가/프로체스카와 디클레멘테 금연...
금연, 그것이 알고싶다.
정책분석 - 금연정책 분석
금연 보건교육 프로그램 ppt ( 보건프로그램 )
방송통신대학교 보건교육 중간과제-금연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