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기존연구 개관
Ⅲ. 통화정책 뉴스일의 주가변동 행태
1. 콜금리 운용목표 발표
2. 한국은행의 금리관련 발언
Ⅳ. 계량분석
1. 모형설정
2. 추정방법
3. 자료 및 분석 대상기간
4.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Ⅱ. 기존연구 개관
Ⅲ. 통화정책 뉴스일의 주가변동 행태
1. 콜금리 운용목표 발표
2. 한국은행의 금리관련 발언
Ⅳ. 계량분석
1. 모형설정
2. 추정방법
3. 자료 및 분석 대상기간
4.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1999. 5. 7
1999. 6. 3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6. 4
1999. 7. 7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7. 8
1999. 8. 5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8. 6
1999. 9. 2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9. 3
1999.10. 7
콜금리는 현 수준을 유지
1999.10. 8
1999.11. 4
콜금리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용
1999.11. 5
1999.12. 2
콜금리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용
1999.12. 3
2000. 1. 6
콜금리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용
2000. 1. 7
2000. 2.10
콜금리를 현재의 4.75% 내외에서 5.00% 내외로 운영
2000. 2.10
2000. 3. 9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
2000. 3. 9
2000. 4.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4. 6
2000. 5. 4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5. 4
2000. 6.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6. 8
2000. 7.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7. 6
2000. 8. 3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8. 3
2000. 9.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9. 7
2000.10. 5
콜금리를 현재의 5.00% 내외에서 5.25% 내외로 운영
2000.10. 5
2000.11. 9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11. 9
2000.12.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12. 7
2001. 1.11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1.11
2001. 2. 8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5.25%에서 5.0%로 하향 조정
2001. 2. 8
2001. 3.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3. 8
2001. 4.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4. 6
2001. 5.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5. 8
2001. 6.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6. 7
2001. 7. 5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5.0%에서 4.75%로 하향 조정
2001. 7. 5
2001. 8. 9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4.75%에서 4.5%로 하향 조정
2001. 8. 9
2001. 9.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9. 6
2001. 9.19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4.5%에서 4.0%로 하향 조정
2001. 9.19
2001.10.11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10.11
2001.11.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11. 8
2001.12.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12. 6
2002. 1.10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1.10
2002. 2.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2. 7
2002. 3.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3. 7
2002. 4. 4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4. 4
2002. 5. 7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4.0%에서 4.25%로 상향조정
2002. 5. 7
2002. 6. 5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6. 5
<부록 2>
한은의 금리관련 발언일지
일자
발언자
발언내용
금리
방향
99. 7.14
보도자료
구조조정 뒷받침 없는 저금리 정책은 실효성 없음
유지
99. 9.29
보도자료
물가불안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금융시장
안정이 시급
유지
99.10.27
총재
금융시장의 안정을 유지하고 경제가 건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당분간 금리를 안정적으로 운용
유지
99.11.23
관계자
경기의 과열여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할 시점
인상
00. 2. 8
총재
물가안정기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인상
00. 4.26
총재
장단기 금리격차 축소를 위한 적절한 대응 필요
인상
00. 5. 3
관계자
아직 인플레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금융시장 안정이 시급
유지
00. 5.22
관계자
최근의 원화절하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및 국내인플레이션 압력증가를 주목하고 있음
인상
00. 6.12
총재
하반기 물가상황을 낙관할 수 없으며 인플레이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통화정책의 중점을 둘 것
인상
00. 8.22
관계자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물가 오름 폭이 상승
인상
01. 1.29
총재
경기와 금융시장 상황 등을 감안해 콜금리를 신축적으로 운용
인하
01. 2.16
총재
국고채 매수 과열기미에 주의할 필요
유지
01. 6.22
총재
지금까지의 성장률이 낮은 것은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올 4/4분기의 전망치(5.1%)가 정책결정의 잣대가 될 것
유지
01. 7. 2
관계자
5월 산업생산증가율이 예상 이상으로 저조
인하
01. 7.16
총재
향후 통화정책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 신축적으로 운용할 것
인하
01. 7.28
총재
최근 전세 및 주택 매매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기대심리 유발가능성에 유의해야 함
유지
01. 8.13
관계자
하반기 경제전망이 하향 조정돼야 할 상황
인하
01. 9.28
관계자
최근 금리인하가 구조조정에 차질을 주지 않음
인하
01.10.12
채권시장
팀장
저금리정책기조에는 변함이 없음(채권시장 안정화대책 발표)
인하
01.11. 9
총재
투자가 저조하고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금리조절 여지 있음
인하
01.12.18
관계자
최근 채권시장이 각종 경제지표에 민감히 반응, 장기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이는 다소 지나친 반응임
유지
02. 2.03
관계자
경기가 더 나빠지지 않고 횡보하거나 완만한 회복세를 타고 있다고 판단,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유지
02. 4.03
총재
정책기조를 경기부양에서 안정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꾸겠음
인상
02. 4.16
총재
한국은행이 금리인상 신호를 보냈다면, 3개월 내에 실제로 금리를 인상하는 게 바람직함
인상
02. 5.22
총재
경기회복을 확인, 체감할 수 있을 때까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임
유지
* 출처 : 매일별 「연합뉴스」 및 「e-daily」
1999. 6. 3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6. 4
1999. 7. 7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7. 8
1999. 8. 5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8. 6
1999. 9. 2
콜금리는 현 수준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운용
1999. 9. 3
1999.10. 7
콜금리는 현 수준을 유지
1999.10. 8
1999.11. 4
콜금리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용
1999.11. 5
1999.12. 2
콜금리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용
1999.12. 3
2000. 1. 6
콜금리는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운용
2000. 1. 7
2000. 2.10
콜금리를 현재의 4.75% 내외에서 5.00% 내외로 운영
2000. 2.10
2000. 3. 9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
2000. 3. 9
2000. 4.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4. 6
2000. 5. 4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5. 4
2000. 6.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6. 8
2000. 7.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7. 6
2000. 8. 3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8. 3
2000. 9.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 9. 7
2000.10. 5
콜금리를 현재의 5.00% 내외에서 5.25% 내외로 운영
2000.10. 5
2000.11. 9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11. 9
2000.12.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0.12. 7
2001. 1.11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1.11
2001. 2. 8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5.25%에서 5.0%로 하향 조정
2001. 2. 8
2001. 3.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3. 8
2001. 4.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4. 6
2001. 5.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5. 8
2001. 6.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6. 7
2001. 7. 5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5.0%에서 4.75%로 하향 조정
2001. 7. 5
2001. 8. 9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4.75%에서 4.5%로 하향 조정
2001. 8. 9
2001. 9.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 9. 6
2001. 9.19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4.5%에서 4.0%로 하향 조정
2001. 9.19
2001.10.11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10.11
2001.11. 8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11. 8
2001.12. 6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1.12. 6
2002. 1.10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1.10
2002. 2.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2. 7
2002. 3. 7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3. 7
2002. 4. 4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4. 4
2002. 5. 7
콜금리 목표를 현재의 4.0%에서 4.25%로 상향조정
2002. 5. 7
2002. 6. 5
콜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
2002. 6. 5
<부록 2>
한은의 금리관련 발언일지
일자
발언자
발언내용
금리
방향
99. 7.14
보도자료
구조조정 뒷받침 없는 저금리 정책은 실효성 없음
유지
99. 9.29
보도자료
물가불안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로서는 금융시장
안정이 시급
유지
99.10.27
총재
금융시장의 안정을 유지하고 경제가 건실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도록 당분간 금리를 안정적으로 운용
유지
99.11.23
관계자
경기의 과열여부를 꼼꼼히 따져봐야 할 시점
인상
00. 2. 8
총재
물가안정기조를 정착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인상
00. 4.26
총재
장단기 금리격차 축소를 위한 적절한 대응 필요
인상
00. 5. 3
관계자
아직 인플레 징후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금융시장 안정이 시급
유지
00. 5.22
관계자
최근의 원화절하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및 국내인플레이션 압력증가를 주목하고 있음
인상
00. 6.12
총재
하반기 물가상황을 낙관할 수 없으며 인플레이션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통화정책의 중점을 둘 것
인상
00. 8.22
관계자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물가 오름 폭이 상승
인상
01. 1.29
총재
경기와 금융시장 상황 등을 감안해 콜금리를 신축적으로 운용
인하
01. 2.16
총재
국고채 매수 과열기미에 주의할 필요
유지
01. 6.22
총재
지금까지의 성장률이 낮은 것은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올 4/4분기의 전망치(5.1%)가 정책결정의 잣대가 될 것
유지
01. 7. 2
관계자
5월 산업생산증가율이 예상 이상으로 저조
인하
01. 7.16
총재
향후 통화정책은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해 신축적으로 운용할 것
인하
01. 7.28
총재
최근 전세 및 주택 매매가격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기대심리 유발가능성에 유의해야 함
유지
01. 8.13
관계자
하반기 경제전망이 하향 조정돼야 할 상황
인하
01. 9.28
관계자
최근 금리인하가 구조조정에 차질을 주지 않음
인하
01.10.12
채권시장
팀장
저금리정책기조에는 변함이 없음(채권시장 안정화대책 발표)
인하
01.11. 9
총재
투자가 저조하고 물가상승률이 낮으면 금리조절 여지 있음
인하
01.12.18
관계자
최근 채권시장이 각종 경제지표에 민감히 반응, 장기금리가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으나 이는 다소 지나친 반응임
유지
02. 2.03
관계자
경기가 더 나빠지지 않고 횡보하거나 완만한 회복세를 타고 있다고 판단,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음
유지
02. 4.03
총재
정책기조를 경기부양에서 안정을 중시하는 쪽으로 바꾸겠음
인상
02. 4.16
총재
한국은행이 금리인상 신호를 보냈다면, 3개월 내에 실제로 금리를 인상하는 게 바람직함
인상
02. 5.22
총재
경기회복을 확인, 체감할 수 있을 때까지 현 수준을 유지할 것임
유지
* 출처 : 매일별 「연합뉴스」 및 「e-daily」
키워드
추천자료
정책변동의 논리와 남북경협변동 : 남북문제 대북정책
중국 개혁 개방정책과 사회변동
(한국경제론) 거시경제정책과 경기변동
정부의 언론정책과 언론 구조의 변동
금융정책수단을 제시하고, 나아가 콜금리의 의의와 그의 변동이 시중의 자금시장에 미치는 영...
[IMF 경제위기][IMF 외환위기][IMF 금융위기][국제통화기금][한국경제][경제위기]IMF 경제위...
[IMF 구제금융사태][IMF 경제위기][IMF 외환위기][IMF 금융위기][구조조정][국제통화기금]IMF...
[종교][종교 일반론][종교 본질][종교 특성][종교 문제점][한국 종교정책][종교변동][종교수...
국제무역개론 환율과 환율변동 국제수지 및 조정정책 재정정책과 금융정책
규제정책과 규제완화정책의 개념 및 규제정책의 정책변동
신두리 사구 정책하위체제 구성과 옹호연합의 정책변동활동- 환경보전연합과 개발연합의 신념...
동아시아 국제정치사,동아시아 국제정치 변동,소련의 개혁정책과 소련의 붕괴,냉전의 의미,동...
경제학에서는 호경기와 불경기를 반복하는 경기변동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이...
경제학에서는 호경기와 불경기를 반복하는 경기변동이 나타난다고 보고있습니다.경기변동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