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정책변동과 형태
Ⅲ. 정책변동연구모형
Ⅳ. 정책변동원인
Ⅴ. 정책변동과 남북경협제도
Ⅵ. 결 론
참고문헌
**한글97
Ⅱ. 정책변동과 형태
Ⅲ. 정책변동연구모형
Ⅳ. 정책변동원인
Ⅴ. 정책변동과 남북경협제도
Ⅵ. 결 론
참고문헌
**한글97
본문내용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동아일보, 1998. 11. 3. 자, 2000. 11. 11. 자, 2001. 1. 19. 자, 2001. 1. 20. 자.
문정인 외, "북한체제의 변동과 대북경제협력의 정치. 경제적 조건," ,1997.
민주평통, 1996년 9월 자.
-------, 1999. 4. 30. 자.
-------, "남북경제공동체 건설 정책과제와 대책방향", 『정책연구자료』 제23호, 2000.
-------, "6·15 남북공동선언 2주년 성과와 향후과제", 『정책연구자료』 제32호, 2002.
박홍순, "민간차원에서의 대북한 지원 및 교류방안", 전국대학 통일문제연구소 협의회, 『통일연구논집』(제 2 집), 1999.
안해균, 『정책학원론』, 서울: 다산출판사, 1998.
연합뉴스, 2000, 11.16., 2000, 12. 28. 자.
유한수·이영선 편,『북한진출기업전략』,서울: 도서출판 오름.
유훈, 『정책학원론』, 서울: 법문사, 1995.
이병길, 『정책변동의 요인과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이상만, "남북한 경제협력의 단계별 추진방향", 대구대 '96 통일문제대학학술세미나, 1996.
------, "정부와 민간의 역할분담과 대북접근자세", 민족통일연구원, 『대북정경분리정책』,1998.
이재봉, "민간단체의 남북교류방안", 통일문제연구협의회, 1999.
이학수, "남북경협 제도와 성과 및 저해요인분석", 2001년 통일교육원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 "정책변동과 대북정책에서의 한국·러시아 관계", 대학통일문제연구소 협의회·하바롭스크 국립기술대학교, 2002년 국제학술대회의 발표문.
정대규, "남북기본합의서 이행·실천의 실질적 추진방안", 배재대 통일문제연구소,『통일문제연구』 제 12 집, 1998.
정용길, “남북교류협력의 문제점과 전망”, 안보연구 제 22호, 동국대 안보연구소, 1992.
정정길,『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1999.
조동호, "남북경제관계의 전망과 새로운 대북 정책 방향의 모색", 건대출판부, 『북한의 개방과 통일전망』, 1998.
조은석 외 4인, 『남북한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연구』, 통일연구원, 2000.
중앙일보, 1998. 12. 7. 자, 2001. 5. 2. 자.
최수영, 『남북경협모델설정』, 통일연구원, 2000.
통일교육원, 『통일문답』, 1999.
---------, 『사회통일교육 지침서』, 2000.
---------, 『2001 통일문제이해』, 2001.
통일부, 『남북교역통계자료』, 1998.
-----, 『통일부 30년사』, 1999.
-----, 『통일백서』, 1999.
-----, 『통일백서』, 2002.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kor/data/note/note.php?page=2&code=511&sub_no=&f_no=&dis_no=)
http://www.unikorea.go.kr/kor/data/note/note_view.php?db=Tab_2&boardno=1160&content=D45/D4557.htm&code=511&flag=1)
http://www.unikorea.go.kr/kor/policy/policy_view.php?db=Tab_2&boardno=900&content=C31/C3121.htm&code=220&flag=1
통일부 교류협력국, 『월간 남북교류협력 및 인도적 사업 동향』, 제 81호, 제 90호, 제 99호, 제100호, 제 102호, 제 113호, 제 114호, 제 122호, 제 126호, 제 131호.
통일속보, 2000. 11. 14. 자.
통일원, 『통일백서』, 1997.
통일정보신문, 2000. 10.23., 2001. 10. 1., 2002. 9. 2. 자.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서울: 어문각, 1992..
Brian W. Hogwood & B. Guy Peters, Policy Dynamics (N. Y.: St. Martin's Press, 1983).
David P. Dolowitz & David Marsh, " Policy Tranfer: a framework for comparative analysis", in Martin Minoque, Charles Polidano & David Hulme(eds.), Beyond the New Public Management(Massachusetts: Edward Elgar Pub. Inc., 1998).
Durrant R. F. & Diehl P. F., "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y: Lessons from the U.S. foreign policy arena", Journal of Public Policy(1989).
John W. Kingdon, Agenda, Alternative, and Public Policies (Boston: Little, Brown and Co., 1984).
Richard Hofferbert, The Study of Public Policy (Indianapolis: Bobbs-Merill, 1974).
Richard Rose, The Dynamics of Public Policy, (Beverly Hills: Sage Pub., 1976).
Paul A. Sabatier, "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Policy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oriented Learning therein", Policy Sciences(1988).
Peter A, Hall,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April, 1993).
Thomas R. Dye, Politics, Economics and the Public (Chicago: Rand McNally, 1966).
동아일보, 1998. 11. 3. 자, 2000. 11. 11. 자, 2001. 1. 19. 자, 2001. 1. 20. 자.
문정인 외, "북한체제의 변동과 대북경제협력의 정치. 경제적 조건," ,1997.
민주평통, 1996년 9월 자.
-------, 1999. 4. 30. 자.
-------, "남북경제공동체 건설 정책과제와 대책방향", 『정책연구자료』 제23호, 2000.
-------, "6·15 남북공동선언 2주년 성과와 향후과제", 『정책연구자료』 제32호, 2002.
박홍순, "민간차원에서의 대북한 지원 및 교류방안", 전국대학 통일문제연구소 협의회, 『통일연구논집』(제 2 집), 1999.
안해균, 『정책학원론』, 서울: 다산출판사, 1998.
연합뉴스, 2000, 11.16., 2000, 12. 28. 자.
유한수·이영선 편,『북한진출기업전략』,서울: 도서출판 오름.
유훈, 『정책학원론』, 서울: 법문사, 1995.
이병길, 『정책변동의 요인과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이상만, "남북한 경제협력의 단계별 추진방향", 대구대 '96 통일문제대학학술세미나, 1996.
------, "정부와 민간의 역할분담과 대북접근자세", 민족통일연구원, 『대북정경분리정책』,1998.
이재봉, "민간단체의 남북교류방안", 통일문제연구협의회, 1999.
이학수, "남북경협 제도와 성과 및 저해요인분석", 2001년 통일교육원 연구용역 결과보고서.
------, "정책변동과 대북정책에서의 한국·러시아 관계", 대학통일문제연구소 협의회·하바롭스크 국립기술대학교, 2002년 국제학술대회의 발표문.
정대규, "남북기본합의서 이행·실천의 실질적 추진방안", 배재대 통일문제연구소,『통일문제연구』 제 12 집, 1998.
정용길, “남북교류협력의 문제점과 전망”, 안보연구 제 22호, 동국대 안보연구소, 1992.
정정길,『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1999.
조동호, "남북경제관계의 전망과 새로운 대북 정책 방향의 모색", 건대출판부, 『북한의 개방과 통일전망』, 1998.
조은석 외 4인, 『남북한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연구』, 통일연구원, 2000.
중앙일보, 1998. 12. 7. 자, 2001. 5. 2. 자.
최수영, 『남북경협모델설정』, 통일연구원, 2000.
통일교육원, 『통일문답』, 1999.
---------, 『사회통일교육 지침서』, 2000.
---------, 『2001 통일문제이해』, 2001.
통일부, 『남북교역통계자료』, 1998.
-----, 『통일부 30년사』, 1999.
-----, 『통일백서』, 1999.
-----, 『통일백서』, 2002.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kor/data/note/note.php?page=2&code=511&sub_no=&f_no=&dis_no=)
http://www.unikorea.go.kr/kor/data/note/note_view.php?db=Tab_2&boardno=1160&content=D45/D4557.htm&code=511&flag=1)
http://www.unikorea.go.kr/kor/policy/policy_view.php?db=Tab_2&boardno=900&content=C31/C3121.htm&code=220&flag=1
통일부 교류협력국, 『월간 남북교류협력 및 인도적 사업 동향』, 제 81호, 제 90호, 제 99호, 제100호, 제 102호, 제 113호, 제 114호, 제 122호, 제 126호, 제 131호.
통일속보, 2000. 11. 14. 자.
통일원, 『통일백서』, 1997.
통일정보신문, 2000. 10.23., 2001. 10. 1., 2002. 9. 2. 자.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서울: 어문각, 1992..
Brian W. Hogwood & B. Guy Peters, Policy Dynamics (N. Y.: St. Martin's Press, 1983).
David P. Dolowitz & David Marsh, " Policy Tranfer: a framework for comparative analysis", in Martin Minoque, Charles Polidano & David Hulme(eds.), Beyond the New Public Management(Massachusetts: Edward Elgar Pub. Inc., 1998).
Durrant R. F. & Diehl P. F., " Agenda, Alternatives and Public Policy: Lessons from the U.S. foreign policy arena", Journal of Public Policy(1989).
John W. Kingdon, Agenda, Alternative, and Public Policies (Boston: Little, Brown and Co., 1984).
Richard Hofferbert, The Study of Public Policy (Indianapolis: Bobbs-Merill, 1974).
Richard Rose, The Dynamics of Public Policy, (Beverly Hills: Sage Pub., 1976).
Paul A. Sabatier, " An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of Policy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oriented Learning therein", Policy Sciences(1988).
Peter A, Hall, "Policy Paradigms, Social Learning, and the State: The Case of Economic Policymaking in Britain," Comparative Politics, (April, 1993).
Thomas R. Dye, Politics, Economics and the Public (Chicago: Rand McNally, 1966).
추천자료
대만 문제와 남북 문제
북한의 문화예술정책 및 남북 통일에의 기여 가능성
남북통일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북한 개방정책][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북한의 개방정책에 따른 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의 ...
[남북경협]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의 배경, 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의 추진과정, 남북경제협...
[통일교육][남북통일]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범위, 통일교육의 지도방향과 통일교육의 ...
[한반도평화체제][한반도평화체제 구축][한반도평화][한반도][남북관계]한반도평화체제의 위...
[한반도 전쟁위기][통일운동][남북통일운동][남북통일][통일][한반도][전쟁][남북관계]한반도...
북핵문제와 남북관계
[남북한정치쟁점]남북 문제에 대한 세대별 시각차이에 대한 인터뷰
민족통일(남북통일)과 한민족, 민족통일(남북통일)과 민족공동체, 민족통일(남북통일)과 연방...
남북 통일 문제 (경제적 대처 - 통일세 징수, 중국식 모델 도입 유도, 외교적, 정치적 대처 -...
[국제정책및통상갈등 공통]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국가간, 다국적 기업간, 또는 남북간 갈등 ...
남북경제협력,대북정책,대북포용정책,남북정상회담,김정은 북한의 핵실험,북한 핵실험,북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