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본문내용
.
Harter, S., Pike, R. The pictorial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2-198, 1984.
IRA & NAEYC. Learning to read and writ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8.
Johns,J.L.,VanLeirsburg,P. Promoting the reading habit:considerations and strategies. In E. H. Cramer, Castle, M.(Eds.),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the affec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DE, 1994.
Kush, J.C. & Watkins, M. W. Long-term stability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 read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9(5). 315-319, 1996.
Lapp, D. & Flood, J. Teaching reading to every child. McMillan Publishing Co, 1978.
Lomax,C.M. Interest in books and stories at nursery school. Educational Research. 19. No.2 100-112, 1976.
McKenna, M.C.,& Kear, D.J. Measuring attitude toward reading: A new tool for teachers. The Reading Teacher, 43. 626-639, 1990.
Morrow,L.M. Home and school correlates of early interest in literature. Journa l of Educational Research, 76, 221-230, 1983.
Parker, A. & Paradis, E. Attitude development toward reading in grades one through six.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9(5). 313-315, 1986.
Plessas,G.P.& Oakes,C.R. Prereading experiences of selected early readers. The Reading Teacher, 17, 241-245, 1964.
Saracho, O.N. Th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reading attitudes scale. Child Study Journal. 16, 2. 113-124, 1986.
Saracho, O.N. Preschool reading attitude scal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7. 93-108, 1988.
Stanonvich, K.E. Matthew effects in reading: Some conseq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literacy. Reading Research Quaterly, 21, 360-406, 1986.
Walberg, H.J.,Tsai Shiow-Ling. Correlates of reading achievement and attitude: A national assessment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8, 159-167, 1985.
부 록
유아용 읽기태도검사 문항
좋아함 보통임 싫어함
1. 혼자서 책을 읽으면 어떤 기분이 드니? _____ _____ _____
2. 책에 있는 글자를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3. 선생님과 함께 글자를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4. 유치원에서 책을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5. 혼자서 그림책을 볼 때는? _____ _____ _____
6. 선생님이 책을 읽어주시면? _____ _____ _____
7. 유치원에서 글자를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8. 잠들 때 어머니가 책을 읽어주시면? _____ _____ _____
9. 유치원에서 책을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10. 유치원에서 책 읽어주는 시간이 되면? _____ _____ _____
11. 어머니가 책을 읽어주시면? _____ _____ _____
12. 어머니와 함께 글자를 읽으면? _____ _____ _____
*유아들에게 보여주는 그림은 지면관계로 생략하였다. 그림의 예는 본문(8p.)에 포함되어 있다.
요 약
유아용 읽기 태도 척도는 4, 5세 유아의 읽기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3점 평정 척도이다. 4, 5세의 발달에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항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읽기에 관한 관계문헌과 유아 혹은 아동의 읽기 태도에 관련된 기존 척도를 검토하여 31개의 문항을 일차적으로 선정하였다. 31문항의 내용타당도를 유치원 교사와 유아교육과 교수가 평가하여
14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검사를 거쳐서 유아들의 문항이 해도와 검사 실시상의 문제점을 알아본 후에 185명의 4, 5세 유아들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읽기 태도 점수는 유아의 선호도 점수, 읽기 능력에 대한 유아의 지각 점수, 그리고 읽기 태도에 관한 교사의 평가와 의의 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공인 타당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항분석 결과 각 문항이 읽기 태도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을 변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태도 검사의 기우반분신뢰도나 내적일 관성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arter, S., Pike, R. The pictorial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 1962-198, 1984.
IRA & NAEYC. Learning to read and writ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for young children. Young Children.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8.
Johns,J.L.,VanLeirsburg,P. Promoting the reading habit:considerations and strategies. In E. H. Cramer, Castle, M.(Eds.),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the affective domain in reading education.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DE, 1994.
Kush, J.C. & Watkins, M. W. Long-term stability of children's attitudes toward read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9(5). 315-319, 1996.
Lapp, D. & Flood, J. Teaching reading to every child. McMillan Publishing Co, 1978.
Lomax,C.M. Interest in books and stories at nursery school. Educational Research. 19. No.2 100-112, 1976.
McKenna, M.C.,& Kear, D.J. Measuring attitude toward reading: A new tool for teachers. The Reading Teacher, 43. 626-639, 1990.
Morrow,L.M. Home and school correlates of early interest in literature. Journa l of Educational Research, 76, 221-230, 1983.
Parker, A. & Paradis, E. Attitude development toward reading in grades one through six.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9(5). 313-315, 1986.
Plessas,G.P.& Oakes,C.R. Prereading experiences of selected early readers. The Reading Teacher, 17, 241-245, 1964.
Saracho, O.N. Th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reading attitudes scale. Child Study Journal. 16, 2. 113-124, 1986.
Saracho, O.N. Preschool reading attitude scal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37. 93-108, 1988.
Stanonvich, K.E. Matthew effects in reading: Some consequenc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literacy. Reading Research Quaterly, 21, 360-406, 1986.
Walberg, H.J.,Tsai Shiow-Ling. Correlates of reading achievement and attitude: A national assessment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8, 159-167, 1985.
부 록
유아용 읽기태도검사 문항
좋아함 보통임 싫어함
1. 혼자서 책을 읽으면 어떤 기분이 드니? _____ _____ _____
2. 책에 있는 글자를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3. 선생님과 함께 글자를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4. 유치원에서 책을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5. 혼자서 그림책을 볼 때는? _____ _____ _____
6. 선생님이 책을 읽어주시면? _____ _____ _____
7. 유치원에서 글자를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8. 잠들 때 어머니가 책을 읽어주시면? _____ _____ _____
9. 유치원에서 책을 읽을 때는? _____ _____ _____
10. 유치원에서 책 읽어주는 시간이 되면? _____ _____ _____
11. 어머니가 책을 읽어주시면? _____ _____ _____
12. 어머니와 함께 글자를 읽으면? _____ _____ _____
*유아들에게 보여주는 그림은 지면관계로 생략하였다. 그림의 예는 본문(8p.)에 포함되어 있다.
요 약
유아용 읽기 태도 척도는 4, 5세 유아의 읽기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3점 평정 척도이다. 4, 5세의 발달에 적합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항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읽기에 관한 관계문헌과 유아 혹은 아동의 읽기 태도에 관련된 기존 척도를 검토하여 31개의 문항을 일차적으로 선정하였다. 31문항의 내용타당도를 유치원 교사와 유아교육과 교수가 평가하여
14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검사를 거쳐서 유아들의 문항이 해도와 검사 실시상의 문제점을 알아본 후에 185명의 4, 5세 유아들에게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유아의 읽기 태도 점수는 유아의 선호도 점수, 읽기 능력에 대한 유아의 지각 점수, 그리고 읽기 태도에 관한 교사의 평가와 의의 있는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공인 타당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문항분석 결과 각 문항이 읽기 태도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을 변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태도 검사의 기우반분신뢰도나 내적일 관성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이해 - 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
유아영어교육에 관한 기사를 읽고 요약한 후, 유아영어교육을 성숙주의이론, 행동주의이론, ...
유아교육과정3공통)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교육과정 개념 및 배경, 구성, 교수학습방법, ...
유아교육평가4A) 레지오에밀리아 유아교육 프로그램 - 평가와 누리과정에서의 평가가 서로 어...
유아수학교육의 교수학습 원리 및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 영유아수학교육계획안을 작...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E형)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해 논하시오(평...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개론_현대사회 유아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 활...
유아교육개론_유아교육의 교수-학습원리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시설과 환경에 대하여...
유아교육개론_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교...
유아교육개론_현대사회 유아교육의 개념과 목표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 활동계획안의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