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청동기 시대

2.유적과 유물

3.청동기의 발명

4.청동검

5.동검

6.비파형 동검과 분포도

7.청동기 농경 도구

8.농경문 청동기

본문내용

정된다.
농경문 청동기
청동기에 선조(線彫) 7.3cm x 12.8cm. '농경문 청동기'는 대전 괴정동의 석곽묘에서 다른 청동기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집 모양 혹은 방패 모양 같기도 한데,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지만 의기(儀器)로 추측된다. 윗부분에는 여섯 개의 구멍이 있고, 그 구멍을 이용해 매달아두고 사용한 듯 구멍의 윗부분이 닳아진 흔적이 있으며, 한쪽 면에는 둥근 고리가 달려 있다. 이 청동기에는 농사를 짓는 장면이 새겨져 있어서 매우 주목된다. 고리가 달린 앞면에는 나뭇가지에 새가 앉아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어서 솟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며, 뒷면에는 밭을 갈고 있는 농부 한 사람과, 괭이로 땅을 파고 있는 모습, 그리고 키같이 생긴 것을 들고 있는 사람과 망을 씌운 항아리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이는 밭을 갈아 씨를 뿌리고 거두어 저장하는 농사의 장면을 간결하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농사짓는 남성의 성기가 강조됨으로써 농경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의 증대, 이로 인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농사와 관련된 의식에 쓰이던 것으로 생각되어 이 청동기의 쓰임을 짐작하게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03.08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