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재 신채호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단군-부여-고구려 중심의 고대사체계를 세우고 그 무대를 한반도에 한정하지 않고 중국 동북지역과 요서지방까지 확대했다. 그리고 종래 한반도에 있었다고 본 한사군을 반도 밖에 있었거나, 실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고대사 인식에 따라 신라의 삼국통일을 비판적으로 보고 발해의 역할을 강조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맺음말
나는 '丹齋 신채호'를 읽으며 단재(丹齋)는 사학가로서 민족(民族)의 역사(歷史)를 민족의 내적 생활에서 찾아내려 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단재(丹齋)는 우리 민족의 수난기에 살고 활동 하면서 외세의 억압 밑에서 사는 우리 민족의 주체 의식(意識)과 독립사상(獨立事象)을 밑바닥으로부터 캐내어 밝혀 주었다 하겠다. 즉 단재는 상고(上古)로부터 전하여 받은 우리민족의 정신(精神)을 되찾고, 그 정신(精神)의 발휘로 외세를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국사(國史)를 연구하고, 가르치고, 그 사상(思想)을 겨레에게 가르치고, 심어주고, 길러주고,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피로 적고 눈물로 외쳐 그 정신이 글이 되었으니, 그의 글들은 모두 살아있는 글일 수 밖에 없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우리 민족(民族)과 함께 영원히 살아 숨쉴 것이다.
단권으로 간추려놓은 글을 읽고 감상문을 쓴다는 것이 단재(丹齋) 선생님에 대한 모독이 될지도 모른다. 그에 대한 생의 업적이나 사상을 완벽히 이해했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부끄러움을 간직하며, 앞으로 단재 신채호가 쓴 역사서(歷史書), 위인전(偉人傳)등을 찾아 읽음으로서 조금이라도 가까이 '단재 신채호' 선생님을 만나 뵙도록 노력하겠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3.08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