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R. Bultmann, 신약성서 신학 p.163-182
H. Conzelmann, 신약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p.305-318
중심으로...
(H. Conzelmann)
1. 정의상의 문제
2. 영지주의 자료들
3. 영지적 사고들
4. 영지와 신약성서
5. H. Conzelmann은
(R. Bultmann)
- 헬레니즘 계 그리스도교 -
1. 대립들과 싸움
2. 내(內) 그리스도교적 현상으로서의 영지주의
3. 그리스도교 사유에서의 영지주의적 동기들
H. Conzelmann, 신약성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p.305-318
중심으로...
(H. Conzelmann)
1. 정의상의 문제
2. 영지주의 자료들
3. 영지적 사고들
4. 영지와 신약성서
5. H. Conzelmann은
(R. Bultmann)
- 헬레니즘 계 그리스도교 -
1. 대립들과 싸움
2. 내(內) 그리스도교적 현상으로서의 영지주의
3. 그리스도교 사유에서의 영지주의적 동기들
본문내용
벧전 3:22 등에서 발견된다.
4) 구원
신자들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의 우주적 승리는 죄, 죽음에서 해방을 뜻하는데 구속자가 이것을 위해 그의 올리움을 통해 영의 세력들의 영역을 거쳐 하늘 세계에 이르는 일을 개척했다는 영지주의 사상을 즐겨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예는 요 12:32, 히 2:10, 12:2, 롬 8:29 등에서 발견된다.
5) 교회개념
히브리서는 세계에서 단절된 모든 영의 사람들이 서로 연합되었다는 영지주의 통일에 관한 사상을 신의 백성에 관한 구약성서-유대교 전통의 주제와 결합했다. 바울은 신자들 상호간의 그리고 속죄자와의 내적 통일성을 "그리스도의 몸에"대한 영지주의의 개념을 통해 분명히 하고 이것으로 교회개념 형성을 본질적으로 규정했다. 에베소서에서는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머리" 개념을 사용하였고 영지주의의 神婚思想(신혼사상)도 이용했다. 즉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부 혹은 아내라는 것이다.
6) 그리스도교의 존재이해
영지주의에서 영지주의적 양식을 얻은 더 높은 본성에 의해 "영의 사람이"되고 그 "영의 사람은" 공동체 모임에서 열광과 황홀경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자유"와 "권위"라는 순수한 영지주의적 주장에 의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것이 그리스도인이 세례를 받아 영의 소유를 의식하는 것에서와 바울이 고전 2:6, 2:15, 8:1, 6:12, 10: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지주의적 개념에서 그리스도교의 존재이해를 가지고 있다.
4. R. Bultmann은
헬레니즘계의 그리스도교는 구속론의 완성을 통하여 다양한 층과 다양한 장소에서 그리고 매우 다양한 정도로 영지주의 영향 하에 놓이게 되어 그것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거부하기도 하고 때로는 둘이 결합하기도 했다. 그래서 헬레니즘계의 그리스도교가 다양한 자료들로 만들어진 혼합주의 산물로 보일수도 있지만 그것이 아니고 극히 세부적인 면에서만 혼합주의적인 것이고 그 속에 원천적으로 신과 세계, 인간에 관한 독자적인 이해의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때로는 서로 대립하여 싸우고 그리스도교와 마찬가지로 영지주의 유랑교사들에 의해 유포되어 그리스도교 공동체 내에서 교사로 공존하는 과정에서 바른 신앙이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영지주의적 사유와 신화 그리고 그 개념이 그리스도교의 사유와 신학용어 전개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 The End -
4) 구원
신자들에게 있어서 그리스도의 우주적 승리는 죄, 죽음에서 해방을 뜻하는데 구속자가 이것을 위해 그의 올리움을 통해 영의 세력들의 영역을 거쳐 하늘 세계에 이르는 일을 개척했다는 영지주의 사상을 즐겨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예는 요 12:32, 히 2:10, 12:2, 롬 8:29 등에서 발견된다.
5) 교회개념
히브리서는 세계에서 단절된 모든 영의 사람들이 서로 연합되었다는 영지주의 통일에 관한 사상을 신의 백성에 관한 구약성서-유대교 전통의 주제와 결합했다. 바울은 신자들 상호간의 그리고 속죄자와의 내적 통일성을 "그리스도의 몸에"대한 영지주의의 개념을 통해 분명히 하고 이것으로 교회개념 형성을 본질적으로 규정했다. 에베소서에서는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머리" 개념을 사용하였고 영지주의의 神婚思想(신혼사상)도 이용했다. 즉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부 혹은 아내라는 것이다.
6) 그리스도교의 존재이해
영지주의에서 영지주의적 양식을 얻은 더 높은 본성에 의해 "영의 사람이"되고 그 "영의 사람은" 공동체 모임에서 열광과 황홀경의 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자유"와 "권위"라는 순수한 영지주의적 주장에 의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것이 그리스도인이 세례를 받아 영의 소유를 의식하는 것에서와 바울이 고전 2:6, 2:15, 8:1, 6:12, 10: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지주의적 개념에서 그리스도교의 존재이해를 가지고 있다.
4. R. Bultmann은
헬레니즘계의 그리스도교는 구속론의 완성을 통하여 다양한 층과 다양한 장소에서 그리고 매우 다양한 정도로 영지주의 영향 하에 놓이게 되어 그것을 받아들이기도 하고 거부하기도 하고 때로는 둘이 결합하기도 했다. 그래서 헬레니즘계의 그리스도교가 다양한 자료들로 만들어진 혼합주의 산물로 보일수도 있지만 그것이 아니고 극히 세부적인 면에서만 혼합주의적인 것이고 그 속에 원천적으로 신과 세계, 인간에 관한 독자적인 이해의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때로는 서로 대립하여 싸우고 그리스도교와 마찬가지로 영지주의 유랑교사들에 의해 유포되어 그리스도교 공동체 내에서 교사로 공존하는 과정에서 바른 신앙이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나 영지주의적 사유와 신화 그리고 그 개념이 그리스도교의 사유와 신학용어 전개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 The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