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체성의 문제 설정
2.자아와 정체성의 의미
3.자아발달 환경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특성
4.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와 정체성의 양상
5.결론
-참고문헌-
2.자아와 정체성의 의미
3.자아발달 환경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특성
4.사이버 공간에서의 자아와 정체성의 양상
5.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의 모델을 특징짓는 것은 이렇게 다양한 측면사이에 의사소통의 길이 열려있다는 점이다. 열린 의사소통은 우리 내부의 여러모습, 그리고 다른 이들 속의 여러 모습들 각각에 대한 태도를 존중하는 태도를 고취시킨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문화주의를 수용하는 것이다.
우리 내부의 다양성을 감지 할 때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알게된다. 존재의 불완전성을 깨닫게되면 다른 사람들과의 결합을 필요로 하게된다. Donna Haraway는 '쪼개지고 모순적인 자아'를 '자아를 알게되는 것'과 등치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자아의 소통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죽었다고 했던 주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물론 이러한 주체는 단일하고 안정된 것은 아니지만 ...
그러나 다원적인 주체와 다문화정치 내부에는 모순이 존재한다. 그들은 존재론적으로 확고한 주체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근본주의와 이론의 체계화는 거부하고 있으나 모더니즘의 담론 형태와 제도적 장치들에서 완전히 헤어나지는 못하고 있다. 다문화주의자들은 행위의 담지자라는 계몽의 개념을 재생산하고 있는 주체의 위치들에 의존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소수 담론은 계몽의 주체 위치에 대한 타자로서 비판적 기능을 하지만, 소수파의 위치에 지나치게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은 확고부동한 정체성의 문제를 재생산한다.
고도로 발달하는 컴퓨터 문화는 '경계'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한계의 순간은(Liminal Moment)은 긴장과 극단적인 반응, 엄청난 기회의 시간이기도 하다. Victor Tuner가 말하는 liminality는 이행의 상태(과도적인 상황)를 말한다. 다양한 관점은 새로운 도덕적 담론을 요구한다. 시뮬레이션 문화는 우리가 다양한 비젼을 이룩하는데 도움을 줌과 동시에, 우리의 다양한 자아에 접근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즐거움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정체성을 통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가상세계에서 마주치는 수 많은 자아들을 성찰적으로 이해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현실을 풍요롭게 만들 수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성찰이다.
참고문헌
강내희(1997), 사이버 문형과 주체형성, 문화과학 10호.
김문조(1998), 정보화 사회:본질과 유형, 정보화 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한국언론학회, 한국사회학회 엮음, 세계사
(1998), 'Cybersociety: Forming-Performing-Reforming, Asia-Pacific Regional Expert Meeting on Legal Framework of Cyberspace 발표문.
김종엽(1997), 자아 정체성과 정치: 푸코와 기든스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
류승호(1997),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공동체, 창작과 비평, 1997년 봄호.
서동진(1997), 디지털 부족들 - 접경의 연속체, 문화과학 10호.
셰리 터클, 라캉과 정신분석 혁명, 여인석 역, 민음사.
Alain Tourane(1992), 현대성 비판, 정수복, 이기현 역, 문예출판사.
알뛰세,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김동수역(1991), 아미엥에서의 주장, 솔.
이진경(1995), "자끄라캉, 무의식의 이중구조와 주체화", 철학의 탈주, 샛길
(1997), 근대적 주체와 정체성- 정체성의 미시 정치학을 위하여,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
황상민(1997),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가상공동체 의식과 복합정체성의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홍성태 엮음(1996), 사이버공간, 사이버 문화, 문화과학사.
N. 캐더린 헤일즈, "사이버 공간의 유혹" 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사이몬 페니, "계몽 기획으로의 가상현실"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마가렛모스, "사이보그들은 무엇을 먹는가?: 정보사회의 구강논리학"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다나 하러웨이,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1980년대에 있어서 과학, 테크놀로지, 그리고 사회주의 페미니즘."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Castells(1997), The Power of Identity, Blackwell.
Deleuze(1963),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서동욱, 칸트의 비판철학, 민음사.
Giddens(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이윤희, 이현희 역, '포스트 모더니티', 민영사
(1991), Modernity & Self-identity, 권기돈 역, 현대성과 자아정체성-후기현대의 자아와 사회, 새물결.
(1992), Transformation of Intimacy - Sexuallity, love, and Eroticism in Modern Societies,
황정미, 배은경 역,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Goldstien(1994), The politics of identity in late modern society, Theory & society 23.
Kellner(1995), Media Culture, 김수정, 정종희 옮김, 미디어 문화, 새물결.
Poster(1990), The Mode of Imformation -Poststructualism & Social Context, 김성기역 '뉴미디어의 철학',민음사
(1995), Second Media Age, 이미옥 외 역, 제2미디어 시대, 민음사.
Steven Best & Douglas Kellner(1991), Postmodern Theory, 정일준 역, 탈현대의 사회이론, 현대미학사
Turkle(1995),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Simon & Schuster.
http://www.mit.edu/afs/athena.mit.edu/user/s/t/sturkle.
Ulrich Beck(1986), Risikogesellschaft, 홍성태 역,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우리 내부의 다양성을 감지 할 때 우리는 자신의 한계를 알게된다. 존재의 불완전성을 깨닫게되면 다른 사람들과의 결합을 필요로 하게된다. Donna Haraway는 '쪼개지고 모순적인 자아'를 '자아를 알게되는 것'과 등치시키기도 했다.
이렇게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자아의 소통은 포스트모더니즘이 죽었다고 했던 주체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물론 이러한 주체는 단일하고 안정된 것은 아니지만 ...
그러나 다원적인 주체와 다문화정치 내부에는 모순이 존재한다. 그들은 존재론적으로 확고한 주체의 위치에서 발생하는 근본주의와 이론의 체계화는 거부하고 있으나 모더니즘의 담론 형태와 제도적 장치들에서 완전히 헤어나지는 못하고 있다. 다문화주의자들은 행위의 담지자라는 계몽의 개념을 재생산하고 있는 주체의 위치들에 의존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소수 담론은 계몽의 주체 위치에 대한 타자로서 비판적 기능을 하지만, 소수파의 위치에 지나치게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은 확고부동한 정체성의 문제를 재생산한다.
고도로 발달하는 컴퓨터 문화는 '경계'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한계의 순간은(Liminal Moment)은 긴장과 극단적인 반응, 엄청난 기회의 시간이기도 하다. Victor Tuner가 말하는 liminality는 이행의 상태(과도적인 상황)를 말한다. 다양한 관점은 새로운 도덕적 담론을 요구한다. 시뮬레이션 문화는 우리가 다양한 비젼을 이룩하는데 도움을 줌과 동시에, 우리의 다양한 자아에 접근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즐거움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정체성을 통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가상세계에서 마주치는 수 많은 자아들을 성찰적으로 이해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현실을 풍요롭게 만들 수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성찰이다.
참고문헌
강내희(1997), 사이버 문형과 주체형성, 문화과학 10호.
김문조(1998), 정보화 사회:본질과 유형, 정보화 시대의 미디어와 문화, 한국언론학회, 한국사회학회 엮음, 세계사
(1998), 'Cybersociety: Forming-Performing-Reforming, Asia-Pacific Regional Expert Meeting on Legal Framework of Cyberspace 발표문.
김종엽(1997), 자아 정체성과 정치: 푸코와 기든스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
류승호(1997),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자아와 공동체, 창작과 비평, 1997년 봄호.
서동진(1997), 디지털 부족들 - 접경의 연속체, 문화과학 10호.
셰리 터클, 라캉과 정신분석 혁명, 여인석 역, 민음사.
Alain Tourane(1992), 현대성 비판, 정수복, 이기현 역, 문예출판사.
알뛰세,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 장치, 김동수역(1991), 아미엥에서의 주장, 솔.
이진경(1995), "자끄라캉, 무의식의 이중구조와 주체화", 철학의 탈주, 샛길
(1997), 근대적 주체와 정체성- 정체성의 미시 정치학을 위하여, 경제와 사회 97년 가을호.
황상민(1997),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가상공동체 의식과 복합정체성의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홍성태 엮음(1996), 사이버공간, 사이버 문화, 문화과학사.
N. 캐더린 헤일즈, "사이버 공간의 유혹" 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사이몬 페니, "계몽 기획으로의 가상현실"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마가렛모스, "사이보그들은 무엇을 먹는가?: 정보사회의 구강논리학"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다나 하러웨이,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1980년대에 있어서 과학, 테크놀로지, 그리고 사회주의 페미니즘."홍성태 엮음(1997), 사이보그, 사이버컬처, 문화과학사.
Castells(1997), The Power of Identity, Blackwell.
Deleuze(1963), La Philosophie Critique de Kant, 서동욱, 칸트의 비판철학, 민음사.
Giddens(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이윤희, 이현희 역, '포스트 모더니티', 민영사
(1991), Modernity & Self-identity, 권기돈 역, 현대성과 자아정체성-후기현대의 자아와 사회, 새물결.
(1992), Transformation of Intimacy - Sexuallity, love, and Eroticism in Modern Societies,
황정미, 배은경 역,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Goldstien(1994), The politics of identity in late modern society, Theory & society 23.
Kellner(1995), Media Culture, 김수정, 정종희 옮김, 미디어 문화, 새물결.
Poster(1990), The Mode of Imformation -Poststructualism & Social Context, 김성기역 '뉴미디어의 철학',민음사
(1995), Second Media Age, 이미옥 외 역, 제2미디어 시대, 민음사.
Steven Best & Douglas Kellner(1991), Postmodern Theory, 정일준 역, 탈현대의 사회이론, 현대미학사
Turkle(1995),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Simon & Schuster.
http://www.mit.edu/afs/athena.mit.edu/user/s/t/sturkle.
Ulrich Beck(1986), Risikogesellschaft, 홍성태 역,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추천자료
사이버 공간에서 청소년의 음란물 접촉 실태 및 개선방안
사이버 공간에서의 불건전 정보 유통 실태
사이버 공간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존재 하는가
사이버 공간에서의 ‘익명성’이란 무기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
사이버 공간을 통해 나타나는 국민성의 모습 고찰과 발전적 방향 및 문제점에 대한 대안 제시
사이버 공간 속의 판타지 소설 엿보기
사이버 공간의 언어폭력 및 허위사실 유포 실태
사이버 공간을 통한 사회적인 운동의 유형과 동향
사이버 공간속의 나 - 아바타에 대하여
사이버 공간 상의 윤리문제
사이버 공간에서의 전통윤리
사이버 공간의 윤리문제
사이버 공간의 특징과 제반 문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