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 병동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근골격계 구조와 기능

2.신체검진 및 일반적인 간호문제

3.장애별 질병에 대한 이해
1)진단검사
2)간호수기

본문내용

과 지방조직의 비율이 증가하는데 하지와 체간의 근육이 약해지고 위축된다. 근육이 구축을 예방하기 위해 매주 3회 10~15분 정도 융통성 있는 운동을시킨다. 장근은 휴식시 길이 유지로 충분하며 능동적 관절운동을 시킨다. 가벼운 정도의 근구축은 수동적 관절운동을 시키는데 하루에 2회 매회 20∼30분, 심한 근구축일 경우 20∼30분 장기간 신장시키되 이때 열이나 초음파를 적용하면 도움이 된다.
2.골다공중
예방을 위해 calcium을 섭취하면 요중 배설량을 증가시켜 극복되지 않으며 단지 체중부하와 근육운동, 완전 부동상태를 벗어나는 것만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다. 부동의 마비 대상자라면 경사침대를 이용하거나 진동침대를 사용하고 평행봉에서 기립위나 걷기를 권한다. 중력에 대항운동을 매일 시행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3.체위성 저혈압
예방은 조기기동과 주요 근육군의 근력증진 운동이다. 특히 복부, 하지근육 수축으로 정맥귀환을 증진하고 저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앙와위에서 하지를 상승시키고 하지에 붕대를 감거나 탄력 양말을 신기고 복대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체위성 저혈압이 심한 경우, 하반신 마비나 사지마비인 대상자는 기립위에 적응하기 위해 경사침대를 이용하여 점차 기립위 각도와 시간을 늘려나간다. 기립위를 취하고 15부 후 수축기 혈압이 50mmHg 이하로 되면 실신할 수 있다. 처음엔30 기울기로 1분간 견디게하고 매주 5∼10 씩 늘려나가되 하루 2회씩 실시하며 바람직한 목표는75 기립위에서 20분 동안 견디는 것이다. 이외에 교감신경제제, ephedrine, mineralocorticoid, 적절한 염분, 수액섭취도 한 방법이다.
4.혈전성 색전
혈전발생 정도는 침상안정 기간에 비례한다고 하며 혈액정체나 부동상태가 혈전이 형성되는 주요 요인이다. 예방방법은 체위성 저혈방과 유사하다.
5.폐렴
이의 예방을 위해 와위에서도 자주 체위변경을 시도하며 호흡기 위생법, 심호흡과 기침, 적절한 수액공급의 유지가 필요하다. Incentive spirometer로 무기폐를 방지하며 흉부고타, 체위성 배액, 흡인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기존 폐질환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호흡기 위생법을 실시하고 의료진과 함께 기관지 확장제의 필요성을 사정한다.
6.변비
예방을 위해 배변 훈련 program을 실시하며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과 적절한 수액섭취가 필요하다. 배변반사를 이용하여 배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식후 화장실엣 가며 glycerine좌약, 연하제를 이용하기도 하고 정상적인 배변자세를 위해 침상곁에 이동식 변기를 사용하는데, 이때 대상자의 privacy를 유지해주어야 한다.
7.요결석
예방을 위해 수분섭취를 증가시키는데 심장에 부담을 주는 경우를 제외하고 알맞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게 한다. 골조송증 대상자에게 칼슘을 보충해 줄 필요가 없는데 과잉 칼슘섭취로 과다 칼슘뇨와 신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8.요정체
소변의 산성화는 세균의 집락화를 감소시킨다. 잔뇨가 없도록 완전히 방광을 비우기 위해 남성은 기립위에서 여성은 좌식 변기에 앉아 배뇨하도록 격려한다.
9.심리적인 변화
간호사는 환자가 최대한으로 자신의 능력범위안에서 독자성을 가지고 변화된 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환자에 대한 개인적인 이해와 문제의 파악으로 신체적 건강은 물론 심리적, 사회적으로 건전하게 살 수 있는 인본주의적 개념의 간호를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10.욕창
장기간 과중한 압력이 피부에 가해지거나 땀, 소변 등의 자극이나 단단한 물체에 부딪친 결과, 또 부스럼, 농포가 있을 때 발생된다. 마비환자들이 재활기간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심화된 욕창은 상당한 양의 단백질 특히 albumin의 손실을 가져온다. 모세혈관에서 혈청단백의 감소는 교질 삼투압을 저하시킨다. 이는 환자가 일어나 앉거나, 침대에서 몸을 일으키려 할 때 체액이 세포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체액의 이동은 중력하에서 일어나는 순환혈액량의 감소를 더 악화시켜 부동환자의 체위성 저혈압을 초래한다.
11.관절강적
예방적 간호는 ①신체의 관절은 가장 기능적, 해부학적인 자세를 유지시킨다. 즉 슬와부밑에 너무 장기간베개를 대어주지 말고 침요는 단단한 것을 대주며 발판을 사용하여 foot drop을 막는다. ②잦은 체위변경과 모든 관절에 모든 관절에 치료적 운동을 구체적으로 계획하여 실시한다. ③예방적 절차는 매우 더디고 어려우므로 환자와 가족의 이해를 돕고 적극 참여케 한다.
·약물 투여
① 염증성 장애 : 항염증 치료제 (salicylate,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투여
② 외상성 장애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Indomethacin(Indocin), Ibuprofen(Motrin),
Tolmetin sodium(Tolectin), Sulindac(Clinoril))
③ 대사성 장애 : 에스트로겐 : 골다공증
Aspirin과, NSAIDs, Steroids, Sodium fluoride, Calcitonin(피하투여)
Mithramycin(정맥내 투여), Etidronate disodium(구강 섭취) :Paget씨 질병
④ 신생물 장애 : Cytoxan, Adriamycin, Folex, Mexate, Oncovin
⑤ 사지 절단 장애 : 항염증제, 항경련제이며 진통제인 Carpamezapine(Tegretol),
항우울제인 Amitriptyline(Elavil)
⑥ 척추기능 장애 (요통) : 진통제, 근육이완제, Steroid(경막외 주사)
⑦ 결체 조직성 장애 :
⒜ 골관절염 : Aspirin, NSAIDs
⒝ 류마티스 관절염 : NSAIDs (Indocin, Motrin, Nalfon, Feldene, Dolobid),
강력 항 염증제제 (Prednisone, Butazolidin)
효력이 더딘 항염증 제제 (Plaquenil, Gold salt I.M)
⒞ 강직성 척추염 : Indocine, NSAIDs, Aspirin
참고문헌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송미순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재활간호 개정판 현문사 소희영 저
질환별 물리치료 고문사
정형외과간호학 수문사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3.03.15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