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신장이식과 간호, 진단검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신장이식과 간호, 진단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2 증가를 동반함
PCO2
- 점점상승되고, 피로하면 인공기도로 호흡도와줌
- PCO2가 정상보다 낮으면 과환기의 원인을 해소시켜줌 ex)동통, 불안, 공포
SO2
- 조직에 산소를 해리하는 Hb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온도, PH, PCO2,
혈액의효소, 화학물질
- 산소포화도 교정은 영향을 받는 요인을 변화시켜야 함
- 산소공급은 혈색소의 산소포화도를 교정하지만, 조직의 산화를 교정하지는
못함
PH
- PH, HCO3, 염기의 과잉/부족 중재
- 대사성 산-염기 불균형 발생시 : 즉시 교정
* 대사성산성증 : 중탄산나트륨투여
* 대사성염기증 : 비정상전해질을 교정 & NH4Cl, 희석된 HCl을 투여
HCO3
- 신기능 장애 : 투석
Na
- 부신피질 호르몬이 요세관의 나트륨 재흡수를 하지 못해 고나트륨혈증이
나타남
- 세포탈수로 인해 혼돈, 경련, 혼수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염분과 수분
의 정체로 고혈압과 울혈성 심부전도 나타날 수 있음
K
- 칼륨배출을 하지 못해 혈중 칼륨농도가 증가
- 초기에는 빈맥, 후기에는 서맥, 부정맥, 저혈압, 심장마비, 오심, 설사, 장경
련, 장음의 항진, 감각장애, 핍뇨 후기엔 무뇨
CL
- 정상
Ca
- 신장은 비타민D를 활성화시켜서 소장에서 칼슘이 흡수되도록 도와주는데
신장이 손상되면 장에서의 칼슘흡수저하가 되어 저칼슘혈증이 나타남
P
- 인의 배설작용이 되지 않아 고인산혈증이 나타남
-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줌
Glucose
- 정상
BUN
- BUN은 단백질 대사의 최종산물이며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설되는데 신기
능손상은 체외로 배설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승하게 됨
- 사구체 여과율이 40-60%이하로 떨어졌을 때도 상승하는 원인이 됨
- 지남력이 상실되거나 전신경련이 나타날 수 있음
Creatine
- Creatine도 단백질 대사의 최종 산물이며 신기능 손상시 체외로 배설되지
못하여 상승하게 됨
- 발열, 위장관 출혈, catabolic disease, 소변량 감소등을 뜻함
T.Protein
- 정상
Albumin
- 정상
AST
- 정상
ALT
- 간조직 세포형질에 가장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골격근, 신장, 심장, 췌장,
폐, 적혈구에서도 발견 됨
- 상승 시 장기의 세포변성 및 괴사반영
Total Bilirubin
- 정상
Uric Acid
- 정상
3. Chemical Battery
4. RU c micro
Glucose(포도당)
- 포도당은 사구체로 자유롭게 여과된 다음 세뇨관에서 재흡수 됨
- 정상인에게서는 혈중 포도당 농도가 180mg/dl까지 사구체로 여과
되는 모든 포도당이 세뇨관에서 재 흡수되어 요에서는 나타나지 않

→ 이 경우, 포도당 대사는 negative이므로 정상
Bilirubin(빌리루빈)
- 간세포 장애성 황달 등에 의해 빌리루빈이 혈중으로 역류하며 그
농도가 최고치에 달하면 요로 배설하게 됨
→ 정상치는 negative(극미량)으로 존재하고 있음. 이 경우 간의 기능
은 negative결과로 정상
Ketone(케톤)
- 케톤은 체내의 지방이 에너지를 내기 위해 신진대사할 때 생기는
최종 대사산물인데 과잉 생산되면 소변으로 나오게 됨
→ 정상치는 negative(극미량)으로 존재하고 있음. 이 경우 지방 신진
대사는 negative결과로 정상
SG
(Specific Gravity):요비중
- 일반적으로 신장기능이 저하되면 농축력,희석력이 모두 저하되는데
초기에는 농축력이 저하 하게됨
- 보통 아무것도 용해되지 않은 증류수가 비중이 1.000인데 소변이
1.000에 가깝다는 것은
그만큼 희석되어 있다는 뜻이고 1.000에 멀수록 그만큼 소변이 농 축되었음을 의미
→ 이 경우, 1.015로 소변의 농축력,희석력이 정상으로 신장기능이 정
상이라는 것을 의미
pH(산도)
- 요의 산도는 체내의 산염기 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혈장 pH를 반

- 생체는 식사나 운동 등의 생명유지를 위하여 다량의 산이 생산됨
- 체액은 이들 대사로 생기는 산에도 불구하고 중성으로 유지되는 것
은 폐의 호흡성 조절기와 신장이 일정량의 산을 배설하여 체내 산
염기 평형을 유지시킴
→ 정상범위:4.5~8.0이므로 산도가 6.0으로 정상
Protein(단백질)
- 단백뇨는 비정상적인 사구체 투과성, 저하된 세뇨관 재흡수, 혈장내
단백질 과잉을 의미
- 병리적인 단백뇨는 보통 심각한 신질환의 징후
→ 정상은 negative이지만, 3+으로 신질환의 징후를 의미
Uroblinogen
(요빌리노겐)
- 소변을 이용해 간장애나 황달을 진단하는 검사
→ 정상은 trace(극미량)으로 위약성(±), 약양성(+)이 포함되어 이 경우
간의 기능은 위약성(±)으로 정상
Nitrite(아질산염)
- 요로감염증을 선별하기 위한 검사법으로 요중 세균이 있을때 검출 됨
- 요로감염증의 원인균인 대장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변형균 등은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키는 효소를 가지고 있어서 이들 세
균이 있을 시 검출됨
→ 이 경우, 요로 감염증이 없는 negative이므로 정상
WBC(백혈구)
- 소변 내의 백혈구 출현은 신장이나 요로계통에 감염이 있음을 의미
→ 정상이 1~4개이므로 이 경우, 0~1로 정상. 신장이나 요로에 감염
이 없음을 의미
RBC(적혈구)
- 혈뇨는 신장요로계 암이나 신결핵, 겸상세포빈혈, lgA,lgM의 신병
증, 전신 홍반성 낭창, 그리고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같은 질병에서
발견 됨
→ 정상이 1~4개이므로 이 경우, 6~10개로 신장질환의 발생을 의미
BUN
(혈액요소질소)
- 혈액요소질소는 단백질 대사의 최종산물이며,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설 됨
- 신기능 손상을 신장 내 요소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됨
- 사구체 여과율이 40~60% 이하로 떨어졌을 때 상승되기 시작 함
→ 335, 비정상으로서 사구체 여과율이 급격하게 떨어졌음을 의미
Creatinine
(크레아티닌)
- 단백질 대사의 산물인 크레아티닌은 사구체에서 여과됨
이 경우,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졌기 때문에 혈청 크레아티닌이 상 승을 보임
→ 56.17이므로 비정상으로서 사구체 여과율이 급격하게 떨어졌음을
의미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1.13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