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문제제기
Ⅱ. 본 문 - 광고의 효과와 사례분석
1. 광고의 효과 분석
2. 사례 분석
a. 광고의 목표 수준
b. 실패한 광고의 유형
Ⅲ. 결 론
《 참고문헌 》
Ⅱ. 본 문 - 광고의 효과와 사례분석
1. 광고의 효과 분석
2. 사례 분석
a. 광고의 목표 수준
b. 실패한 광고의 유형
Ⅲ. 결 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흥미를 유발시켜야 한다는 이유에 대해 creative가 중요하다는 것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같은 영상활동이라고 하여도 흥행에서 실패한 영화가 영화 시상식에서 상을 받을 경우 극장에서 재상영되거나 비디오의 인기가 치솟는 것과 광고는 다를 수밖에 없다. 광고가 아무리 세계시장에서 호평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그 시점에서 그 광고는 지금 이곳에선 과거의 것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기업 이미지 재고를 위한 기업 PR의 경우와 달리 상품의 직접적인 매출과 관계시켜야 하는 상품광고의 경우 그것의 예술성이 아무리 뛰어나다고 하여도 경제적 결과를 불러일으키지 못한다고 하면 수술은 성공을 하여도 환자는 죽어버리는 경우와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광고 그 자체는 성공하였으나, 매출에 도움을 주지 못한 경우를 두고 .광고평론가들은 [수술은 성공하였지만, 그 환자는 죽었다]라는 말로 격하시킨다. 또한 광고의 대가 오길비(Ogilvy)씨는 소비자가 광고를 보고 [그 광고가 참 잘 되었다]라는 말을 듣는 것 보다 광고를 보고 [전에는 그런 사실을 몰랐는데 그 상품을 한번 써 봐야겠다]는 말을 들어야 좋은 광고라고 역설하고 있다. 즉 광고는 소비자의 눈길도 끌어야 하고 또한 판매도 증가시켜야 하는 이중의 책무(double duty)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 두 가지를 모두 해내지 못하면, 수술(광고)을 잘 했는데, 환자(매출)은 죽는 경우가 발생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광고가 마케팅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델몬트의 따봉 이나 018의 광고와 같이 사회적 유행어를 형성시킬 정도로 광고가 히트했지만, 그것이 기업의 이윤과는 별개의 영역이 되어버린다면(물론 이것을 전적으로 광고의 책임으로 돌릴 수는 없지만) 광고사로서는 고용인으로서의 광고주를 잃어버리게 된다. 즉 광고는 경제의 논리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광고에 대한 가치부여가 단순한 Marx'식 경제결정론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지 어느덧 생활의 동반자, 정보제공자로서 존재하는 광고에 있어, 그것의 창작 자체만을 중요시하는 지금의 영상물로서의 행태에 대한, 그것의 존재 이전의 생성의 원리를 다시 한번 강조하자는 것이다.
《 참고문헌 》
? ‘조선일보’ (1993. 2. 8)
? [광고는 과연 물건을 팔아주는가?] (존 필립 존스 , LG애드, 1997)
? 『광고에 대한 국민의식도 조사』 (한국광고협의회, 1990. 9. 25)
? 권태호, 한겨레 (2000. 8. 9.)
《 참고 사이트 》
? http://www.cfbest/column/adkid/adkid-_18.asp
? http://www.adchannel.co.kr/adcolum/LIK/lik71.htm
? http://www.centerworld.com/cyber/special/kangdh/2000/1108.htm
? http://www.centerworld.com/cyber/special/kangdh/2000/1108.htm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델몬트의 따봉 이나 018의 광고와 같이 사회적 유행어를 형성시킬 정도로 광고가 히트했지만, 그것이 기업의 이윤과는 별개의 영역이 되어버린다면(물론 이것을 전적으로 광고의 책임으로 돌릴 수는 없지만) 광고사로서는 고용인으로서의 광고주를 잃어버리게 된다. 즉 광고는 경제의 논리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광고에 대한 가치부여가 단순한 Marx'식 경제결정론을 의미하는 것이다. 단지 어느덧 생활의 동반자, 정보제공자로서 존재하는 광고에 있어, 그것의 창작 자체만을 중요시하는 지금의 영상물로서의 행태에 대한, 그것의 존재 이전의 생성의 원리를 다시 한번 강조하자는 것이다.
《 참고문헌 》
? ‘조선일보’ (1993. 2. 8)
? [광고는 과연 물건을 팔아주는가?] (존 필립 존스 , LG애드, 1997)
? 『광고에 대한 국민의식도 조사』 (한국광고협의회, 1990. 9. 25)
? 권태호, 한겨레 (2000. 8. 9.)
《 참고 사이트 》
? http://www.cfbest/column/adkid/adkid-_18.asp
? http://www.adchannel.co.kr/adcolum/LIK/lik71.htm
? http://www.centerworld.com/cyber/special/kangdh/2000/1108.htm
? http://www.centerworld.com/cyber/special/kangdh/2000/1108.htm
추천자료
광고와 마케팅
박카스 대 비타500의 광고 마케팅 비교를 통한 박카스의 광고전략연구
소비자 마케팅과 광고 전략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7장 마케팅과 광고계획의 수립: 하향식, 상향식 및 통합적 마케팅커...
[마케팅관리]광고전략-스타브랜드화 마케팅분석
베스킨라빈스의 마케팅 광고 경영전략 분석
[엔터테인먼트마케팅][엔터테인먼트산업]엔터테인먼트마케팅 PPL(제품간접광고), 엔터테인먼...
광고와 마케팅
[아파트][아파트 마케팅][아파트 마케팅 광고 속 미술][아파트 마케팅 전략]아파트의 기원, ...
도미노피자 단점공개 광고 마케팅 성공 사례
[광고학]인터넷 광고는 배너광고, 검색광고, 문맥광고로 나뉩니다. 문맥광고를 포함한 이색광...
레모나 광고 마케팅분석및 레모아 광고기획안 제안
비너스(VENUS) 마케팅 광고전략 분석과 비너스 새로운 광고전략 기획제언 및 비너스 시사점과...
[기업광고][기업광고 모델][기업광고 스포츠마케팅][기업광고 전략]기업광고의 분류, 기업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