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시대와 미디어교육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변화하는 매체환경과 미디어교육

Ⅱ. 미디어교육의 발전방향

Ⅲ. 정보화시대의 미디어교육

Ⅵ. 독일에서의 미디어 교육 현황
1. 독일 초중고등학교 미디어 교육의 추세 및 과제
2. 미디어 교육 분야
3. 학교 교육에서의 미디어 교육에 대한 노력과 그 문제점들
4. 대학에서의 미디어교육
5. 미디어 교육의 정책개요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홍수에서 오는 부담을 피하기 위해 청소년들에게 정보에 대한 구조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 정보나 정보체계는 오늘날 거의 모든 분야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이렇게 지나친 정보는 청소년들에게 혼란을 가중시킬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어떤 정보가 그들에게 유용하고 바람직한지 그 기준을 확립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를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고 다른 행동분야와 적절한 조화 속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정보화사회에서 미디어교육은 학교교육 이전단계, 초등학교 중, 고등학교 또한 대학 등과 학교교육 외적으로도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학생들 뿐만 아니라 같은 정도로 부모도 대상이 되어야 한다. 아울러서 능력있는 미디어교육교사의 양성이 여전히 불충분하기때문에 미디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자격을 획득해야 교사들의 자질부족이라는 문제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미디어교육은 이제 정보화시대가 되어가면서 서서히 변화가 되어야 한다. 현재 등장하거나 등장하고 있는 뉴미디어와 멀티미디어등의 성격이 이러한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는 교사와 학생을 같은 단계로 자리매김을 만들어 놓았다. 이제 교사와 학생 두 그룹은 대등하고 똑같은 미디어의 수취인이며 어떤 경우 학생들이 부분적으로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다. 그런점에서 정보화시대의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성격은 계급적이라기 보다는 수평적이다.
정보화시대의 미디어교육은 교사와 학생이 함께 탐구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협력자로서 영원히 서로 배울 수 있는 대화방식의 새로운 수업형식을 가능하게 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런점에서 정보화시대의 미디어교육은 새로운 이론적 기초를 열어 놓았다. 그것은 지식이란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가르쳐주는 사실과 사고의 체계로서가 아닌 교사와 학생들이 서로 함께 생각하고 대화하며 행동지향적인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일어나는 체계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B. Koring: Lernen und wissenschaft im Internet. Anleitungen und Reflexionen zu neuen Lern-,Forschungs und Beratungsstrukturen, Bad Heilbrunn, 1998.2 (Internet:http://www.tu-chemnitz.de/-koring/-virtkor/-intbuch/html)
Barbara Eschnauer: Medienp dagogik in den Lehrpl nen. Eine Inhaltsanalyse zu den Curricula der allgemeinbildenden Schule im Auftrag der Bertelsmann-Stiftung. G ntersloh: Verlag Bertelsmann-Stiftung 1989.
Bund-L nder-Kommission f r Bildungplanung und Forschungsf rderung: Gesamtkonzept f r die informationstechnische Bildung. Bonn: BLK-Gesch ftsstelle 1987(Materialen zue Bildungplanung Heft 16).
Bund-L nder-Kommission f r Bildungplanung und Forschungsf rderung: Medienerziehung in der Schule- Orientierungsrahmen. Bonn: BLK-Gesch ftsstelle 1995.(Materialen zue Bildungplanung und zur Forschungsf rderung Heft 44).
D.Baacke, K bler: Qualitative Medien-und Kommunikationsforschung, T bingen, 1989
D. Baacke: Medienp dagogik, T bingen, 1997
Dieter H ltershinken/Hans-Peter Kas sche/Dagobert Sobiech: Praxis der Medienerziehung. Bad Heilbrunn: Klinkhardt 1991.
Gerhard Tulodzieck/Andrea Schlingmamm/Katja Mose/Christa M tze/Bardo Herzig/Annemarie Hauf-Tulodziecki: Handlungsorientierte Medienp dagogik in Beispielen. Bad Heilbrunn: Klinkhardt 1995.
Hiegemann, Swoboda: Handbuch der Medienp dagogik, Opladen, 1994
Ingrid Hamm: Medienkompetenz als Herausforderung an Schule und Bildung. Ein deutsch-amerikanischem Dialog. 1992.
J. H tner, B. Schrob, Chr. Brehm-Klotz: Grundbegriffe der Medienp gogik, B blingen,1997.
J. H tner, B. Schrob, Chr. Brehm-Klotz: Grundbegriffe der Medienp gogik, Opladen 1990B blingen,1997.
J rgen Lauffer/Michaela Thier unter Mitwirkung von Elmar Elling: Medienp dagogik und Medienforschung in den neuen L ndern der Bundersrepublik Deutschland. Daten und Fakten. 1992. Hrsg. Vom Vorstand der Gesellschaft f r Medienp dagogik und Kommunikationskultur in der Bundersrepublik Deutschland e. V. (GMK). (Schriften zur Medienp dagogik 7. Runbrief-Dokumentation GMK)
Kultusministerkonfe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3.03.29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