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 리 말
Ⅱ.밀 교 란
Ⅲ.중국밀교의 전개
* 중국에 있어서 밀교관계의 사찰
Ⅳ.맺 음 말
Ⅱ.밀 교 란
Ⅲ.중국밀교의 전개
* 중국에 있어서 밀교관계의 사찰
Ⅳ.맺 음 말
본문내용
명 | 사 명 | 관계승려명 || 지명 | 사 명 | 관계승려명 |
+------+--------+------------------++------+----------+--------------------+
| 낙양 |광복사 |금강지, 불공 || 태원 |지덕사 | |
| 낙양 |복선사 |선무외 || | 문수원| |
| 용문 |광화사 |선무외(묘) || 무위 | 개원사 |불공 |
| 용문 |봉선사 |금강지(묘) || 양주 | 숭산사 |전아, 원인, 원재 |
|오대산|김각사 |불공, 함광, 영선 || 월주 | 용흥사 |순효, 최징 |
|오대산|옥화사 |불공 || 회남 | 사령사 |문찬, 상효 |
|오대산|대화엄사|해운 || 회남 | 화림사 |상효 |
+------+--------+------------------++------+----------+--------------------+
Ⅳ.맺 음 말
-중국밀교의 특질-
송대 이후의 밀교는 유가종이라는 이름으로 근근히 존재하고 있었던 듯하나 그것도 기록에 의하면 일본으로부터 경전과 의궤 등을 역수입했다고 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략적인 설명이 되겠지만 인도, 티벳, 일본 등의 밀교와 비교해서 특징적인 점을 열거하고 결론을 맺을까 한다.
첫째 중국밀교는 다른 불교권의 밀교와 비교할 때 충분히 정착하지 못하여 그 전성기의 수명이 짧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점은 외적·내적인 두 가지 원인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 외적으로는 커다란 법난을 입었다는 사실이다. 무종 회창의 법난은 중국불교의 각 종파의 막대한 손해를 끼쳤는데, 그 중에서도 밀교의 피해가 가장 심했다. 왜냐하면 염불과 선은 탄압을 받더라도 부흥하기 쉽지만 밀교는 단장, 만다라, 법구 등 많은 도구를 필요로 하며, 더욱이 법을 전하는 인적 소재(혈맥)는 필수적인 것이므로 이것이 일단 단절되면 부흥하기가 곤란해지 때문이다.
내적 이유는 중국밀교의 내부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일본밀교와 비교하면 명료해지는데, 공해는 대사회적인 활동과 더불어 <<십주심론>>·<<변현밀이교론> 등 대작을 저술하여 진언밀교의 교의적 확립에 부심하였다. 그 결과 공해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귀하고 뛰어난 교의 체계로 인해 일본의 진언밀교는 적어도 교의적으로는 안정되어 있었다.
물론 일행은 <<대일경소>>를 주석하고, 불공은 다수의 <<금강정경>>계의 경전을 번역하면서 독자적인 주장을 많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여타 다른 불교의 각 파에 밀교의 독자성을 교리적으로 확립시키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둘째는 인도밀교의 초세속적인 고립주의와 일본밀교의 세속·초세속의 양면지향과는 달리 중국밀교는 역시 정치권력과의 관계가 현저했다는 점이다. 이 점은 불공의 성격 및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다. 진정한 이유는 위에서부터의 밀교포교이고, 정치가 우위를 점하는 중국에서는 필요상 어쩔 수 없는 일이었지만, 현실 정치와 관계가 깊었기 때문에 위정자가 바뀌면 종교인 밀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점은 일종의 양면날의 칼과 같은 성격을 갖추고 있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밀교는 역사적으로 볼 때 벚꽃처럼 짧은 개화기를 가졌는데 그 성격의 한 단면은 공해에 의해서 일본에도 전해졌다.
### 참고 문헌 ###
장원규 저, 『중국불교사』. 고려원.
옥성강사랑 외 저, 정순일 역, 『중국불교의 사상』. 민족사.
목촌 저, 장휘옥 역, 『중국불교사상사』. 민족사.
뇌부본굉 외 저, 김무생 역, 『밀교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정태혁 저, 『밀교』. 현대불교신서 36.
평;우리 나라의 고려시대에 들어 온 천태종등도 일본의 천태종과 마찬가지로 밀종적인 요소가 많다고 보아야 될 것이다.
+------+--------+------------------++------+----------+--------------------+
| 낙양 |광복사 |금강지, 불공 || 태원 |지덕사 | |
| 낙양 |복선사 |선무외 || | 문수원| |
| 용문 |광화사 |선무외(묘) || 무위 | 개원사 |불공 |
| 용문 |봉선사 |금강지(묘) || 양주 | 숭산사 |전아, 원인, 원재 |
|오대산|김각사 |불공, 함광, 영선 || 월주 | 용흥사 |순효, 최징 |
|오대산|옥화사 |불공 || 회남 | 사령사 |문찬, 상효 |
|오대산|대화엄사|해운 || 회남 | 화림사 |상효 |
+------+--------+------------------++------+----------+--------------------+
Ⅳ.맺 음 말
-중국밀교의 특질-
송대 이후의 밀교는 유가종이라는 이름으로 근근히 존재하고 있었던 듯하나 그것도 기록에 의하면 일본으로부터 경전과 의궤 등을 역수입했다고 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략적인 설명이 되겠지만 인도, 티벳, 일본 등의 밀교와 비교해서 특징적인 점을 열거하고 결론을 맺을까 한다.
첫째 중국밀교는 다른 불교권의 밀교와 비교할 때 충분히 정착하지 못하여 그 전성기의 수명이 짧았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점은 외적·내적인 두 가지 원인에서 찾을 수 있다. 우선 외적으로는 커다란 법난을 입었다는 사실이다. 무종 회창의 법난은 중국불교의 각 종파의 막대한 손해를 끼쳤는데, 그 중에서도 밀교의 피해가 가장 심했다. 왜냐하면 염불과 선은 탄압을 받더라도 부흥하기 쉽지만 밀교는 단장, 만다라, 법구 등 많은 도구를 필요로 하며, 더욱이 법을 전하는 인적 소재(혈맥)는 필수적인 것이므로 이것이 일단 단절되면 부흥하기가 곤란해지 때문이다.
내적 이유는 중국밀교의 내부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일본밀교와 비교하면 명료해지는데, 공해는 대사회적인 활동과 더불어 <<십주심론>>·<<변현밀이교론> 등 대작을 저술하여 진언밀교의 교의적 확립에 부심하였다. 그 결과 공해가 사망한 후에도 그의 귀하고 뛰어난 교의 체계로 인해 일본의 진언밀교는 적어도 교의적으로는 안정되어 있었다.
물론 일행은 <<대일경소>>를 주석하고, 불공은 다수의 <<금강정경>>계의 경전을 번역하면서 독자적인 주장을 많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여타 다른 불교의 각 파에 밀교의 독자성을 교리적으로 확립시키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둘째는 인도밀교의 초세속적인 고립주의와 일본밀교의 세속·초세속의 양면지향과는 달리 중국밀교는 역시 정치권력과의 관계가 현저했다는 점이다. 이 점은 불공의 성격 및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도 무관하지 않다. 진정한 이유는 위에서부터의 밀교포교이고, 정치가 우위를 점하는 중국에서는 필요상 어쩔 수 없는 일이었지만, 현실 정치와 관계가 깊었기 때문에 위정자가 바뀌면 종교인 밀교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 점은 일종의 양면날의 칼과 같은 성격을 갖추고 있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중국밀교는 역사적으로 볼 때 벚꽃처럼 짧은 개화기를 가졌는데 그 성격의 한 단면은 공해에 의해서 일본에도 전해졌다.
### 참고 문헌 ###
장원규 저, 『중국불교사』. 고려원.
옥성강사랑 외 저, 정순일 역, 『중국불교의 사상』. 민족사.
목촌 저, 장휘옥 역, 『중국불교사상사』. 민족사.
뇌부본굉 외 저, 김무생 역, 『밀교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정태혁 저, 『밀교』. 현대불교신서 36.
평;우리 나라의 고려시대에 들어 온 천태종등도 일본의 천태종과 마찬가지로 밀종적인 요소가 많다고 보아야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