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교육과정의 비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교육과정 사회학

3. 잠재적 교육과정 (급진적 관점)

본문내용

쉽고 평가하기 쉬운 내용, 예로부터 가르쳐 왔기 때문에 가르치고, 소수 이익집단의 압력에 의하여 특정한 교과가 설정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 기존의 교육과정 연구가 행동 과학에 기초한 양적 측면을 강조한 것을 비판하고 이제는 질적, 해석학적, 인본주의 적, 심미적 접근을 해야함을 강조하는 1970년대 이후 재 개념주의자들의 비판적 사고에서 연구되기 시작.
- 아이스너는 교육활동을 심미적 예술활동에 비유하였고 장학지도자를 감식자라 보아 교육적 사고에 있어서 심미적 측면을 중시.
- 아이스너는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 결정자는 다양한 시각을 표현하는 예술가와 같다고 몸.
- 아이스너는 교육과정 개발의 예술적 접근.
① 목표설정
② 내용선정
③ 다양한 학습기회
④ 비 선형적 내용조직
⑤ 교차적 내용조직
⑥ 다양한 의사소통
2) 지루(Giroux)
①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정의
: 잠재적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실생활의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교육내용의 중요한 의미구조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전수되는 진술되지 않은 규범·가치·신념"이라고 정의하면서, 학교의 기능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② 학교에 대한 의견
° 단순히 사회와의 관계 하에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거나 혹은 사회적인 불평등을 재생산하는데 이용되는 차원을 넘어 여러 다른 사회집단들이 제공하는 문화·지식·권력의 복합체를 수용하기도 하고 또 거부도 하는 "상대적 자율 성"(relative autonomy)을 지닌 기관이라고 강조.
° 잠재적 교육과정과 관계하여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결정하는 사회정치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혀내고 비판해야 할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이 사회구조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제약 속에서도 "협상"(negotiation)하고 또 "저항 "(resistance)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변형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
° 상대적인 자율성을 지닌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협상과 저항의 과정을 통해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성 함으로써 해방 지향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함.
참고문헌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김재춘 (外).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교육사회학. 김신일.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보울즈(Bowles)와 긴티스(Gintis). 이지환 역. 전남: 사계절 출판사 (1986).
* 교직 '교육의 사회적 기초' 수업. 김한분 교수님 자료.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04.16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6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