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교육과정 사회학
3. 잠재적 교육과정 (급진적 관점)
2. 교육과정 사회학
3. 잠재적 교육과정 (급진적 관점)
본문내용
쉽고 평가하기 쉬운 내용, 예로부터 가르쳐 왔기 때문에 가르치고, 소수 이익집단의 압력에 의하여 특정한 교과가 설정되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 기존의 교육과정 연구가 행동 과학에 기초한 양적 측면을 강조한 것을 비판하고 이제는 질적, 해석학적, 인본주의 적, 심미적 접근을 해야함을 강조하는 1970년대 이후 재 개념주의자들의 비판적 사고에서 연구되기 시작.
- 아이스너는 교육활동을 심미적 예술활동에 비유하였고 장학지도자를 감식자라 보아 교육적 사고에 있어서 심미적 측면을 중시.
- 아이스너는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 결정자는 다양한 시각을 표현하는 예술가와 같다고 몸.
- 아이스너는 교육과정 개발의 예술적 접근.
① 목표설정
② 내용선정
③ 다양한 학습기회
④ 비 선형적 내용조직
⑤ 교차적 내용조직
⑥ 다양한 의사소통
2) 지루(Giroux)
①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정의
: 잠재적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실생활의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교육내용의 중요한 의미구조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전수되는 진술되지 않은 규범·가치·신념"이라고 정의하면서, 학교의 기능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② 학교에 대한 의견
° 단순히 사회와의 관계 하에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거나 혹은 사회적인 불평등을 재생산하는데 이용되는 차원을 넘어 여러 다른 사회집단들이 제공하는 문화·지식·권력의 복합체를 수용하기도 하고 또 거부도 하는 "상대적 자율 성"(relative autonomy)을 지닌 기관이라고 강조.
° 잠재적 교육과정과 관계하여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결정하는 사회정치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혀내고 비판해야 할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이 사회구조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제약 속에서도 "협상"(negotiation)하고 또 "저항 "(resistance)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변형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
° 상대적인 자율성을 지닌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협상과 저항의 과정을 통해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성 함으로써 해방 지향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함.
참고문헌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김재춘 (外).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교육사회학. 김신일.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보울즈(Bowles)와 긴티스(Gintis). 이지환 역. 전남: 사계절 출판사 (1986).
* 교직 '교육의 사회적 기초' 수업. 김한분 교수님 자료.
- 기존의 교육과정 연구가 행동 과학에 기초한 양적 측면을 강조한 것을 비판하고 이제는 질적, 해석학적, 인본주의 적, 심미적 접근을 해야함을 강조하는 1970년대 이후 재 개념주의자들의 비판적 사고에서 연구되기 시작.
- 아이스너는 교육활동을 심미적 예술활동에 비유하였고 장학지도자를 감식자라 보아 교육적 사고에 있어서 심미적 측면을 중시.
- 아이스너는 교육과정에 대한 의사 결정자는 다양한 시각을 표현하는 예술가와 같다고 몸.
- 아이스너는 교육과정 개발의 예술적 접근.
① 목표설정
② 내용선정
③ 다양한 학습기회
④ 비 선형적 내용조직
⑤ 교차적 내용조직
⑥ 다양한 의사소통
2) 지루(Giroux)
①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정의
: 잠재적 교육과정을 "학교와 교실생활의 사회적 관계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교육내용의 중요한 의미구조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전수되는 진술되지 않은 규범·가치·신념"이라고 정의하면서, 학교의 기능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② 학교에 대한 의견
° 단순히 사회와의 관계 하에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거나 혹은 사회적인 불평등을 재생산하는데 이용되는 차원을 넘어 여러 다른 사회집단들이 제공하는 문화·지식·권력의 복합체를 수용하기도 하고 또 거부도 하는 "상대적 자율 성"(relative autonomy)을 지닌 기관이라고 강조.
° 잠재적 교육과정과 관계하여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결정하는 사회정치적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혀내고 비판해야 할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생이 사회구조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제약 속에서도 "협상"(negotiation)하고 또 "저항 "(resistance)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변형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
° 상대적인 자율성을 지닌 학교에서 교사와 학생이 함께 협상과 저항의 과정을 통해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성 함으로써 해방 지향적인 교육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함.
참고문헌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김재춘 (外).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교육사회학. 김신일.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자본주의와 학교교육. 보울즈(Bowles)와 긴티스(Gintis). 이지환 역. 전남: 사계절 출판사 (1986).
* 교직 '교육의 사회적 기초' 수업. 김한분 교수님 자료.
추천자료
[통일교육]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방법, 학교통일교육의 실제, 통일교육의 문제점, 통...
[인간][교육][학교교육][교육자][교육에서 지향하는 인간][종교로 보는 인간교육]인간과 교육...
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교과, 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재량활...
[제7차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특별활동][학교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편제, 제7차교육...
[제7차교육과정 이론][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고등학교선택중심...
[제7차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고등학교선택중심]제7차교육과정의 이해, 제7차교육과정의 국...
[제7차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특별활동][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의 수준별...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
[제7차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편성, 제...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
[제7차교육과정][특별활동][재량활동][학교교육과정][수준별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특별활...
[교육학의 기본이념][교육학의 학교교육이론][교육학과 철학심리학][교육학과 교육원리][교육...
[교훈글 사례, 초등학교교육(아동교육), 꿈, 가족, 인성, 명상, 행운]초등학교교육(아동교육)...
학교는 자본주의 경제구조의 재생산도구,평등한 교육기회,학교교육에 대한 비판,학교교육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