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머리말
1. Network의 역사
2. Network Marketting의 기본 개념
II. 본 문
1. 네트워크 마케팅 이론
2. 국내시장에서 SMK와 Amway의 비교
1) SMK
2) AMWAY - korea
3)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SMK와 AMWAY-Korea의 마케팅 에 대한 개략적인 비교
3. 미국과 일본의 네트워크 마케팅 현황
1) 미국의 네트워크 마케팅
2) 일본의 네트워크 마케팅
III. 맺음말
<참고문헌>
1. Network의 역사
2. Network Marketting의 기본 개념
II. 본 문
1. 네트워크 마케팅 이론
2. 국내시장에서 SMK와 Amway의 비교
1) SMK
2) AMWAY - korea
3) 네트워크 마케팅에 있어서 SMK와 AMWAY-Korea의 마케팅 에 대한 개략적인 비교
3. 미국과 일본의 네트워크 마케팅 현황
1) 미국의 네트워크 마케팅
2) 일본의 네트워크 마케팅
III.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해서 잘못되었다고 하는 것도 아니다. 단지 맺음말의 첫 머리에 빌 게이츠의 말을 인용한 이유는 그 만큼 네트워크 마케팅은 현재 시장에서 밀접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이고, 그 만큼 연구 가치가 있는 것이며, 무조건 적으로 비판한다거나, 옹호한다면 안된다는 말을 하고 싶어서이다.
2001년에 처음에 네트워크 마케팅을 접했을 때에는 이론적으로는 반박할 여지를 찾아 볼 수 없는 합리적인 것이고, 이론적으로는 성공할 수밖에 없는 논리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네트워크 마케팅을 접한지 2년이 다 되어 가는 지금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해 합리성뿐만 아니라 비판적인 면모도 찾아 볼 수 있었다.
2 년간 관심을 기울였던 네트워크 마케팅의 합리성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사업"이다는 것이다. 이 말은 겉으로 드러나는 "사업자 교부증"이라는 법적이 사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사업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사업과 비해 사업을 위한 기본 투자비용이 적어서, 일단 사업에 뛰어들을 수 있으며, 다른 사업처럼 노력에 대한 성과가 주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사업에서 중요한 것은 이 사업은 단순한 무 점포를 이용한 물품 사업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사업은 대인 관계 사업이다. 다 단계의 구조상, 사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다운 라인을 확장시켜야 하며, 자신의 다운라인 역시 자신처럼 다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것은 디스트리뷰터의 개인적인 성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마케팅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게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네트워크 마케팅의 합리성에서 "사업"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혁신이다. 다시 말해서 유통 구조의 혁신이다. 그 이론상 중간 유통 단계의 마진을 소비자에게 환원시킨다는 취지는 사업자로 하여금 가격 경쟁력을 높이며,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욕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최근 인터넷 전자상거래라든지, 텔레비젼의 쇼핑 채널들의 성행을 보면, 이러한 혁신이 도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혁신의 조류에 가장 큰 축으로 네트워크 마케팅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혁신을 지탱할 수 있는 소비자 환원의 보장 및 품질, 에프터 서비스 등 네트워크 마케팅의 취지에 대한 소비자 신뢰성 확보에 있다고 생각한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부정적인 면도 많이 관찰되어진다. 인터넷 사이트를 항해하다 보면, Anti-SMK, Ant-Amway등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한 반대 사이트들이 만연하다. 대부분 제품에 대한 문제, 서비스에 대한 문제, 그리고 사전 지식 없이 네트워크 마케팅에 뛰어들었던, 디스트리뷰터들의 피해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거론은 아직 까지 우리 나라에 네트워크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대변해 준다.
또한 네트워크 마케팅의 취지와는 달리 그 원리를 이용해서 한 몫을 챙기려는 불법 다단계 업체들의 만연은 진정한 네트워크 마케팅 업체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불법업체들의 단속은 정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정확한 인식이 중요하다. 올바른 네트워크 마케팅을 정착시키고,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원리와 그것의 합법성에 대한 지식을 사회 전반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우리 나라에는 이러한 전반적이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인 것 같고, 그러한 이유로 불법 다단계가 성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진 것 같다. 현재 건국대학교를 시작으로 경희대학교, 중앙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명지대학교의 경영대학원에서 네트워크 마케팅의 CEO과정을 개설했다. 또한 한양대학교도 개설을 서두르고 있다. 국내 유명 대학이 학문의 영역으로 다루기 시작했다는 사실 자체가 이 직업의 존재가치와 정당성을 입증한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대학원 뿐 만 아니라 대학, 고등학교, 각종 문화 세미나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보급이 이루어져야 만이 합리적인 소비자를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가 겪었던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한 잘못된 점을 서술한다.
네트워크 마케팅을 사업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디스트리뷰터의 자격조건은 법률상 학생(부모의 동의 없이)은 안된다는 점과 네트워크 마케팅 판매 제품이 100만원 이상이면 안된다는 점이 현실에 있어서 적용여부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2001년 1월에 내가 SMK에 갔을 때, 내 또래는 물론이거니와, 나보다 훨씬 어린 디스트리 뷰터들이 학생 신분임에도 사업을 영위하고 있었다. 법적으로 불법으로 나와 있지만, 업계에서는 눈 가리고 아옹 하는 식으로 간과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고 제품 역시 마찬가지다. 법규상 단일제품으로 100만원 이상의 제품은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마케팅으로의 판매행위는 규제 대상이 된다. 그러나 내가 가 보았던 SMK는 예를 들어서 매트리스와 매트리스 커버, 덮는 매트리스와 그 커버, 그리고 배게 속과 배게 커버 등을 각각 단일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단일제품이라는 제품 분류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 즉 업계는 정부의 규제를 역으로 이용하는데 이러한 이용에 대한 적절한 제재가 없다.
이상으로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해 전반적인 고찰과 더불어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 등을 서술하였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그것이 어떤 방향이건 간(TV홈쇼핑, 전자상거래 등)에 사회에 알게 모르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만큼 사회의 필요성과 욕구에 대응하는 발생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경제현상은 효율성에 입각하여 돌아가고 있다. 네트워크 마케팅이 효율적이라면 그것은 살아남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퇴보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시 여겨야 할 점은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경제주체의 안목이다. 경제주체들은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이고, 비판적으로, 사회현상을 인식하고, 평가하고, 참여함으로써 21세기 새로이 대두되는 사회 현상을 올바르게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새로운 백만장자들 - 피라미드 사기와 네트워크 마케팅
피트 빌락 지음, 문재욱 옮김, MOON JIN출판사
네트워크 마케팅 산업의 발전 방향 .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이윤보 교수
2001년에 처음에 네트워크 마케팅을 접했을 때에는 이론적으로는 반박할 여지를 찾아 볼 수 없는 합리적인 것이고, 이론적으로는 성공할 수밖에 없는 논리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네트워크 마케팅을 접한지 2년이 다 되어 가는 지금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해 합리성뿐만 아니라 비판적인 면모도 찾아 볼 수 있었다.
2 년간 관심을 기울였던 네트워크 마케팅의 합리성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사업"이다는 것이다. 이 말은 겉으로 드러나는 "사업자 교부증"이라는 법적이 사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사업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사업과 비해 사업을 위한 기본 투자비용이 적어서, 일단 사업에 뛰어들을 수 있으며, 다른 사업처럼 노력에 대한 성과가 주어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사업에서 중요한 것은 이 사업은 단순한 무 점포를 이용한 물품 사업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사업은 대인 관계 사업이다. 다 단계의 구조상, 사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다운 라인을 확장시켜야 하며, 자신의 다운라인 역시 자신처럼 다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것은 디스트리뷰터의 개인적인 성공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마케팅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게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네트워크 마케팅의 합리성에서 "사업"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혁신이다. 다시 말해서 유통 구조의 혁신이다. 그 이론상 중간 유통 단계의 마진을 소비자에게 환원시킨다는 취지는 사업자로 하여금 가격 경쟁력을 높이며,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욕구를 촉진시킬 수 있다. 최근 인터넷 전자상거래라든지, 텔레비젼의 쇼핑 채널들의 성행을 보면, 이러한 혁신이 도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혁신의 조류에 가장 큰 축으로 네트워크 마케팅이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혁신을 지탱할 수 있는 소비자 환원의 보장 및 품질, 에프터 서비스 등 네트워크 마케팅의 취지에 대한 소비자 신뢰성 확보에 있다고 생각한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부정적인 면도 많이 관찰되어진다. 인터넷 사이트를 항해하다 보면, Anti-SMK, Ant-Amway등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한 반대 사이트들이 만연하다. 대부분 제품에 대한 문제, 서비스에 대한 문제, 그리고 사전 지식 없이 네트워크 마케팅에 뛰어들었던, 디스트리뷰터들의 피해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거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거론은 아직 까지 우리 나라에 네트워크 마케팅이 자연스럽게 뿌리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대변해 준다.
또한 네트워크 마케팅의 취지와는 달리 그 원리를 이용해서 한 몫을 챙기려는 불법 다단계 업체들의 만연은 진정한 네트워크 마케팅 업체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불법업체들의 단속은 정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의 정확한 인식이 중요하다. 올바른 네트워크 마케팅을 정착시키고,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마케팅의 원리와 그것의 합법성에 대한 지식을 사회 전반에 보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우리 나라에는 이러한 전반적이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인 것 같고, 그러한 이유로 불법 다단계가 성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진 것 같다. 현재 건국대학교를 시작으로 경희대학교, 중앙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명지대학교의 경영대학원에서 네트워크 마케팅의 CEO과정을 개설했다. 또한 한양대학교도 개설을 서두르고 있다. 국내 유명 대학이 학문의 영역으로 다루기 시작했다는 사실 자체가 이 직업의 존재가치와 정당성을 입증한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대학원 뿐 만 아니라 대학, 고등학교, 각종 문화 세미나 등을 통해서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보급이 이루어져야 만이 합리적인 소비자를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내가 겪었던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한 잘못된 점을 서술한다.
네트워크 마케팅을 사업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디스트리뷰터의 자격조건은 법률상 학생(부모의 동의 없이)은 안된다는 점과 네트워크 마케팅 판매 제품이 100만원 이상이면 안된다는 점이 현실에 있어서 적용여부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2001년 1월에 내가 SMK에 갔을 때, 내 또래는 물론이거니와, 나보다 훨씬 어린 디스트리 뷰터들이 학생 신분임에도 사업을 영위하고 있었다. 법적으로 불법으로 나와 있지만, 업계에서는 눈 가리고 아옹 하는 식으로 간과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고 제품 역시 마찬가지다. 법규상 단일제품으로 100만원 이상의 제품은 아직까지는 네트워크 마케팅으로의 판매행위는 규제 대상이 된다. 그러나 내가 가 보았던 SMK는 예를 들어서 매트리스와 매트리스 커버, 덮는 매트리스와 그 커버, 그리고 배게 속과 배게 커버 등을 각각 단일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단일제품이라는 제품 분류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 즉 업계는 정부의 규제를 역으로 이용하는데 이러한 이용에 대한 적절한 제재가 없다.
이상으로 네트워크 마케팅에 대해 전반적인 고찰과 더불어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 등을 서술하였다. 네트워크 마케팅은 그것이 어떤 방향이건 간(TV홈쇼핑, 전자상거래 등)에 사회에 알게 모르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만큼 사회의 필요성과 욕구에 대응하는 발생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경제현상은 효율성에 입각하여 돌아가고 있다. 네트워크 마케팅이 효율적이라면 그것은 살아남을 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퇴보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시 여겨야 할 점은 사회 현상을 바라보는 경제주체의 안목이다. 경제주체들은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이고, 비판적으로, 사회현상을 인식하고, 평가하고, 참여함으로써 21세기 새로이 대두되는 사회 현상을 올바르게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새로운 백만장자들 - 피라미드 사기와 네트워크 마케팅
피트 빌락 지음, 문재욱 옮김, MOON JIN출판사
네트워크 마케팅 산업의 발전 방향 . 건국대학교 경영학과 이윤보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