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랑스 아날학파에 대해서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현대 史學의 방향과 그 과제
1. Ranke와 역사주의
2. 관념적 역사주의
3. 새로운 역사학과 상대주의
4. Annales 학파
5. 최근의 동향과 과제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현대 史學의 방향과 그 과제
1. Ranke와 역사주의
2. 관념적 역사주의
3. 새로운 역사학과 상대주의
4. Annales 학파
5. 최근의 동향과 과제
본문내용
계에 커다란 주목을 받았다. 백커의 상대주의 논점은 첫째 事實들이 각기 客觀的인 實在라는 것이며, 둘째 이 客觀的 事實은 다른 事實들과의 관계속에서 역사가에 의해서 선택되고 서술된다는 점이다. 벡커가 제시한 歷史家의 主觀에 동조하면서 베어드는 그 주관성이 時代精神에 합당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역사가의 시대적 배경을 중시하였다. 이와 같은 미국역사학의 전통은 미국의 발전을 바탕으로 하는 진보주의적 사관을 형성시켰던 것이다.
4. Annales 學派
Le Fevre, Marc Bloch, Fernand Braudel, Charles Morage로 대표되는 아날학파는 1929년 창간호를 발표하면서 프랑스의 역사사조를 형성하였다. 페브르는 역사가의 관심대상은 인간행위 전체라고 여겼고 이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이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사회학과 역사학이 상호교화의 관계를 맺어야 함을 그는 역설하였다. 이러한 방법상의 변화와 더불어 역사의 연구와 서술에서는 '과거에 무엇이 발생했는가'가 아니라 '과거의 사실이 어떻게 발생했는가'에 비중을 두게 되었다.
페브르과 브로흐는 독일 歷史主義의 直觀的 主觀的 反科學的 성향에 반하여 역사연구의 科學性을 천명하였다. 遺物의 再構成을 통해 死體의 집합에 다시 생명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관념론적 역사주의자들의 생각은 환상이고 역사가는 과학자처럼 연구의 대상을 창조해내야 하는 것이다. 아날 학파의 영향으로 1950년대 이후 특히 60년대에 歐美 각처에서 傳統史學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는데 영국계 카아(E. H. Carr)는 "역사란 무엇인가"(What is History)에서 은연중에 아날 학파의 교훈과 실천을 역사가의 공통된 확신으로 선언하였다. 또한 Italy에서는 크로체의 입장으로부터 독일 영국에서는 아날의 새로운 태도와 방법이 요청되는 가운데서 새로운 역사서술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5. 최근의 동향과 과제
20세기 역사학은 하나의 지배적인 典型이 없이 난무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다양한 가운데서도 최근 강조되는 역사연구의 동향은 무엇인가? 단적으로 말해서 로빈슨의 새로운 역사학의 전통을 바탕으로 성립된 미국의 상대주의적 역사관과 프랑스 아날학파의 역사관이 현대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대주의적 관념에서 출발한 역사가의 시대정신이 크로체가 제시한 '현재의 역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카아는 이를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아날학파의 科學主義와 역사에 있어서 集團性이나 構造에 대한 이해의 요구는 역사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개발에 길을 열어주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構造史學과 比較史學 등 새로운 역사서술의 동향이 설정되었으며 보조수단으로 실증적 개량화가 방법론상 최첨단에 위치하고 있다.
여전히 政治史 中心의 미궁에서 벗어나지 못한 역사가들이 산재해 있는 반면 오늘날에 역사연구 대상은 다양하고 포괄적인데 심지어는 '全體史'(total history)로서의 역사서술을 주장하는 선구적인 역사가들이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역사가들이 주의를 기울이는 全體史 즉, 總體로서의 역사서술이 과연 현대사학이 추구하는 綜合的 역사서술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을 지는 아직 회의적이다.
다양한 대상의 종합화를 위해 효율적인 방도는 무엇일까? 과연 역사가의 독자적인 탐구로서 다면적인 현상을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게 파악하여 서술할 수 있을까? 새로운 통찰과 기술을 위해서 역사가들은 필연적으로 사회과학에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역사가들은 사회과학자들의 업적 속에서 미처 발견치 못했던 흥미로운 것들을 찾게 되었다. 게다가 1940년 이후 고도의 産業社會化, 大衆의 出現, 文化의 移植, 都市化, Elite의 역할 등 새로운 국면을 전통적인 역사연구의 방법으로는 다룰수가 없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회과학과의 상호교류는 역사가에게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율적인 방책이라는 신념이 오늘날 확고해졌다.
그런데 역사학이 사회과학의 방법론을 수용함에 있어서 非科學的 論理構造를 갖는 사회과학의 방법이 時間性이 결부된 全體性을 통찰하는 역사학에 어떻게 작용되어야 하는가? 또한 長期的인 社會構造的 要因이 短期的인 決斷과 어떻게 관련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것 등이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이다. 아무튼 다양한 역사학 인식론의 출현은 역사학을 미궁에 몰아 넣는 것이 아니라 역사학의 정립과 발전을 위한 진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프랑스 문학의 이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4. Annales 學派
Le Fevre, Marc Bloch, Fernand Braudel, Charles Morage로 대표되는 아날학파는 1929년 창간호를 발표하면서 프랑스의 역사사조를 형성하였다. 페브르는 역사가의 관심대상은 인간행위 전체라고 여겼고 이를 탐구하기 위해서는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이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특히 사회학과 역사학이 상호교화의 관계를 맺어야 함을 그는 역설하였다. 이러한 방법상의 변화와 더불어 역사의 연구와 서술에서는 '과거에 무엇이 발생했는가'가 아니라 '과거의 사실이 어떻게 발생했는가'에 비중을 두게 되었다.
페브르과 브로흐는 독일 歷史主義의 直觀的 主觀的 反科學的 성향에 반하여 역사연구의 科學性을 천명하였다. 遺物의 再構成을 통해 死體의 집합에 다시 생명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관념론적 역사주의자들의 생각은 환상이고 역사가는 과학자처럼 연구의 대상을 창조해내야 하는 것이다. 아날 학파의 영향으로 1950년대 이후 특히 60년대에 歐美 각처에서 傳統史學에 대한 반발이 일어났는데 영국계 카아(E. H. Carr)는 "역사란 무엇인가"(What is History)에서 은연중에 아날 학파의 교훈과 실천을 역사가의 공통된 확신으로 선언하였다. 또한 Italy에서는 크로체의 입장으로부터 독일 영국에서는 아날의 새로운 태도와 방법이 요청되는 가운데서 새로운 역사서술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5. 최근의 동향과 과제
20세기 역사학은 하나의 지배적인 典型이 없이 난무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다양한 가운데서도 최근 강조되는 역사연구의 동향은 무엇인가? 단적으로 말해서 로빈슨의 새로운 역사학의 전통을 바탕으로 성립된 미국의 상대주의적 역사관과 프랑스 아날학파의 역사관이 현대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대주의적 관념에서 출발한 역사가의 시대정신이 크로체가 제시한 '현재의 역사'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카아는 이를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아날학파의 科學主義와 역사에 있어서 集團性이나 構造에 대한 이해의 요구는 역사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개발에 길을 열어주었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構造史學과 比較史學 등 새로운 역사서술의 동향이 설정되었으며 보조수단으로 실증적 개량화가 방법론상 최첨단에 위치하고 있다.
여전히 政治史 中心의 미궁에서 벗어나지 못한 역사가들이 산재해 있는 반면 오늘날에 역사연구 대상은 다양하고 포괄적인데 심지어는 '全體史'(total history)로서의 역사서술을 주장하는 선구적인 역사가들이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역사가들이 주의를 기울이는 全體史 즉, 總體로서의 역사서술이 과연 현대사학이 추구하는 綜合的 역사서술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을 지는 아직 회의적이다.
다양한 대상의 종합화를 위해 효율적인 방도는 무엇일까? 과연 역사가의 독자적인 탐구로서 다면적인 현상을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게 파악하여 서술할 수 있을까? 새로운 통찰과 기술을 위해서 역사가들은 필연적으로 사회과학에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역사가들은 사회과학자들의 업적 속에서 미처 발견치 못했던 흥미로운 것들을 찾게 되었다. 게다가 1940년 이후 고도의 産業社會化, 大衆의 出現, 文化의 移植, 都市化, Elite의 역할 등 새로운 국면을 전통적인 역사연구의 방법으로는 다룰수가 없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사회과학과의 상호교류는 역사가에게 처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율적인 방책이라는 신념이 오늘날 확고해졌다.
그런데 역사학이 사회과학의 방법론을 수용함에 있어서 非科學的 論理構造를 갖는 사회과학의 방법이 時間性이 결부된 全體性을 통찰하는 역사학에 어떻게 작용되어야 하는가? 또한 長期的인 社會構造的 要因이 短期的인 決斷과 어떻게 관련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것 등이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이다. 아무튼 다양한 역사학 인식론의 출현은 역사학을 미궁에 몰아 넣는 것이 아니라 역사학의 정립과 발전을 위한 진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프랑스 문학의 이해(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추천자료
자연주의 문학 (자연주의문학)
자연주의 문학작품과 인상주의 문학작품의 특징과 작품 분석 : 자연주의 인상주의
1990년대 문학 - 리얼리즘, 포스트모더니즘 문학
[고전주의][고전주의문학][고전주의음악][고전주의미술]고전주의의 시대적 배경, 고전주의 발...
[포르투갈][포르투갈 문화][포르투갈 역사][포르투갈 문학][포르투갈 예술][관광지][제로니무...
롤랑 바르트의 신화, 롤랑 바르트의 문학, 롤랑 바르트의 기호론,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론, ...
[낭만주의][낭만파][미술][발레][문학][음악][과학기술][건축]낭만주의(낭만파) 미술, 낭만주...
[1990년대][포스트모더니즘][표현의 자유][민족문학][미디어][북한연극]1990년대의 포스트모...
[서정시][서정시 개념][서정시 역사][서정시 창작과정][시적 화자][사회적 기능][중세문학]서...
[소설][리얼리즘][소설론][작가][로맨스][서사문학]소설과 리얼리즘, 소설과 소설론, 소설과 ...
[탈식민성][희곡][아나키즘][문학비평][김지하][도가철학][문헌정보][탈식민지]탈식민성과 희...
근대 문학과 문학의 변화
(방통대) 상상력과문학(상상력에 관하여 바슐라르와 뒤랑) [상상력과문학 상상력] - 가스통 ...
[문학교육론] 문학 텍스트 광고의 호소 전략 - 구성 형식(줄거리와 외부 평가, 작가 이미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