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 운영방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특수학급의 성격 탐색

Ⅲ.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실태

Ⅳ.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Ⅴ.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편적인 연구가 아니라,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수정 및 적용, 치료교육 교사 등의 배치,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실질적인 협력관계 모색 등 특수학급 운영의 실질적인 문제를 다루는 재구조화 연구가 요망된다. 즉, 지금까지 통합교육이라는 명분아래 이루어진 단순한 물리적 통합수준을 넘어 진정한 교육과정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연구가 요망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모형은 특수학급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므로 학급 현장에서 보다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 장애학생의 통합교육 질을 더욱 제고할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었으면 한다.
참고문헌
강영택·장병연. (1998). 특수학급 경영평가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교육부. (1998). 특수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8-11호(별책1).
교육부. (200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0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교육부. (2000). 특수교육 실태 조사서. 교육부 유아·특수교육과.
김동연. (1987). 특수학급 교육의 전개과정의 당면과제. 특수교육학회지, 제8권, 151-165.
김성애·정대영·박희찬. (1997).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국립특수교육원.
김영환·김길재·김원경·이석진·이유훈. (1992).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자료. 서울 : 교육부.
김원경·박희찬·이석무·이유훈·이해균·정대영·정봉도. (1995). 21세기를 향한 특수교육 장·단기 발전방안 연구. 연구 95-R-4. 국립특수교육원.
김정권·이유훈. (1997). 일반학교에서의 장애학생 지원체제. 국립특수교육원.
김춘일·이유훈. (1991). 학교수준 특수교육과정의 편성지침.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춘일·이유훈·정재권. (1995). 학교중심 특수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태와 문제. 연구 95-R-8. 국립특수교육원.
박승희. (1993). 지역사회중심 교육과정의 발달배경과 과제. 추국희 교수 정년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편, 특수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pp. 3-31).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박승희. (1996). 일반학급에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육교사의 역할. 초등교육연구, 제10집, 177-197.
박승희. (1999). 2000년대 한국 특수학급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 특수학교, 특수학급 및 일반학급의 관계구도의 진전. 특수교육학연구, 33(2), 35-66.
박승희. (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 1999년도 추계 학술연구발표대회. 특수교육학회, 73-112.
안병즙.(1977). 한국 최초의 양호학급 교육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과학 제6집, 31-47.
이나미·윤점룡. (1989). 특수학급 운영의 효율화 방안. 연구보고 RR 89-7. 한국교육개발원.
이청자. (1993). 특수학급의 발전적 방향모색을 위한 기초조사. '93 재활재단논문집. 한국재활재단.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1996). 제3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통합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특수교육과. (1998). 제5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특수학급 운영의 질적 향상을 위한 재고.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이유훈. (1996). 효율적인 개별화 교육계획의 수립과 적용방안. 제3회 국내세미나. 국립특수교육원.
이유훈. (1999). 학습자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 구성모형.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정대영. (1997). 학습도움학급의 이해. 특수교육, 22(2). 한국특수교육협회.
정봉도. (1996). 특수학급 운영의 개선방향. 특수교육학회지, 17(3), 25-43.
최태영. (1992). 특수학급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최환호 외. (1995). 특수학급 운영개선 방안 연구. 연구 95-R-6. 국립특수교육원.
Neary, T., Halvorsen, A., Kronberg, R., & Kelly, D. (1992). Curriculum adaptation for inclusive classrooms. California : Statewide Systems Change Project for the Integration of Severely Disabled Students in California. (ED 358 637).
Pugach, M. C., & Warger, C. L. (1993). Curriculum considerations. In J. I. Goodlad & T. C. Lovitt(Eds.). Integrating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pp. 125-148). New York : Merrill/ Macmillan.
Ryndak, D. L., & Apler, S. (1996). Curriculum content for student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 Boston: Allyn and Bacon.
Salisbury, C. L., Mangino, M., Petrigala, M., Rainforth, B., Syryca, S., Palombaro, M. M. (1994). Promoting the instructiona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rimary grades. Journal of Early Invention, 18(3), 311-322.
Salvia, J., & Ysseldyke, J. E. (1995). Assessment(6th ed.). Boston : Houghton Mifflin.
Stainback, S., & Stainback, W.(Eds). (1992). Curriculum considerations in inclusive classrooms : Facilitating learning for all students. Baltimore: Paul H. Brookes.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3.05.21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