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주인공들의 성격의 특질
(1) 반쪽 난봉꾼 Alec
(2) 남성위주의 성 이데올로기의 희생자 Tess
(3) 인습과 이상주의 사이에서 방황하는 Angel
3. 『춘향전』주인공과의 비교연구
(1) Alec과 변학도
(2) Tess와 춘향
(3) Angel과 이몽룡
4. 맺음말
※ BIBLIOGRAPHY
2. 주인공들의 성격의 특질
(1) 반쪽 난봉꾼 Alec
(2) 남성위주의 성 이데올로기의 희생자 Tess
(3) 인습과 이상주의 사이에서 방황하는 Angel
3. 『춘향전』주인공과의 비교연구
(1) Alec과 변학도
(2) Tess와 춘향
(3) Angel과 이몽룡
4. 맺음말
※ BIBLIOGRAPHY
본문내용
의 수청을 허락했다면 이몽룡 또한 그 동안 춘향이 겪은 고난과 시련을 아랑곳 하지 않고 Angel과 마찬가지로 춘향을 버리고 떠났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 아무리 진보적이고 이상적이 사상을 가지고 사회적 인습에 대항하여 극복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남성이 있다 할지라도 두 여주인공처럼 여성스스로 사회적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면 Angel과 이몽룡과 같은 이상주의자는 영원한 허상에 불과할 뿐이다.
He kissed her endlessly with his white lips, and held her hand, and said _ “I will not desert you! I will protect you by every means in my power, dearest love, whatever you may have done or not have done!”
) Tess of the d'Urbervilles, p. 493
위의 Angel의 말도 결국에는 Angel이 방황 끝에 얻은 결실로 Tess에게 돌아갔을 때 Tess가 그 동안 악연의 고리를 만들어 왔던 Alec을 죽이지 않았더라면 Angel은 Tess에게 말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을 것이고, Angel이 찾아왔던 여관에서의 만남이 Tess와의 마지막 만남이 되었을 것이다. Angel과 이몽룡은 얼핏보면 두 여주인공의 구원자들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Angel과 이몽룡의 내면을 관찰해보면 얼마나 이기적인 실패한 이상주의자들인지를 느낄 수 있다. 실패한 이상주의자들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힘과 의지만으로는 두 여중인공을 도와줄 수 없었고 Angel은 Tess스스로 Alec을 죽이게 함으로써 Tess의 비극적 삶의 방관자가 되었고, 이몽룡 역시 춘향을 위해서 사회적 인습을 버리지 못했으며 춘향을 구원해 주기는 했지만 사회적인 지위권력을 얻어 자신이 속한 사회와 타협한 도움을 준다.
4. 맺음말
지금까지 필자는 주인공들의 성격과 행위의 특질들을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에 도전하는 여성 인물이 겪는 시련과 좌절이 어떤 노력을 통해 극복되는 지를 잠시 살펴보았다. 또한 시공을 달리하는 한국의 고전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의 주요 등장인물들과의 대조를 통해 주인공들의 특질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 속에서 Alec은 반쪽 난봉꾼으로써 Tess의 비극적 삶의 원인 제공자이자, Tess가 여성의 운명을 극복하고 자유의 날개를 다는데 희생자가 되기도 한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Alec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폄 하 했지만, 필자는 비겁한 이상주의자 Angel보다는 Alec의 무절제한 행동을 용서할순 없지만 Alec에게 더 많은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싶다. Angel은 삶을 가장 결정적인 비극으로 몰고 간 실패한 이상주의자이며 그로 인해 새로운 희망을 품었던 Tess에게 다시 한번 고난과 시련을 주게된다. 여주인공 Tess는 농촌지역이 몰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계층적 위기를 가장 실감나게 겪었던 농촌의 중간계층 여성이다. Tess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Stoke_ D'Urberville 가에 가면서부터 비극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로 인해 Tess는 그곳에서 악연의 연결 고리로 끝까지 따라 다니는 19세기말 물질주의와 권위주의를 상징하는 가짜 귀족인 Alec을 만나 첫 번째 시련과 고난의 길에 들어서게 되고, 그녀에게 일말의 가능성과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 Angel과의 결혼에서도 Alec과의 과거를 고백하게 되면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실패한 이상주의자로 묘사되는 Angel에게 버림을 받아 다시 한번 시련과 고난을 겪는다. 이 작품 속에서 Tess가 겪는 시련과 고난은 19세기말 영국 사회에서의 급변하는 사회 현실에서의 기존의 사회 집단에 몰아닥친 변화에 의해 경제적, 계급적, 성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갈등을 겪으면서 느끼는 불안과 과도기적 사회 환경 속에서의 인간 관계 등 복합적인 여러 가지 문제로 발생하게 된 것임을 보여준다. 결국 그당시 순진한 시골 처녀에 불과했던 Tess는 반쪽 난봉꾼 Alec과 인습과 이상주의 사이에서 방황하는 Angel 이라는 그 당시 급변하는 사회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영향 아래에서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의 남성위주의 성 이데올로기의 희생자가 되어 비극적인 삶을 살아 가게된다. 하지만, Tess는 Alec과 Angel에게서 받은 깊은 상처를 현실로 받아들이고 인간다운 삶의 추구를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그 결과 자신이 꿈꿔온 Angel과의 사랑을 성취하고, 죽음이라는 진정한 자유에로의 탈출을 시도하게되면서 진정한 사랑과 진정한 자유를 얻게된다. 이 작품을 통해서 필자는 사회의 잘못된 인습이 한 개인에게 미치는 고통과 시련이 얼마나 큰지, 특히 한 여성의 삶에 얼마나 큰 비극적인 삶을 초래했는지에 대해서 가슴깊이 느낄 수 있었고, 그런 상황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의 사랑과 자유를 성취하기 위한 결단력 있는 Tess의 행동은 영원히 우리들의 마음속에 살아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
Ⅰ. Primary Source
Hardy, Thomas. Tess of the d'Urbervilles. Harmondsworth: Penguin Books, 1994.
하디, 토마스. 『테스』. 김보원 역.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Ⅱ. Secondary Sources
김길수. 『Thomas Hardy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인간상』. 국민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김명렬, 김영무. 『영국소설Ⅱ』.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0.
김보원. 『Thomas Hardy와 현대비극』.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4.
안홍규. 『Hardy 소설의 비극적 성격』.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83.
장정희. 『토마스 하디 삶과 문학세계』.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서울: 집문당, 1993.
『춘향전』. 서울:뿌리출판사, 1995.
황패강. 『조선왕조소설연구』.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91.
He kissed her endlessly with his white lips, and held her hand, and said _ “I will not desert you! I will protect you by every means in my power, dearest love, whatever you may have done or not have done!”
) Tess of the d'Urbervilles, p. 493
위의 Angel의 말도 결국에는 Angel이 방황 끝에 얻은 결실로 Tess에게 돌아갔을 때 Tess가 그 동안 악연의 고리를 만들어 왔던 Alec을 죽이지 않았더라면 Angel은 Tess에게 말할 기회조차 얻지 못했을 것이고, Angel이 찾아왔던 여관에서의 만남이 Tess와의 마지막 만남이 되었을 것이다. Angel과 이몽룡은 얼핏보면 두 여주인공의 구원자들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Angel과 이몽룡의 내면을 관찰해보면 얼마나 이기적인 실패한 이상주의자들인지를 느낄 수 있다. 실패한 이상주의자들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힘과 의지만으로는 두 여중인공을 도와줄 수 없었고 Angel은 Tess스스로 Alec을 죽이게 함으로써 Tess의 비극적 삶의 방관자가 되었고, 이몽룡 역시 춘향을 위해서 사회적 인습을 버리지 못했으며 춘향을 구원해 주기는 했지만 사회적인 지위권력을 얻어 자신이 속한 사회와 타협한 도움을 준다.
4. 맺음말
지금까지 필자는 주인공들의 성격과 행위의 특질들을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에 도전하는 여성 인물이 겪는 시련과 좌절이 어떤 노력을 통해 극복되는 지를 잠시 살펴보았다. 또한 시공을 달리하는 한국의 고전 판소리계 소설인 『춘향전』의 주요 등장인물들과의 대조를 통해 주인공들의 특질을 살펴보았다.
이 작품 속에서 Alec은 반쪽 난봉꾼으로써 Tess의 비극적 삶의 원인 제공자이자, Tess가 여성의 운명을 극복하고 자유의 날개를 다는데 희생자가 되기도 한다. 작품 속에서 화자는 Alec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폄 하 했지만, 필자는 비겁한 이상주의자 Angel보다는 Alec의 무절제한 행동을 용서할순 없지만 Alec에게 더 많은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싶다. Angel은 삶을 가장 결정적인 비극으로 몰고 간 실패한 이상주의자이며 그로 인해 새로운 희망을 품었던 Tess에게 다시 한번 고난과 시련을 주게된다. 여주인공 Tess는 농촌지역이 몰락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계층적 위기를 가장 실감나게 겪었던 농촌의 중간계층 여성이다. Tess는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 Stoke_ D'Urberville 가에 가면서부터 비극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로 인해 Tess는 그곳에서 악연의 연결 고리로 끝까지 따라 다니는 19세기말 물질주의와 권위주의를 상징하는 가짜 귀족인 Alec을 만나 첫 번째 시련과 고난의 길에 들어서게 되고, 그녀에게 일말의 가능성과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 Angel과의 결혼에서도 Alec과의 과거를 고백하게 되면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실패한 이상주의자로 묘사되는 Angel에게 버림을 받아 다시 한번 시련과 고난을 겪는다. 이 작품 속에서 Tess가 겪는 시련과 고난은 19세기말 영국 사회에서의 급변하는 사회 현실에서의 기존의 사회 집단에 몰아닥친 변화에 의해 경제적, 계급적, 성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갈등을 겪으면서 느끼는 불안과 과도기적 사회 환경 속에서의 인간 관계 등 복합적인 여러 가지 문제로 발생하게 된 것임을 보여준다. 결국 그당시 순진한 시골 처녀에 불과했던 Tess는 반쪽 난봉꾼 Alec과 인습과 이상주의 사이에서 방황하는 Angel 이라는 그 당시 급변하는 사회를 대표하는 인물들의 영향 아래에서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 속에서의 남성위주의 성 이데올로기의 희생자가 되어 비극적인 삶을 살아 가게된다. 하지만, Tess는 Alec과 Angel에게서 받은 깊은 상처를 현실로 받아들이고 인간다운 삶의 추구를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는다. 그 결과 자신이 꿈꿔온 Angel과의 사랑을 성취하고, 죽음이라는 진정한 자유에로의 탈출을 시도하게되면서 진정한 사랑과 진정한 자유를 얻게된다. 이 작품을 통해서 필자는 사회의 잘못된 인습이 한 개인에게 미치는 고통과 시련이 얼마나 큰지, 특히 한 여성의 삶에 얼마나 큰 비극적인 삶을 초래했는지에 대해서 가슴깊이 느낄 수 있었고, 그런 상황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잃지 않고 자신의 사랑과 자유를 성취하기 위한 결단력 있는 Tess의 행동은 영원히 우리들의 마음속에 살아 있을 것이다.
BIBLIOGRAPHY
Ⅰ. Primary Source
Hardy, Thomas. Tess of the d'Urbervilles. Harmondsworth: Penguin Books, 1994.
하디, 토마스. 『테스』. 김보원 역.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Ⅱ. Secondary Sources
김길수. 『Thomas Hardy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인간상』. 국민대 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김명렬, 김영무. 『영국소설Ⅱ』.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0.
김보원. 『Thomas Hardy와 현대비극』.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4.
안홍규. 『Hardy 소설의 비극적 성격』.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83.
장정희. 『토마스 하디 삶과 문학세계』.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서울: 집문당, 1993.
『춘향전』. 서울:뿌리출판사, 1995.
황패강. 『조선왕조소설연구』.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91.
추천자료
[텔레마케팅]한국사회에서의 유망 여성 직업 분석 - 텔레마케터의 업무와 현황, 역할, 전망분석
입양에 대한 조사
인터넷상 음란물 관련법
페미니스트 사회복지실천 모델
디자인 경영
혼전 동거의 찬성입장 및 반대입장, 혼전 동거에 대한 나의 견해, 혼전 동거의 실태
전통주
최고경영자 여성의 능력
여성 자원봉사 활동의 의의와 실태와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혼전임신,임신과성,사회문제
[민속학개론] 한국의 민속신앙 - 민속신앙,분류, 가신신앙, 무속신앙
현대사회의 변화하는 가족관을 반영한 신문기사 내용을 스크랩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사회복지] 사회복지 관련 영화를 자유롭게 시청하고 난 후 사회복지 법제적인 관점으로 서론...
[여성복지론] 미혼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