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학의 특질
1.음운
2.어휘
3.문법
4.문자
연구방법론
1.일반언어학
2.개별언어학
3.공시언어학
4.통시언어학
5.비료언어학
6.대조언어학
7.응용언어학
1.음운
2.어휘
3.문법
4.문자
연구방법론
1.일반언어학
2.개별언어학
3.공시언어학
4.통시언어학
5.비료언어학
6.대조언어학
7.응용언어학
본문내용
은 구조가 다른 언어와 대조하여 봄으로써 하나의 언어만을 연구할 때 깨닫지 못하던 언어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외국어 교육에 응용하면 언어교육의 효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언어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내어 언어의 본질을 해명하려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⑦응용언어학
언어학의 연구 결과를 어떤 실용적인 문제에 적용하는 분야를 應用言語學(응용언어학)이라 하고 그 영역으로는 언어정책(언어계획),언어교육론, 학교문법(규범문법)이 속한다. 응용언어학은 "언어학"이 "응용"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가르킨다.
응용 언어학 (applied linguistics)에는 언어와 사회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사회 언어학 (sociolinguistics), 언어 처리 과정을 컴퓨터에 적용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전산 언어학 (computational linguistics), 언어와 인간의 마음(mind)을 연구하는 심리언어학 (psycholinguistics), 기호로서의 언어를 연구하는 기호학 (semiotics), 언어와 뇌를 연구하는 신경언어학 (nuerolinguistics), 언어 습득, 교육 등을 연구하는 언어교수법 등이 있다.
⑦응용언어학
언어학의 연구 결과를 어떤 실용적인 문제에 적용하는 분야를 應用言語學(응용언어학)이라 하고 그 영역으로는 언어정책(언어계획),언어교육론, 학교문법(규범문법)이 속한다. 응용언어학은 "언어학"이 "응용"될 수 있는 모든 분야를 가르킨다.
응용 언어학 (applied linguistics)에는 언어와 사회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사회 언어학 (sociolinguistics), 언어 처리 과정을 컴퓨터에 적용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전산 언어학 (computational linguistics), 언어와 인간의 마음(mind)을 연구하는 심리언어학 (psycholinguistics), 기호로서의 언어를 연구하는 기호학 (semiotics), 언어와 뇌를 연구하는 신경언어학 (nuerolinguistics), 언어 습득, 교육 등을 연구하는 언어교수법 등이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내포와 외연
학교문법:9품사/ 최현배, 허웅:10품사/ 정렬모:5품사를
한자차용표기법
차자표기의 발달/ 향찰,이두,구결의 차이점
언간(諺簡)으로 알아본 조선시대 생활사
2009년 2학기 국어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훈민정음 창제,친제,어제)
(국어사)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하여 세종의 친제(親製)임을 주장한 논문과 명분상의 어제(御製...
[사이시옷][국어]국어 사이시옷의 개념, 국어 사이시옷의 배경, 국어 사이시옷의 규칙, 국어 ...
국어 음운론
반의어 분류 및 그 결정 요인
국어지식 교육을 위한 재재 활용 (제 7차 5,6학년 교과서) [국어의 본질]
합용병서의 발음에 관한연구
국어사의 시대별 구분과 시대별 특징을 서술하시오
음소의 정의 (음소의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