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어로 인정하지 아니했다. 그리고 명사도 동사와 똑같이 활용태를 세웠으며 동사에도 명사와 같이 격을 세운 점이다. 그리고 정렬모는 이러한 송하의 문법이론을 전적으로 모방했다.
<참고문헌>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고영근 저, 탑출판사(1998)
국어학 발전사, 권재선 저, 현대국어학 편, 우골탑(1988)
학교 문법론, 이관규 저, 월인출판(1999).
<참고문헌>
표준국어문법론, 남기심고영근 저, 탑출판사(1998)
국어학 발전사, 권재선 저, 현대국어학 편, 우골탑(1988)
학교 문법론, 이관규 저, 월인출판(1999).
추천자료
우적가에 대해서☆
보현십원가에 대해서☆
향가의 개념 및 명칭
향가의 전반적인 이해와 고찰
국문향가 14수
의존명사의 유형분류 및 의미
찬기파랑가
향가의 불교적 특징
한국어의 특징
[향가][신라][통일신라]신라시대의 향가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제망매가, 통일신라시...
[향가][도솔가][신라 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시대) 도솔가의 배경설화, 향가(신라시대...
제망매가(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솔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 향가), ...
[향가][향가 의미][향가 성격][향가 발생][향가 형식][향가 해독][향가 작가층][작품집][신라...
원왕생가 문학적해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