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랑스 요리의 일반적 특징
2. 프랑스 각 지방의 요리의 특징
3. 식사할 때의 예절
4. 프랑스 식사 풀 코스
5. 프랑스 레스토랑의 종류
2. 프랑스 각 지방의 요리의 특징
3. 식사할 때의 예절
4. 프랑스 식사 풀 코스
5. 프랑스 레스토랑의 종류
본문내용
가게마다 내놓는 포도주의 종류와 생산자가 다르다. 대개는 포도주만 마시지만 출출해지만 안주를 먹기도 한다. 안주는 우리가 생각하는 안주와는 좀 다르다.
출출할 때 먹는 가벼운 식사라고나 할까. 이를 카스 크루트casse-croute라고 하는데 삶은 달걀이나 소시지, 햄, 치즈 등이다. 값은 20-30프랑 정도이고 영업 시간도 오후에 쉬는 시간이 없으므로 언제든지 와서 부담없이먹을 수 있다. 비스트로에서 레스토랑으로 승격한 가게 중에서 정식을 파는 곳도 있다. 이런 집은 술보다 음식 위주이며, 50-150프랑 정도로 고기낌이나 고기 구이에 야채를 곁들여 내놓는다.
◈ <브라스리>
비스트로보다 더 대중적인 가게로 비어홀이라는 뜻이지만 한국의 대폿집에 더 가깝다.
비스트로보다는 규모가 크고 낮부터 밤 1시까지 영업한다. 주로 맥주를 취급하는데, 안주는카스 크루트 뿐만 아니라 간단한 요리도 내놓는다. 맥주를 마시면서 먹고 싶은 것을 한두 접시 주문하여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음식값은 30프랑 정도이다.
◈ <살롱 드 테>
멋쟁이 여성들이 끝없이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한때를 즐기는 가게다. 다방과 제과점을
합친 일종의 찻집이다. 가게의 분위기도 카페보다 훨씬 우아하며,
음식값은 25-40프랑 정도다.
파리의 이름 있는 레스토랑은 예약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약은 1주일 전쯤, 늦어도 2-3일 전에 해야 한다.
예약은 직접 전화로 하거나 호텔의 프론트에 부탁한다.
이때 날짜, 사람, 수, 이름 등을 확실하게 일러주어야 한다. 영업 시간은 점심 12:00-15:00, 저녁 19:00-23:00가
표준이다. 시간이 지나면 문을 닫아버리므로 점심은 늦어도 12:30까지, 저녁은 21:00까지 도착해야 한다. 이 시간 외에는 극장 근처의 레스토랑이나 카페, 비스트로, 브라스리 등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예약의 취소는 설사 30분 전 이라도 반드시 알려주어야 한다, 별로 미안해할 것은 없다.
레스토랑에 들어서면 예약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마음대로 자리에 앉아서는 안 된다.
입구에 서 있으면 예약 여부를 묻고 나서 자리에 안내한다. 자리에 앉으면 가르송이 메뉴를 들고 온다. (프랑스에서는 메뉴를 라 카르트la carte라고 하고, le menu는정식을 뜻한다.) 식사 주문 전에 아페리티프(식전에 식욕을 돋우기 위해 마시는 술) 주문을 받기도 하는데, 아페리티프는 키르, 베르모트, 샴페인 등이 있으나 생략해도 된다.
출출할 때 먹는 가벼운 식사라고나 할까. 이를 카스 크루트casse-croute라고 하는데 삶은 달걀이나 소시지, 햄, 치즈 등이다. 값은 20-30프랑 정도이고 영업 시간도 오후에 쉬는 시간이 없으므로 언제든지 와서 부담없이먹을 수 있다. 비스트로에서 레스토랑으로 승격한 가게 중에서 정식을 파는 곳도 있다. 이런 집은 술보다 음식 위주이며, 50-150프랑 정도로 고기낌이나 고기 구이에 야채를 곁들여 내놓는다.
◈ <브라스리>
비스트로보다 더 대중적인 가게로 비어홀이라는 뜻이지만 한국의 대폿집에 더 가깝다.
비스트로보다는 규모가 크고 낮부터 밤 1시까지 영업한다. 주로 맥주를 취급하는데, 안주는카스 크루트 뿐만 아니라 간단한 요리도 내놓는다. 맥주를 마시면서 먹고 싶은 것을 한두 접시 주문하여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다. 음식값은 30프랑 정도이다.
◈ <살롱 드 테>
멋쟁이 여성들이 끝없이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한때를 즐기는 가게다. 다방과 제과점을
합친 일종의 찻집이다. 가게의 분위기도 카페보다 훨씬 우아하며,
음식값은 25-40프랑 정도다.
파리의 이름 있는 레스토랑은 예약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약은 1주일 전쯤, 늦어도 2-3일 전에 해야 한다.
예약은 직접 전화로 하거나 호텔의 프론트에 부탁한다.
이때 날짜, 사람, 수, 이름 등을 확실하게 일러주어야 한다. 영업 시간은 점심 12:00-15:00, 저녁 19:00-23:00가
표준이다. 시간이 지나면 문을 닫아버리므로 점심은 늦어도 12:30까지, 저녁은 21:00까지 도착해야 한다. 이 시간 외에는 극장 근처의 레스토랑이나 카페, 비스트로, 브라스리 등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예약의 취소는 설사 30분 전 이라도 반드시 알려주어야 한다, 별로 미안해할 것은 없다.
레스토랑에 들어서면 예약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마음대로 자리에 앉아서는 안 된다.
입구에 서 있으면 예약 여부를 묻고 나서 자리에 안내한다. 자리에 앉으면 가르송이 메뉴를 들고 온다. (프랑스에서는 메뉴를 라 카르트la carte라고 하고, le menu는정식을 뜻한다.) 식사 주문 전에 아페리티프(식전에 식욕을 돋우기 위해 마시는 술) 주문을 받기도 하는데, 아페리티프는 키르, 베르모트, 샴페인 등이 있으나 생략해도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세계의 음식문화) 2002년 월드컵 참가국들의 음식문화 탐구
한국음식의 세계화 전략 방안
[추석][한가위][추석명절][한가위명절][놀이][풍습][시절음식][세계의 추석]추석(한가위)의 ...
터키음식과 케밥
[독일테마기행] 독일의 음식문화 - 독일음식문화의 역사부터 소시지 까지.ppt
[독일테마기행] 독일의 음식문화 - 독일음식문화의 역사부터 소시지 까지
2016년 1학기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베트남 [Vietnam]음식문화의 이해 [베트남 음식문화]
이탈리아 (Italy) 음식에 대한 이해 (이탈리아 음식문화)
2017년 1학기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포르투갈음식문화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