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테니스의 동작 분석
2.테니스에 있어서 올바르 기본기는 생명
3.스포츠 바이오미캐닉스
2.테니스에 있어서 올바르 기본기는 생명
3.스포츠 바이오미캐닉스
본문내용
지장이 없다면 무거운 것이 ㅣ좋다.
M(Momentum:운동량)=M( 질량 )XV( 속도 )
* 근육의 신경회로를 바꾸자
지도자의 역할은 선수들에게 게임과 관련된 신체적 법칙을 이해시키고, 그에 대처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그러나, 게임향상의 궁긍적 책임은 선수 당사자에게 있으므로 아무리 훌륭한 지도자라도 선수가 오랜 악습을 버리지 못하면 별도리가 없다. 나쁜 근 육 기억은 과감히 바꾸어야 된다.
지금까지 잡아오던 라켓그립을 바꾸면 게임의 수행능력이 바뀌므로 게임성취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라켓그립에 만족 하지 못해서 게임성취에 영향을 가져왔다면 코치와 의논해서 과감히 바꾸는 것이 좋다.
모터런닝(MOTOR LEARNING)에서 볼때 개인차는 있겠지만 우리 근욱에 기억된 신경회로는 3개월이면 충분히 바꿀수 있다.
큰힘을 얻을 수 있는 방법
2. 우력(MOMENT of COUPLE)
라켓을 잡을 때 둘째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를 손가락 하나 정도 들어갈 수 있도록 떼어서 라켓을 쥐는 데 그 이유는 무 엇때문일까?
그것은 우력의 원리에 의해서 큰힘을 얻기위한 방법이다.
우력=힘X지름
① 우력=20X10=200(kg)
② 우력=20X15=300(kg)
3. 라켓을 쥐는 강도
라켓을 쥐는 움직일때와 임팩트 순간에느 어떻게 쥐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를 연구한 보고서는 거의 없다. 단지 라켓을 쥐고 볼을 기다릴 때는 손안에 새가 한마리 있다고 생각하고, 꽉 쥐면 죽을 것이고, 느슨하게 쥐면 날아가 버릴테니까 그 중간 정도의 느낌으로 쥐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라고 말하고있다.
생체역학적으로 볼때 라켓 백스윙 전부터(초보자에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 팔에 큰 힘이 들어가서 팔근육에 긴장상태(토너스) 가 나타나서 볼을 임팩트 시 큰힘을 쓰지 못하고,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상해의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라켓 그립을 쥘 때 생체역학적 이득을 보려면, 볼을 기다릴때는 라켓을 가볍게 부드럽게
쥐고, 볼을 때리는 순간에는 라가그립을 꽉쥐어 고정되도록 하고, 볼이 라켓헤드의 스윗 ㅏ스퐈트에 정확히 맞도록 해야 효과적 인 충격력이 주어진다.
또 힘의조정, 시간의 조정(타이밍), 공간의 조정, 예측력이 뛰어나야 좋은 타구가 된다.
다음은 라켓 그립을 고정시킨(CLAMPED GRIP)것과 그대로 세워둔 (LOOSEST GRIP) 그립과의 실험이다.
(a)고정시킨 그립의 리바운드가 크게 나타났으며(반발계수) 센터의 밖에 볼이 임팩트 되어도 반발 계수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 다.(잭.그로펠)
5. 무릎굽힘(BEND KNEE)
생체역학적으로 우리의 힘은 골격근의 수축에 의해서 나오므로 골격근을 수축하려면, 팔을 구부리거나 다리를 구부려야 한다. 흔히 무릎굽힘이 좋지않아서 빨리 움직일 수 없고, 파워 볼을 칠 수 없으며, 허리를 다치거나 무릎 등에 상해를 입기쉽다. 그러 므로, 무릎을 잘 굽히지 못하는 선수는 대선수가 될수 없다. 세계적 정상급 프로선수 중 베커, 에드버거, 랜들, 나블라틸로바 등 의 무릎굽힘은 생체역학적 기본원리에 따르고 있다. 무릎굽힘이 우수하면 안정성(STABILITY) 원리에 의해서 볼에 빨리 접근할 수 있고, 볼을 안정되게 잘 칠 수 있고, 급히 방향을 바꾸거나 하여도 잘 넘어지지 않으며, 스탠스를 잘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강 한 타구를 할 수 있다. 특히 베커, 아가시는 서브때 뉴톤의 운동 제3법칙에 의한 강한 반발력을 얻기위해 무릎을 충분히 굽히고 있다. 생체역학적 테니스 경기시 무릎굽힘의 최적각도는 110도 정도이다.
6. 기합소리
생리학적으로(PHYSIOLOGY) 태권도, 씨름, 배구, 테니스 타구시 호흡과 동시에 기합소리가 얼마만한 힘을 생성하는지는 알아내 지 못하고 있지만 운동수행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아가시, 제니퍼등 훌륭한 선수들은 볼을 치는 순간 기 합을 넣고 있다. 정확한 타이밍, 리듬, 정시집중(기를 모음), 강한 타구에 커다란 도움이 된다는 것은 사실이다. 호흡을 내쉬면 서 크게 작게 기합을 넣어서 경기를 행하면 경기수행에 커다란 도움이 되므로 기합소리는 한마디로 과학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 고, 테니스 경기시 호흡을 잘 조절할 수 있다면 경기 수행에 크게 도움을 주어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호흡을 내뿜음과 동 시에 기합을 넣어 타구하는 것이 보다 큰 파워를 얻을 것이다.
나브라틸로바처럼 언더스핀으로 떠오르는 볼을 히트한다.
7. 라이징볼(THE BALL ON THE RISE)
지미 코너스가 서비스리턴시 그렇게 강력하게 리턴하는 것은 무슨 비법일까? 또, 안드레 아가시가 포핸드를 화려하게 치는 것 은 무슨 비법일까? 그들은 때에 따라서 떠오르는 볼을 히트함으로써 상대방을 압도하고 있다. 우리가 라이징볼을 치는 것을 배운 다면 우리의 게임이 새로와질 것이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같이 공이 바운드된 후 일찍 치는 것이다. 그러면 적은 노력으 로 큰 파워를 얻을수 있고, 전략상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1. 우리는 상대에게 리턴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는다.
2. 더 큰 각으로 공격할 수 있다.
3. 베이스라인에서 옆으로 덜 뛰어가도 된다. 그리고 상대를 현혹시킬 수 있다.
* 라이징볼을 치는 기회(3가지)
1. 서브리턴(RETURN of SERVE)
모니카 셀레스처럼 몸의 밸런스와 컨트롤이 좋아야 된다.
공격적인 서브리턴을 할때
첫째:베이스라인 안에서 움직인다.
둘째:떠오르는 볼을 친다.
2. 베이스라인 랠리(BASELINE RALLY)
안드레 아기시처럼 탑스핀으로 때려라.
상대선수가 리듬을 타고 끈질기게 안장된 스트록을 한다면 우리는 1-2보 앞으로 전진하 여 떠오르는 볼로 갑자기 허를 찌를 수 있다. 그러면 안정을 깨뜨릴 수 있다.
3. 패싱샷(PASSING SHOT)
패싱샷을 때리기 전 떠오르는 볼을 기다릴 때 상대방은 아마 네트 가까이 있을 것이다. 만약 우리가 라이징 볼을 친다면 빠른 스피드를 얻을 수 있고 패싱의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라이징볼을 때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타이밍이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왜냐 하면 빠른 반응 즉 동작으로 더 욱더 짧은 시간에 볼을 잡아야 되기 때문이다.
M(Momentum:운동량)=M( 질량 )XV( 속도 )
* 근육의 신경회로를 바꾸자
지도자의 역할은 선수들에게 게임과 관련된 신체적 법칙을 이해시키고, 그에 대처하도록 이끄는 것이다. 그러나, 게임향상의 궁긍적 책임은 선수 당사자에게 있으므로 아무리 훌륭한 지도자라도 선수가 오랜 악습을 버리지 못하면 별도리가 없다. 나쁜 근 육 기억은 과감히 바꾸어야 된다.
지금까지 잡아오던 라켓그립을 바꾸면 게임의 수행능력이 바뀌므로 게임성취에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라켓그립에 만족 하지 못해서 게임성취에 영향을 가져왔다면 코치와 의논해서 과감히 바꾸는 것이 좋다.
모터런닝(MOTOR LEARNING)에서 볼때 개인차는 있겠지만 우리 근욱에 기억된 신경회로는 3개월이면 충분히 바꿀수 있다.
큰힘을 얻을 수 있는 방법
2. 우력(MOMENT of COUPLE)
라켓을 잡을 때 둘째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 사이를 손가락 하나 정도 들어갈 수 있도록 떼어서 라켓을 쥐는 데 그 이유는 무 엇때문일까?
그것은 우력의 원리에 의해서 큰힘을 얻기위한 방법이다.
우력=힘X지름
① 우력=20X10=200(kg)
② 우력=20X15=300(kg)
3. 라켓을 쥐는 강도
라켓을 쥐는 움직일때와 임팩트 순간에느 어떻게 쥐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가를 연구한 보고서는 거의 없다. 단지 라켓을 쥐고 볼을 기다릴 때는 손안에 새가 한마리 있다고 생각하고, 꽉 쥐면 죽을 것이고, 느슨하게 쥐면 날아가 버릴테니까 그 중간 정도의 느낌으로 쥐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라고 말하고있다.
생체역학적으로 볼때 라켓 백스윙 전부터(초보자에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 팔에 큰 힘이 들어가서 팔근육에 긴장상태(토너스) 가 나타나서 볼을 임팩트 시 큰힘을 쓰지 못하고, 동작이 부자연스러워 상해의 위험성이 상당히 높다.
라켓 그립을 쥘 때 생체역학적 이득을 보려면, 볼을 기다릴때는 라켓을 가볍게 부드럽게
쥐고, 볼을 때리는 순간에는 라가그립을 꽉쥐어 고정되도록 하고, 볼이 라켓헤드의 스윗 ㅏ스퐈트에 정확히 맞도록 해야 효과적 인 충격력이 주어진다.
또 힘의조정, 시간의 조정(타이밍), 공간의 조정, 예측력이 뛰어나야 좋은 타구가 된다.
다음은 라켓 그립을 고정시킨(CLAMPED GRIP)것과 그대로 세워둔 (LOOSEST GRIP) 그립과의 실험이다.
(a)고정시킨 그립의 리바운드가 크게 나타났으며(반발계수) 센터의 밖에 볼이 임팩트 되어도 반발 계수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 다.(잭.그로펠)
5. 무릎굽힘(BEND KNEE)
생체역학적으로 우리의 힘은 골격근의 수축에 의해서 나오므로 골격근을 수축하려면, 팔을 구부리거나 다리를 구부려야 한다. 흔히 무릎굽힘이 좋지않아서 빨리 움직일 수 없고, 파워 볼을 칠 수 없으며, 허리를 다치거나 무릎 등에 상해를 입기쉽다. 그러 므로, 무릎을 잘 굽히지 못하는 선수는 대선수가 될수 없다. 세계적 정상급 프로선수 중 베커, 에드버거, 랜들, 나블라틸로바 등 의 무릎굽힘은 생체역학적 기본원리에 따르고 있다. 무릎굽힘이 우수하면 안정성(STABILITY) 원리에 의해서 볼에 빨리 접근할 수 있고, 볼을 안정되게 잘 칠 수 있고, 급히 방향을 바꾸거나 하여도 잘 넘어지지 않으며, 스탠스를 잘 취할 수 있다. 그리고 강 한 타구를 할 수 있다. 특히 베커, 아가시는 서브때 뉴톤의 운동 제3법칙에 의한 강한 반발력을 얻기위해 무릎을 충분히 굽히고 있다. 생체역학적 테니스 경기시 무릎굽힘의 최적각도는 110도 정도이다.
6. 기합소리
생리학적으로(PHYSIOLOGY) 태권도, 씨름, 배구, 테니스 타구시 호흡과 동시에 기합소리가 얼마만한 힘을 생성하는지는 알아내 지 못하고 있지만 운동수행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아가시, 제니퍼등 훌륭한 선수들은 볼을 치는 순간 기 합을 넣고 있다. 정확한 타이밍, 리듬, 정시집중(기를 모음), 강한 타구에 커다란 도움이 된다는 것은 사실이다. 호흡을 내쉬면 서 크게 작게 기합을 넣어서 경기를 행하면 경기수행에 커다란 도움이 되므로 기합소리는 한마디로 과학이라 말할 수 있다. 그리 고, 테니스 경기시 호흡을 잘 조절할 수 있다면 경기 수행에 크게 도움을 주어 좋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호흡을 내뿜음과 동 시에 기합을 넣어 타구하는 것이 보다 큰 파워를 얻을 것이다.
나브라틸로바처럼 언더스핀으로 떠오르는 볼을 히트한다.
7. 라이징볼(THE BALL ON THE RISE)
지미 코너스가 서비스리턴시 그렇게 강력하게 리턴하는 것은 무슨 비법일까? 또, 안드레 아가시가 포핸드를 화려하게 치는 것 은 무슨 비법일까? 그들은 때에 따라서 떠오르는 볼을 히트함으로써 상대방을 압도하고 있다. 우리가 라이징볼을 치는 것을 배운 다면 우리의 게임이 새로와질 것이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같이 공이 바운드된 후 일찍 치는 것이다. 그러면 적은 노력으 로 큰 파워를 얻을수 있고, 전략상 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1. 우리는 상대에게 리턴할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는다.
2. 더 큰 각으로 공격할 수 있다.
3. 베이스라인에서 옆으로 덜 뛰어가도 된다. 그리고 상대를 현혹시킬 수 있다.
* 라이징볼을 치는 기회(3가지)
1. 서브리턴(RETURN of SERVE)
모니카 셀레스처럼 몸의 밸런스와 컨트롤이 좋아야 된다.
공격적인 서브리턴을 할때
첫째:베이스라인 안에서 움직인다.
둘째:떠오르는 볼을 친다.
2. 베이스라인 랠리(BASELINE RALLY)
안드레 아기시처럼 탑스핀으로 때려라.
상대선수가 리듬을 타고 끈질기게 안장된 스트록을 한다면 우리는 1-2보 앞으로 전진하 여 떠오르는 볼로 갑자기 허를 찌를 수 있다. 그러면 안정을 깨뜨릴 수 있다.
3. 패싱샷(PASSING SHOT)
패싱샷을 때리기 전 떠오르는 볼을 기다릴 때 상대방은 아마 네트 가까이 있을 것이다. 만약 우리가 라이징 볼을 친다면 빠른 스피드를 얻을 수 있고 패싱의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라이징볼을 때린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타이밍이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왜냐 하면 빠른 반응 즉 동작으로 더 욱더 짧은 시간에 볼을 잡아야 되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과학적 분석
운동과동작[기본간호실습]
[척수][척수손상][척수손상환자]척수의 정의, 척수의 구조, 척수의 손상, 척수의 손상 원인과...
[유산소운동][유산소운동 강도측정][유산소운동시 올바른 영양섭취]유산소운동의 정의, 유산...
[건강][운동][유산소운동][무산소운동][건강의 의미][운동의 중요성][운동의 영향]건강의 의...
과학적 관리론에 대한 모든 분석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학습자료, 중복시각장애아(중복시각장애아동)의 음악치...
일제시대운동(일제강점기운동)과 독립운동기지건설, 6.10만세운동, 일제시대운동(일제강점기...
[신체이미지, 신체이미지와 마케팅, 신체이미지와 영화시대, 신체이미지와 인터넷, 신체이미...
[작업관리의 역사] 작업관리의 발전과정(발달과정) -테일러(Taylor)의 시간연구와 과학적관리...
[★우수레포트★, 사회복지행정이론] 사회복지행정이론의 개관, 사회복지 고전이론 분석(관료제...
필라테스트레이닝 - MAT2 복부단련 10가지 동작 분석
아동음악과 동작_몸 흔들기(비 이동운동)수업계획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