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울 월드컵 경기장(한국)
2.삿뽀로 월드컵 경기장(일본)
3.서귀포 월드컵 경기장(한국)
4.인천 월드컵 경기장(한국)
5.미야기 월드컵 경기장(일본)
6.광주 월드컵 경기장(한국)
7.대구 월드컵 경기장(한국)
8.오이타 월드컵 경기장(일본)
9.전주 월드컵 경기장(한국)
...
2.삿뽀로 월드컵 경기장(일본)
3.서귀포 월드컵 경기장(한국)
4.인천 월드컵 경기장(한국)
5.미야기 월드컵 경기장(일본)
6.광주 월드컵 경기장(한국)
7.대구 월드컵 경기장(한국)
8.오이타 월드컵 경기장(일본)
9.전주 월드컵 경기장(한국)
...
본문내용
전통적인 기둥을 상징화하고 있다. 또한 인장케이블은 전통악기인 가야금 12현을 구현하고 있다.
전주경기장의 또 다른 이름은 밤이 아름다운 경기장이다. 국제경기 및 HDTV 중계를 대비한 조도 확보하고, 웅장하고 부드러운 조명으로 역동적인 전주의 힘과 미래를 표출한다. 상향 조명으로 건축적 상징성을 3차원의 공간으로 유도하였고, 야간 경기시 대낮같이 밝은 경기장 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다.
수원 월드컵 경기장(한국)
------------------------
(2003. 5. 21)
■ 구 분
전용구장
■ 규 모
4만 3138석
■ 비 용
2522억원
■ 공 사
1997년 6월에 시작해서 2001년 5월 13일 개장
■ 특 징
독특한 날개모양의 지붕. 수원 화성의 모양을 본뜬 역사성과 하이테크 건축의 조화
수원 월드컵경기장은 관중들이 열광적인 분위기를 더 쉽게 느끼고 선수들의 동적인 움직임을 충분히 전달되도록 디자인 목표를 정하고, multi-media가 지배할 21세기에 적합한 구장이 되도록 TV중계를 고려한 좌석배치와 조명 등을 설치했다.
또한 대지에 방향성을 주며 진입광장에서 중앙광장으로 사람들을 끌어 들이는 대담한 형태의 전면테크는 수원의 성곽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대형 지붕을 바치는 철골 트러스의 상세는 한국 전통건축의 지붕을 은유하며 상징적인 날개형 지붕은 미래지향적인 수원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요코하마 월드컵 경기장(일본)
----------------------------
(2003. 5. 28)
■ 구 분
종합경기장
■ 규 모
7만 564석
■ 비 용
600억엔
■ 공 사
1994년 1월에 시작해서 1997년 10월 완공
■ 특 징
아시아 최대 규모의 종합경기장으로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성이 뛰어난 건축
일본최대규모의 경기장으로 한일월드컵경기장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공기구동식 자동이동 카메라를 설치한 것을 비롯하여 텔레비전 또는 신문 등의 보도용 카메라를 스탠드·필드·지붕 등의 여러 각도에 배치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으며 지붕은 스텐레스 금속판으로 관객석의 75%를 덮고있다.
또한, 폐기물을 이용해 경기장내 전력을 공급하며 빗물을 이용해 잔디 및 화장실관리를 하는 등 에너지절약형 경기장이기도 하다. 21세기를 지향하는 시설로서 하이테크놀로지를 구사하면서 자원의 유효적 이용에도 배려하고 있다. 시의 쓰레기 소각시설에서 발생되는 잉여 전력을 활용하여 경기장 내외의 일상 전력으로 사용한다.
부산 월드컵 경기장(한국)
------------------------
(2003. 6. 4)
■ 구 분
종합경기장
■ 규 모
5만 2282석
■ 비 용
2233억원
■ 공 사
1996년 3월에 시작해서 2001년 9월 16일 개장
■ 특 징
원을 경기장의 형태로 형상화. 2002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관중석의 100% 지붕
월드컵과 2002 아시안 게임을 치룬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은 천지의 조화를 이루는 대공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형인 경기장 둘레에 토성의 띠처럼 데크를 설치, 편협된 지역성을 탈피하여 외계와의 합일(合一)을 유도한다는 것이 기본개념이다.
또한, 경기장 지붕은 반돔형태의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날씨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방위색인 청, 백, 적, 흑색을 적용하여 원형경기장이 4수호신의 중심에 오도록 하였으며, 이는 이용자들의 동선을 유도하는 기능도 하게된다.
대전 월드컵 경기장(한국)
------------------------
(중간고사 레포트)
■ 구 분
전용구장
■ 규 모
4만 1295석
■ 비 용
1478억원
■ 공 사
1998년 12월에 시작해서 2001년 9월 13일 개장
■ 특 징
개폐식 지붕의 하이테크 경기장.
지겟다리 구조의 독특한디자인.
한국의 전통주거 공간인 안마당과 같은 아늑함을 추구하였으며 필요없는 가식적 장식을 배제하고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구조적 역동성을 표출했다.
특히 한국 최초의 반 개폐식 지붕을 도입한 구장으로 꼽힌다. 경기장의 스탠드 부분에는 P.C 공법을 도입함으로써 시공성 및 경제성을 추구했고 이를 통해 국내 건축기술의 차원을 한 단계 끌어 올렸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제부터는 대전 월드컵경기장을 직접 다녀와 찍은 사진을 보며 감상해 보도록 하겠다.
대전 월드컵 경기장 입구에 있는 대형 피버노바 공이다. 주변에 조형물이 별로 없어서 경기장이 조금은 썰렁한 느낌이 든다. 단순함도 좋지만 경기장에 어울리는 조형물이 있는게 더 나을것 같다.
경기장의 서쪽 입구로 위쪽을 보면 상당히 골격적인 형태로 지겟다리의 컨틸레버 구조다. 밑부분은 간결하게 꾸며놓아 간결함과 복잡함이 함께 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대전 경기장 내부 중앙에서 찍은 사진이다. 경기장이 관중석과 매우 가까워서 선수들을 생동감 있게 볼 수 있다. 축구 전용구장의 모습을 잘 갖추고 있다.
의자의 색상으로 'DAEJEON'이라는 대형 글씨를 만들어 냈다. 지붕은 반 개폐식으로 70%정도를 덮고 있다.
철골구조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지붕의 코너 부분이다. 기둥이 없는 형태라 약간은 불안정한 모습을 띄고 있다.
경기장 내부에 있는 월드컵 로고가 그려져 있는 벽이다. 여러장의 타일을 붙여 만든 것으로 월드컵 때의 감동이 다시 밀려오는 느낌이다.
월드컵 경기장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벽에 있는 그림들이다. 대전시의 초.중.고등학생이 그린 것으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대전시 학생들의 애향심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건축이다.
월드컵 경기장에는 모든 입구마다 화장실이 있다. 많은 인원을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많은 화장실이 있는 것이 좋은 점이다. 밝고 청결한 색상으로 기분 좋은 화장실을 유지하고 있다.
월드컵 경기장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특이한 건축이다. 보는 방향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콘크리트 건물로 자칫 무거워질 수 있는 분위기를 삼각형의 구조로 조금은 가볍게 만들었다.
위 건물을 오른쪽 45°각도에서 본 것이다. 지붕에 파이프를 나열해 놓아 햇빛을 받을 때 빗살무늬 그늘이 생긴다. 건물 옆쪽은 전면 유리로 만들어 채광과 조망의 역할을 하고 있다.
건축과 사회 레포트
무역학과 김윤수
전주경기장의 또 다른 이름은 밤이 아름다운 경기장이다. 국제경기 및 HDTV 중계를 대비한 조도 확보하고, 웅장하고 부드러운 조명으로 역동적인 전주의 힘과 미래를 표출한다. 상향 조명으로 건축적 상징성을 3차원의 공간으로 유도하였고, 야간 경기시 대낮같이 밝은 경기장 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다.
수원 월드컵 경기장(한국)
------------------------
(2003. 5. 21)
■ 구 분
전용구장
■ 규 모
4만 3138석
■ 비 용
2522억원
■ 공 사
1997년 6월에 시작해서 2001년 5월 13일 개장
■ 특 징
독특한 날개모양의 지붕. 수원 화성의 모양을 본뜬 역사성과 하이테크 건축의 조화
수원 월드컵경기장은 관중들이 열광적인 분위기를 더 쉽게 느끼고 선수들의 동적인 움직임을 충분히 전달되도록 디자인 목표를 정하고, multi-media가 지배할 21세기에 적합한 구장이 되도록 TV중계를 고려한 좌석배치와 조명 등을 설치했다.
또한 대지에 방향성을 주며 진입광장에서 중앙광장으로 사람들을 끌어 들이는 대담한 형태의 전면테크는 수원의 성곽과 같은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으며 대형 지붕을 바치는 철골 트러스의 상세는 한국 전통건축의 지붕을 은유하며 상징적인 날개형 지붕은 미래지향적인 수원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요코하마 월드컵 경기장(일본)
----------------------------
(2003. 5. 28)
■ 구 분
종합경기장
■ 규 모
7만 564석
■ 비 용
600억엔
■ 공 사
1994년 1월에 시작해서 1997년 10월 완공
■ 특 징
아시아 최대 규모의 종합경기장으로 환경 친화적이며 경제성이 뛰어난 건축
일본최대규모의 경기장으로 한일월드컵경기장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공기구동식 자동이동 카메라를 설치한 것을 비롯하여 텔레비전 또는 신문 등의 보도용 카메라를 스탠드·필드·지붕 등의 여러 각도에 배치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으며 지붕은 스텐레스 금속판으로 관객석의 75%를 덮고있다.
또한, 폐기물을 이용해 경기장내 전력을 공급하며 빗물을 이용해 잔디 및 화장실관리를 하는 등 에너지절약형 경기장이기도 하다. 21세기를 지향하는 시설로서 하이테크놀로지를 구사하면서 자원의 유효적 이용에도 배려하고 있다. 시의 쓰레기 소각시설에서 발생되는 잉여 전력을 활용하여 경기장 내외의 일상 전력으로 사용한다.
부산 월드컵 경기장(한국)
------------------------
(2003. 6. 4)
■ 구 분
종합경기장
■ 규 모
5만 2282석
■ 비 용
2233억원
■ 공 사
1996년 3월에 시작해서 2001년 9월 16일 개장
■ 특 징
원을 경기장의 형태로 형상화. 2002아시안게임 주경기장.
관중석의 100% 지붕
월드컵과 2002 아시안 게임을 치룬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은 천지의 조화를 이루는 대공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원형인 경기장 둘레에 토성의 띠처럼 데크를 설치, 편협된 지역성을 탈피하여 외계와의 합일(合一)을 유도한다는 것이 기본개념이다.
또한, 경기장 지붕은 반돔형태의 디자인으로 설계되어 날씨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방위색인 청, 백, 적, 흑색을 적용하여 원형경기장이 4수호신의 중심에 오도록 하였으며, 이는 이용자들의 동선을 유도하는 기능도 하게된다.
대전 월드컵 경기장(한국)
------------------------
(중간고사 레포트)
■ 구 분
전용구장
■ 규 모
4만 1295석
■ 비 용
1478억원
■ 공 사
1998년 12월에 시작해서 2001년 9월 13일 개장
■ 특 징
개폐식 지붕의 하이테크 경기장.
지겟다리 구조의 독특한디자인.
한국의 전통주거 공간인 안마당과 같은 아늑함을 추구하였으며 필요없는 가식적 장식을 배제하고 단순하면서도 세련된 구조적 역동성을 표출했다.
특히 한국 최초의 반 개폐식 지붕을 도입한 구장으로 꼽힌다. 경기장의 스탠드 부분에는 P.C 공법을 도입함으로써 시공성 및 경제성을 추구했고 이를 통해 국내 건축기술의 차원을 한 단계 끌어 올렸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제부터는 대전 월드컵경기장을 직접 다녀와 찍은 사진을 보며 감상해 보도록 하겠다.
대전 월드컵 경기장 입구에 있는 대형 피버노바 공이다. 주변에 조형물이 별로 없어서 경기장이 조금은 썰렁한 느낌이 든다. 단순함도 좋지만 경기장에 어울리는 조형물이 있는게 더 나을것 같다.
경기장의 서쪽 입구로 위쪽을 보면 상당히 골격적인 형태로 지겟다리의 컨틸레버 구조다. 밑부분은 간결하게 꾸며놓아 간결함과 복잡함이 함께 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대전 경기장 내부 중앙에서 찍은 사진이다. 경기장이 관중석과 매우 가까워서 선수들을 생동감 있게 볼 수 있다. 축구 전용구장의 모습을 잘 갖추고 있다.
의자의 색상으로 'DAEJEON'이라는 대형 글씨를 만들어 냈다. 지붕은 반 개폐식으로 70%정도를 덮고 있다.
철골구조를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지붕의 코너 부분이다. 기둥이 없는 형태라 약간은 불안정한 모습을 띄고 있다.
경기장 내부에 있는 월드컵 로고가 그려져 있는 벽이다. 여러장의 타일을 붙여 만든 것으로 월드컵 때의 감동이 다시 밀려오는 느낌이다.
월드컵 경기장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벽에 있는 그림들이다. 대전시의 초.중.고등학생이 그린 것으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대전시 학생들의 애향심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건축이다.
월드컵 경기장에는 모든 입구마다 화장실이 있다. 많은 인원을 한번에 수용할 수 있는 많은 화장실이 있는 것이 좋은 점이다. 밝고 청결한 색상으로 기분 좋은 화장실을 유지하고 있다.
월드컵 경기장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특이한 건축이다. 보는 방향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것이 인상적이다. 콘크리트 건물로 자칫 무거워질 수 있는 분위기를 삼각형의 구조로 조금은 가볍게 만들었다.
위 건물을 오른쪽 45°각도에서 본 것이다. 지붕에 파이프를 나열해 놓아 햇빛을 받을 때 빗살무늬 그늘이 생긴다. 건물 옆쪽은 전면 유리로 만들어 채광과 조망의 역할을 하고 있다.
건축과 사회 레포트
무역학과 김윤수